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출처=픽사베이

[미디어파인 칼럼=김권제의 생활어원 및 상식] 성년이 된 남. 녀가 청혼을 하고 결혼을 하면 지구상에 필요한 한 가정이 꾸려진다. 이 가정의 주인들은 서로가 원치를 않는다면 모를까 사랑의 징표로서 그 밑에서 자식이 하나 둘 태어나게 된다. 자식들 중 ‘아들(son)’만 태었다면 형제로 불리고 ‘딸(doughter)’들만 태어났다면 자매로 불린다. 아들과 딸을 낳다면 이들은 오누이로 불린다.

이들 자녀들은 부모의 속도 썩일만큼은 썩이면서 성장을 하게 되고 다 성장을 하면 마음에 드는 이성을 만나서 집을 떠날 준비를 하게 된다. 이들은 자기들 부모가 그러했듯이 가정을 꾸리고 2세들을 출산하면서 인간 세상은 계속해서 지속이 되는 것이다.

한 부모 밑에서 한 피를 받고 자란 ‘형제/ 자매(brother/ sister)’란 말은 어디에서 유래가 되었을까?

‘형제(brother)’는 인도-유럽 공통 기어 ‘bhréhztēr’가 게르만 조어 ‘brōþēr’로 유입이 되었다. 이 말이 고대 영어의 ‘brōþor’가 되었고 다시 중세 영어 ‘brother’로 되면서 최종 정착을 하였다.

▲ 사진 출처=픽사베이

‘자매(sister)’는 인도-유럽 공통 기어 ‘swésōr(sister)’가 게르만 공통기어 ‘swestēr’가 되었다. 이 말이 고 노르드어 ‘systir(sister)’와 고대 영어 ‘swustor/ sweoster/ sweostor’가 되었다. 중세 영어 ‘sister/ suster’는 고 노르드어와 고대 영어를 부분적으로 받아들인 것으로 이 중세 영어가 최종 ‘sister’로 정착을 하였다.

‘아들(son)’은 인도-유럽 공통 기어 seu̯H-(맺다, 탄생하다)’/ ‘suHnús(아들)’가 게르만 조어 ‘sunuz(아들)’로 변형이 되었다. 이 말이 고대 영어로 유입되어서 ‘sunu(아들)’가 되었고 다시 중세 영어 ‘sone’이 되었다가 최종 ‘son’으로 정착을 하였다.

‘딸(doughter)’는 인도- 유럽 공통 기어 ‘dhughztḗr’가 게르만 조어 ‘duhtēr’가 되었다. 이 말이 고대 영어로 유입되어서 ‘dōhtor’로 변형이 되었고 다시 중세 영어의 ‘doughter’가 되면서 최종 정착을 하였다.

[김권제 칼럼니스트]
고려대학교 영어교육학과 졸업
미디어파인 칼럼니스트 

저작권자 © 미디어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