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휴한의원 강민구 원장

[미디어파인 전문칼럼] 사람은 누구나 본인만의 기준을 갖고 있다. 그 기준에서 벗어났을 때 크게 개의치 않아하는 경우도 있으나 지나치게 신경 쓰고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가 있는데, 물건 배치를 무조건 본인이 원하는 대로만 해야 하거나 지나치게 청결을 강조하는 등의 행위는 강박증이라 할 수 있다.

강박증은 불안장애의 일종으로, 지극히 주관적인 강박사고로 인해 발생한 불안감을 떨치기 위해 강박행동을 반복하거나 어떤 상황에 크게 집착하는 증상이다.

이러한 증상은 아동, 청소년 시기에 발생해 성인이 된 이후까지 이어지기도 하고 성인이 된 후에 갑자기 발생하기도 한다. 아직 나타나지 않은 결과에 대한 불안으로 인해 강박장애가 발생하는 것이므로 심리적 불안감을 해소하는 게 우선이다.

다만 강박증은 주변에서 캐치하지 않으면 스스로는 자각하지 못할 수 있으며 증상이 너무 악화되면 회복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 강박증이 점점 심해진다면 일반적인 생활을 하기도 어렵고 주변의 평판이 급속도로 떨어질 수 있어 빠르게 대응해야 한다.

특히 강박증으로 인해 우울증, 주의집중력 저하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어 심리적인 안정을 취하고 전반적인 정서적 건강 상태를 체크한 후 개인에게 맞는 치료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게 좋다.

강박증은 유전으로도 발현될 수 있는 증상이므로 부모, 조부모 등에게 관련 증상이 있었는지 체크해야 한다. 강박증은 부모의 감정적인 대응, 비 일관적인 훈육, 성적이나 실적 등에 대한 압박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어 연령대별 발생 원인을 철저히 분석한 후 치료할 필요가 있다.

한편, 강박증은 단기간에 나아지기 어렵다. 억지로 고치려 하면 증상이 더 악화될 수 있으므로 치료 받으면서 서서히 나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뇌 신경학적 치료 경험이 풍부한 곳을 찾아 전담의와 상의하면서 치료 방향을 잡는 게 좋다.(휴한의원 마포점 강민구 원장)

저작권자 © 미디어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