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영화 원장

[미디어파인 전문칼럼] 위장에서 음식물에 대한 소화가 잘 되지 않으면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더부룩함이나 속쓰림은 물론, 메슥거림, 명치의 답답함 등이 대표적인 증상이다.

상부 위장관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불편감은 과식 등의 이유로 일시적으로 나타날 때가 많지만, 개인에 따라서는 일상생활에 방해가 될 정도로 반복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만약 증상이 수개월 이상 반복된 상태라면 환자는 만성소화불량으로 보고 치료에 나서야 하는데, 대부분의 환자는 그 원인을 몰라서 제대로 관리가 되지 않고 없앨 방법에 나서지 못하고 있다.

내시경 검사나 초음파 검사를 해보았을 때 이상이 없는 것으로 나오는 경우를 기능성소화불량이라고 말한다. 검사에서 위궤양, 십이지장 궤양 등 소화성 궤양이나 염증성 질환 등을 볼 수가 없었던 것이다. 대부분은 이러한 기질적인 원인이 없다고 나오게 되는데, 이 때문에 원인에 맞추어 관리를 하기보다는 소화제 정도에 의존하게 될 때가 많다.

식도, 위, 십이지장의 기질적인 이상이 없는 상태에서 소화불량 증상이 계속 될 때는 담적에 대해 살펴보아야 할 필요가 있다. 이는 한방용어로 병리적 물질인 담이 위장관 내부에 쌓여 있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담이 생겨 쌓이는 이유는 음식을 소화하는 과정에서 꼭 필요한 위장의 연동운동 기능이 저하되어 있기 때문이다. 위장의 운동 기능이 떨어지게 되면 위에 들어간 음식물은 제대로 처리되지 못하고 내부에 정체되어 버린다.

위 운동이 떨어진 환자의 위 내부에서는 반복적으로 위 배출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음식물이 위장에서 십이지장으로 배출되는 데 어려움이 발생하게 되면 자연히 덜 소화된 상태로 정체되어 있는 음식물의 양이 점차 늘어나 쌓이게 되고, 내부에서 그대로 부패하게 될 경우 가스도 과다 발생하게 된다. 이처럼 병리적 물질이 쌓이게 된 담적에 의해 환자는 여러 상복부의 불편감을 겪게 되는 것이다.

또 심계항진, 우울증, 불면증, 어깨 결림 등 다양한 증상들로 이어진다. 때문에 이러한 전신적인 증상으로 악화하기 전에 담적병이 의심 된다면 빠르게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생활습관 스트레스 정도 등을 파악하고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상태를 살펴보는 자율신경 균형검사, 복진과 맥진 등을 통해 개인상태를 면밀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기능성소화불량과 함께 위무력증, 위하수 등은 위장의 운동성이 저하된 것이 문제이므로 한의학에서는 위장의 운동성을 강화하는데 도움이 되는 탕약처방이 쓰인다. 병이 더 진행된 경우 증상에 따라 항진된 교감신경을 이완시키고 부교감을 촉진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처방이나 위장의 운동성을 높이는 동시에 점막 염증을 개선하는 치료가 요구된다.

이와 함께 검사 결과에 따른 생활 관리법 지도를 통해 올바른 생활습관을 실천하는 것도 재발을 막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위강한의원 목동점 박영화 원장)

저작권자 © 미디어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