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태연 원장

[미디어파인 전문칼럼] 고관절이 부상되어 걷거나 뛰는 등의 동작에 어려움을 겪는 사례를 우리 주위에서 찾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관절이란 부위는 무릎이나 어깨와 같은 부위에 비해 다소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다.

그렇다면, 고관절 부위의 정확한 정의는 어떻게 되며, 통증이나 질환에 대해서는 어떻게 대처하는 것이 도움이 돌까?

고관절은 엉덩이 관절의 명칭으로 골반과 다리 부위를 연결하는 부위를 지칭한다. 직접적으로 체중을 지탱하고 보행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관절로 해당 부위에 통증이 생기거나 질환의 문제가 생기면 기본적으로 걷거나 뛰는 부분에 있어 적지 않은 불편함을 얻을 수 있다.

대표적으로 고관절에 나타나는 질환은 퇴행성 고관절염을 꼽을 수 있다. 나이가 들면 자연스레 관절을 보호하는 연골이 마모되며 통증이나 변형 부종이 나타나는 것인데, 고령의 중장년층들이 보행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과도 연관 지을 수 있다.

중요한 점은 퇴행성 질환이 많다고 해서 젊은 사람들에게 질환이 발생하지 않는 것은 아니라는 부분이다. 일부 2,30대 중에서는 고관절과 같은 부위에 통증이 느껴져도 나이가 어린 자신과는 질환이 관련이 없고 일시적인 증상이라 생각해 방치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부분은 질환의 위험성을 간과한 대처라고 볼 수 있다.

고관절 부위에 통증이 지속되어 질환으로 이어지면, 절뚝거림이나 운동 범위의 감소, 보행 장애 등 가볍지 않은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통증이 나타나는 초기에 질환을 치료하는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치료를 위해서는 우선 해당 환자의 인대와 힘줄, 근육이 약화되지는 않았는지 확인하는 것이 방법이 될 수 있다. 실제로, 근력이 약한 쪽으로 관절이 기울어지면 과부하가 심화되고 충격을 받으면서 연골 손상과 염증이 발생해 관절염이 진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을 관절의 불안정성이라고 부르는데, 해당 불안정성 문제는 고관절과 무릎 등 주로 걸을 때 힘을 많이 받는 관절 부위에 나타나는 근본적인 문제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치료를 받는 것이 질환을 예방하고 재발을 막을 수 있는 방법으로 볼 수 있다. 치료의 방법으로는 주사치료를 통해 약해진 힘줄을 강화시켜 관절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도수치료를 통해 관절의 가동성을 늘리고 틀어진 골반과 관절 상태를 바로 잡는 것을 꼽을 수 있다. 이와 함께 침 치료 및 약침치료와 같은 한방 치료를 통해 통증을 줄이고 관절의 기능을 향상시키며, 관절이 건강한 상태를 회복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방법이 될 수 있다.(장덕한방병원 족부하지센터 김태연 원장)

저작권자 © 미디어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