▲ 사진 출처=픽사베이

[미디어파인 칼럼=김권제의 생활어원 및 상식] 팔찌는 팔부분에 차는 둥근 고리로 된 장신구로 모양이 다양한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팔 위쪽에 차는 팔찌는 암리트(armlet)라 불린다. 먼 옛날에는 남녀 모두가 애용했는데 요즘 것에 비해서 폭과 크기가 꽤 컷다고 한다.

조상들이 팔찌를 착용한 이유는 화장도 마찬가지이지만 사회적 신분을 나타내거나 멋을 내기 위한 장식 혹은 두려운 자연현상이나 악귀를 막을 목적으로 이용을 했다.

브리태니카 백과사전을 보자. 팔찌는 긴팔을 입는 민족보다는 노출이 많이되는(특히 팔부분) 옷을 입는 민족에서 많이 착용이 되었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팔에 황금이나 실에 꿴 진주를 선호했으며, 후기에는 끝에 조각을 한 금속을 달아서 만든 팔찌가 유행했다.

크레타 사람들의 신앙을 반영하는 뱀을 본뜬 암리트, 페르시아, 인도의 무굴 제국에서 사용된 루비, 에메랄드, 사파이어 등의 보석을 박은 호화로운 암리트도 유명하다. 유럽에서는 12세기 무렵부터 팔찌가 여성용 액세서리로 착용되었다.

▲ 사진 출처=픽사베이

오늘날에는 일부의 덜 문명화된 사회를 제외하고 전세계에서 여성의 장신구로 애용된다. 팔찌는 보석, 금속, 돌, 뼈, 조개, 나무, 유리, 플라스틱 등 여러가지 재료로 만든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을 보면 우리나라는 신석기시대부터 팔찌가 사용된 것으로 추정이 되는데 원시사회에서는 조개 껍데기를 갈아 만들거나 흙을 빚어 만들었고, 청동기시대에는 청동제, 옥제 등으로 다양해졌다. 삼국시대에는 재료나 장식이 다양해지면서 귀걸이, 반지와 등과 장신구로 애용되었다.

소재는 금, 은, 구리, 유리, 옥 등이 쓰였다. 고구려의 팔찌로는 청동제와 은제가 있다. 백제의 팔찌는 금, 은, 동제가 있으며, 팔목에 낄 수 있을 정도의 고리로 표면에 돌기 장식이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가야의 팔찌에는 옥, 금, 은제가 있다.

▲ 사진 출처=픽사베이

신라는 옥, 유리, 금, 은, 동제가 있다. 고려시대는 적칠도동 팔찌와 화조당초문을 음각한 도금은팔찌가 있었고 조선시대에는 팔찌를 거의 착용하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렇다면 세계적으로 애용이 된 ‘팔찌(bracelet)’은 어디에서 유래가 되었을까?

‘bracelet’은 ‘bras(arm)’에서 유래된 고대 프랑스어 ‘bracelet’이 영어권으로 들어와서 최종 정착한 말이다.

[김권제 칼럼니스트]
고려대학교 영어교육학과 졸업
미디어파인 칼럼니스트

저작권자 © 미디어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