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재현 원장

[미디어파인 전문칼럼] 척추협착증이란 척추 주변의 조직들이 비대해지면서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척추는 관절과 황색인대로 둘러싸여 있는데, 이 구조물들이 여러 요인으로 인해 점점 두꺼워지면 신경통로를 압박하면서 통증을 일으키게 된다.

보통 50대 이상의 중장년층과 노년층에게 발견되는 질환이지만, 노화로 인한 퇴행성 변화 외에도 잘못된 자세나 운동 부족, 스트레스 및 피로 누적 등을 이유로 젊은 나이에도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주요 증상으로는 허리통증과 방사통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허리디스크와 증상이 유사하다보니 두 질환을 오해하는 경우가 있으나 약간의 차이가 있다. 허리디스크 초기에는 허리의 통증이 심하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통증이 줄어들며 다리의 방사통과 저림이 발생하고 때로는 까치발을 못하는 등 근력저하가 나타날 수도 있다.

전형적인 척추협착증은 일정한 거리를 걸으면 다리가 저리고 아프면서 간혹 힘이 빠져 주저앉아 쉬었다가 걸어가곤 한다. 그래서 일정한 거리를 걸으면 반복적으로 쉬었다가 걸어가는 특징을 보인다. 비탈길이나 계단을 올라갈 때보다 내려갈 때 오히려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도 있다.

만약 이를 방치하는 경우 점차 악화되면서 짧은 거리의 이동조차 힘들어지게 되고 허리를 웅크리는 자세가 편하다보니 점점 굽히는 습관이 생겨 척추관절의 변형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때는 조기에 질환이 있음을 인지하고 대처하는 것이 도움 될 수 있다. 치료를 진행하는 경우 도수치료와 같은 물리치료나 프롤로 주사 등을 통한 비수술적 방법으로 개선을 도모하곤 한다.

프롤로 주사는 병변에 고농도 포도당 증식제를 주입하여 관절을 보호하고 있는 인대나 힘줄 등 연부조직을 강화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법이다. 척추 주변의 조직을 탄탄하게 만들어줌으로써 통증의 원인을 제거할 수 있고 부작용이나 합병증의 부담이 적다는 특징이 있어 치료에 이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이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치료 횟수나 방법의 차이를 보일 수 있기에 먼저 정밀한 검사를 통해 계획을 세워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료 이후에도 잘못된 생활 습관을 개선할 수 있어야 하며, 의료진이 안내해주는 주의사항을 숙지하고 지켜주는 것이 재발 방지에 도움 될 수 있다.(청담마디신경외과 심재현 원장)

저작권자 © 미디어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