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출처=픽사베이

[미디어파인 칼럼=김권제의 생활어원 및 상식] 우리가 싸우면서 자라게 되는 동급의 사촌이 있다면 그보다 한단계 낮은 급이 있다. 바로 조카라 불리는 혈족이다. 조카는 부모로부터 나온 형제나 자매의 자식들을 지칭하는 말이다. 조카는 남자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아서 여자는 조카딸로 부르기도 한다.

위키백과사전을 보자. 우리나라에서는 친조카 또는 질(姪)은 남자 형제의 자식을 지칭할 때 쓰는 말이고, 남자가 여자 형제의 자식을 부를 때는 생질, 여자가 여자 형제의 자식을 부를 때는 이질, 사촌의 자식은 종질 등으로 부른다. 이는 남자를 가리킬때 쓰이며 여자를 가리킬 때는 한자어 뒤에 이질녀, 종질녀 등으로 불린다. 복잡한 용어 대신 요즘에는 종질 이상은 촌수를 붙여서 5촌 조카 등으로도 부른다.

‘조카(nephew/ niece)’는 어디에서 유래가 된 말일까?

남자 조카를 의미하는 ‘nephew’는 인도-유럽 공통 기어 ‘nepot-(손자, 자매의 아들)’이 라틴어로 유입되어서 대격 ‘nepōs(조카, 손자)’가 ‘nepōtem’으로 변화되었다. 이 말이 고대 프랑스어로 유입되어서 ‘neveu’가 되었다. 다시 이 단어가 중세 영어 ‘nevew/ neveu(조카, 손자)’로 차용되면서 최종 ‘nephew’로 정착을 하였다.

여자 조카를 의미하는 ‘niece’는 인도-유럽 공통 기어 ‘nepot-(손자, 자매의 아들)’이 라틴어 ‘neptis(손녀)’가 되고 다시 통속 라틴어 ‘neptia’로 변화되었다. 이 말이 고대 프랑스어로 유입되어서 ‘nece(조카, 손녀)’로 변화되었고 그대로 중세 영어로 차용되었다가 최종 ‘niece’로 정착이 되었다.

[김권제 칼럼니스트]
고려대학교 영어교육학과 졸업
미디어파인 칼럼니스트 

저작권자 © 미디어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