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휴한의원 변형남 원장

[미디어파인 전문칼럼] 공황장애는 극심한 불안과 공포감이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갑작스레 신체적으로 발생하는 질환을 일컫는다. 정서적 불안감이 바탕이 되는 증상이기에 불안장애 범주에 속한 정신과 질환 중 하나이며 심장 부위의 두근거림이나, 흉통, 어지럼증, 손떨림 혹은 과호흡, 메스꺼움, 과도한 긴장 등의 몸 증상을 동반하고 심한 경우 몸이 떨리거나 힘이 빠지며, 비현실감을 느끼는 발작 증세를 보이기도 한다.

정서적 문제를 바탕으로 한 질환이라고 여겨져서 공황장애는 그 원인과 치료 접근 역시, 심리적인 측면에서 이뤄져야 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이를 만드는 원인은 보다 복잡하고 다양하다. 유전적인 요인은 물론, 뇌 신경학적 문제로 인한 기능적 요인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 중 뇌신경학적 요인은 편도체와 해마 기능의 문제로 설명할 수 있는데 이 두 부위는 불안과 공포 등의 정서적 조절을 담당한다. 이 조절 기능의 문제가 생기면서 공포나 불안을 느낄만한 상황이 아니거나 그런 경험이 있지 않더라고 심리적인 공포와 불안감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예측할 수 없는 불안과 공포의 경험은 이후, 다시 나타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키우게 되고, 이 과정에서 스트레스와 우울감등의 정서도 나타나게 된다.

이에 공황장애를 개선하기 위한 치료 접근은 보다 다각화 된 고려가 필요하다. 복합적인 원인들과 이어질 수 있는 파생 질환의 문제, 신체적인 문제로의 전환까지 모두 고려한 방법이 진행되는 것이 중요하다. 먼저 현재 환자의 증상을 유발하는 요인들이 어떻게 엮여있는지, 광장공포증 혹은 임소공포증을 동반하는지, 신경학적 문제 개선을 통해 심리적 정신적 상태에 대한 완화 가능성이 존재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검사와 진찰이 필요하다. 또한 불안장애, 강박증, 우울증, 신체화장애 등의 여러 신경정신과 증세들을 동반할 수 있어 이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현대 한의학적 접근은 이를 위한 면밀한 상담과 체질 분석을 거진 후, 신경학적 기능의 증진과 심리적 안정을 함께 꾀할 수 있는 치료 방법을 진행한다. 뇌의 편도체와 해마의 과도한 각성 혹은 기능 저하를 개선하고 이와 함께 심리적, 정서적 안정성을 도울 수 있는 약의 처방과 침구 치료 등을 진행, 현재 증상을 없애는 것과 함께, 추후 유사한 상황에서 공황장애가 재발하지 않도록 원인 개선을 목표로 삼는다.

흔히, 공황장애를 앓는 환자들은 자신의 병을 애써 숨기거나 치료 과정 자체를 오롯이 혼자 감당하려는 경향이 높다. 하지만, 개인의 의지만으로는 양호한 개선이 어려울 수 있다. 가족이나 친구 등 자신에게 힘이 되는 사람들의 위로나 도움을 받는 것에 대해 두려워하지 말고, 적극적인 치료 자세로 질환을 이겨낼 수 있다는 마음가짐을 가지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청주 휴한의원 변형남 원장)

저작권자 © 미디어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