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출처=픽사베이

[미디어파인 칼럼=김권제의 생활어원 및 상식] 몸과 마음이 어느정도 성숙한 남. 녀는 자석의 N극과 S극이 서로 끌리듯이 마음이 가는 이성의 사랑을 얻기위해 목숨을 건다. 다행히 잘되면 모를까 그렇지 않으면 로미오와 줄리엣 같은 불상사도 탄생한다.

일단 상대방에게 눈도장을 찍고 마음에 들게되면 본격적으로 교재를 하면서 서로를 확인하게 된다. 상대방의 장단점을 어느정도 알게되고 내 인생을 맡겨도 되겠다는 확신이 들면 결혼을 생각하게 된다. 그 결혼을 하기 전에 가지는 통과의례가 바로 약혼식이다. 말 그대로 결혼을 약속하는 것이고 예약하는 것이다.

약혼이란 사랑하는 남. 녀가 일가친척을 모아놓고 우리 앞으로 잘살기 위해 결혼을 할 테니 잘 보아달라고 사전 모임을 갖는 것이자 양 집안간의 결혼을 만천하에 공표하고 그 약속을 금과옥조로 삼자는 의식이다.

양쪽 집안에서는 일단 약혼이 이루어지면 그 당사자들은 결혼에 준한 대접을 받는다. 사위와 며느리로서 대접을 받고 성급한 집안의 경우는 대소사에 참석을 하게 해주는 것이다.

▲ 사진 출처=픽사베이

어느 집은 결혼 못지않게 약혼을 성대하게 치르고 다른 집은 간단한 식사겸 상견례로 가볍게 치른다. 하지만 눈총을 받는 것은 과연 약혼식을 결혼식 못지않게 성대하게 치러야 하냐는 것이다. 물론 사정이 있어서 결혼식을 할 형편이 않된다면 약혼식을 성대히 하는 것을 무어라 말할 수는 없다.

아무튼 사랑하는 남. 녀의 평생을 함께하는 결혼을 약속하는 약혼식은 결혼식 못지않게 신성한 것이다. 그 ‘약혼(engagement)’는 어디에서 유래된 말일까?

▲ 사진 출처=픽사베이

영어 ‘engagement’는 프랑스어 ‘engagement’을 차용한 단어로 ‘engager’와 ‘ment’를 합성한 단어이다.

또 다른 단어인 ‘약혼시키다(betroth)’는 ‘treuthe(진실)’에서 파생된 중세 영어 ‘bitreuthien’에서 ‘betroth’로 변화되어 정착한 단어이다. 명사형은 ‘betrothal/ betrothment’이다. ‘treuthe(진실)’를 구체적으로 보면 게르만 조어 ‘triwwiþō(약속, 계약)’가 고대 영어로 유입되어서 ‘trēowþ/ trīewþ(진실, 믿음, 약속, 서약)’로 변화되었다. 이 단어가 중세 영어 ‘treouthe/ treuthe’로 되고 다시 이 단어가  변해 중세 영어 ‘trouthe/ trowthe’가 되면서 ‘troth’가 된 것이다.

[김권제 칼럼니스트]
고려대학교 영어교육학과 졸업
미디어파인 칼럼니스트 

저작권자 © 미디어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