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잠실 선수촌병원 박근민 원장

[미디어파인 전문칼럼] 어깨회전근개는 어깨 관절 주변에 있는 4개의 근육(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견갑하근)을 지칭하는데 이들은 어깨 관절이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무리하여 어깨를 사용하거나 팔을 크게 돌리는 동작을 반복하는 경우, 잘못된 자세로 어깨 운동을 하는 경우 등에서 어깨회전근개에 파열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퇴행성 변화로 인해 조직이 약화되면 작은 충격만으로도 회전근개가 파열될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 이외에도 선천적, 후천적 및 퇴행성변화로 견봉이 튀어나온 상태일 때에도 어깨회전근개파열이 발생할 확률은 더욱 증가한다. 어깨회전근개파열은 극상근의 파열률이 가장 높고, 뒤쪽으로 U자 형태를 띠며 파열이 진행되는 양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어깨회전근개파열의 확진은 MRI 촬영으로 이루어진다. 검사 결과를 통해 회전근개의 어느 부위에 어느 정도의 파열이 발생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경미한 파열은 물리치료 및 보조기 착용, 주사 요법 등을 시행한다. 만약 파열 범위가 넓거나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로 심각한 어깨 통증이 지속된다면 파열 부위를 봉합하는 수술을 고려할 수 있다.

수술 시에는 관절 내시경을 통해 파열된 부위를 봉합하고, 튀어나온 견봉을 깎아주는 견봉성형술을 진행하며, 수술 후에는 재활 과정을 거쳐 어깨 관절의 기능을 회복하고 재파열을 예방해야 한다.

어깨회전근개파열을 오랫동안 방치하면 만성통증으로 이어질 수 있고, 어깨관절염도 발생할 수 있으니 가급적 치료 시기를 놓치지 말아야 한다. 치료가 지연될 경우, 파열 부위에 변성이 생겨 봉합수술을 받는다고 해도 재파열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파열 범위가 넓은 편일 때도 수술 후 재파열의 가능성은 높아지니 이런 경우에는 재활을 저강도부터 천천히 체계적으로 진행해야 한다.(잠실 선수촌병원 박근민 원장)

저작권자 © 미디어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