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도윤 원장

[미디어파인 전문칼럼] 일상생활 속에서 넘어지거나 운동 중 사소한 실수들로 인해 손가락뼈는 쉽게 부상을 당할 수 있다. 단순히 삐끗한 경우에는 충분한 휴식을 통해 회복할 수 있지만 인대가 파열되거나 골절이 되는 경우도 많아 주의가 필요하다.

손가락이 골절되면 골절이 발생한 주변부로 멍, 상처, 압통, 부종 등이 동반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손가락 변형 및 관절 움직임에 제한이 생길 수 있다. 그러나 골절이 되었어도 이를 눈치채지 못하고 단순 염좌로 오인해 방치하는 경우도 빈번하다.

손가락뼈는 크기가 작은 데다 인대나 신경같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조직들이 많기 때문에 골절이 의심된다면 빠른 시일 내에 병원에 내원해 치료받아야 한다. 손가락 골절을 장기간 방치할 경우 적절한 치료를 하더라도 운동기능과 감각기능의 빠른 회복이 어렵고, 향후 손가락 관절염으로도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손가락 골절 시 일반적으로 엑스레이 촬영을 통하여 골절선의 모양을 파악하고 관절면 침범 여부를 확인한다. 정밀한 검사가 필요한 경우 CT 촬영을 통해 정확한 골절의 양상을 확인하기도 한다.

치료는 골절 상태가 심하지 않다면 외부에서 뼈를 맞추거나 고정하는 것만으로도 치료가 가능하지만 골절이 심하게 어긋나있는 경우나 어긋날 가능성이 많은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맞추어서 고정하는 정복술 및 고정술과 같은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수술 후에도 재활운동이나 물리치료 등이 온전히 병행되지 않으면 뼈가 제대로 붙지 않거나 손가락이 뻣뻣하게 붙을 수 있다. 의료진이 권고한 기간 동안은 충분한 휴식과 규칙적인 운동을 병행하는 것이 좋다.(새움병원 수부클리닉 김도윤 원장)

저작권자 © 미디어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