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출처=픽사베이

[미디어파인 칼럼=김권제의 생활어원 및 상식] 결혼 혹은 혼인은 인간의 생활이 존재하고 남녀가 존재한다면 대부분의 사회에서의 일반적인   현상이다. 전혀 모르던 남녀가 만나서 가족을 이루는 결혼은 결혼 당사자 개인의 문제이지만 그 각자의 가족의 문제이기도 하다.

능력있는 사람은 마음에 드는 이성을 골라서 능동적으로 결혼을 하지만 그렇지 못하는 사람은 중매나 소개 등 수동적 방법을 통해서 결혼을 한다. 또 어떤 집단이나 나라에서는 일부일처만을 인정하나 다른 집단이나 국가에서는 일부다처제/ 일처다부제를 인정한다.

결혼은 개인의 의사에 의하여 이루어지지만 일단 성립이 되면 법적, 사회적 혹은 종교적 구속력을 받는다. 그리고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는 동성간의 결혼을 인정 할 것인가 말 것인가는 개인의 판단과 사회적 판단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한 문제이다.

결혼은 서로 사랑하는 당사자들간의 가족 구성이 첫번째이지만 또한 인류의 종족을 보존해야 한다는 숭고한 사명(?)도 내포하고 있다. 결혼 반지 등으로 영원한 사랑을 맹세하지만 신혼 여행지에서 찢어지는 커플도 종종 있다. 조금 더 오래간다 하여도 성격이 안 맞는다는 이유 등으로 찢어지기도 한다. 그렇지만 중요한 것은 처음의 초심을 잃지 않고 서로 양보한다면 백년해로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행복하고 숭고한 의미를 담고 있는 결혼은 어디에서 왔을까?

▲ 사진 출처=픽사베이

‘결혼(wedding)’의 어원은 라틴어 ‘vas(보증금, 보증인)’가 독일어로 유입되고 다시 스코틀랜드어로 와서 ‘wed(서약, 보증)’가 되었는데 이 단어가 고대 영어로 유입되어서 ‘weddian’으로 정착하고 최종 ‘wedding’이 되었다.

같은 의미인 ‘결혼(marriage)’은 라틴어 ‘maritãre(결혼하다)’와 ‘maritus(결혼)’가 고대 프랑스어 ‘marier(결혼하다)’로 변형이 되었다. 이 단어가 중세 영어로 유입되어 ‘mariage’(1250~1300년경 나타남)가 되었는데 최종 ‘marriage’로 정착을 했다.

‘matrimony(결혼)’는 라틴어 mātrimōnium<mater(엄마) + 접미사 –monium(활동, 상태)>’에서 파생되어 1,300년경에 나타난 고대 프랑스어 ‘matremoine’에서 유래되어서 ‘matrimony(결혼)’로 정착을 했다.

[김권제 칼럼니스트]
고려대학교 영어교육학과 졸업
미디어파인 칼럼니스트 

저작권자 © 미디어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