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상욱 원장

[미디어파인 전문칼럼] ADHD(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는 생소할 수 있는 증상이나 이를 앓고 있는 이들과 가족에게는 적지 않은 괴로움을 안겨주는 질환이라 할 수 있다.

특징적으로 주의력 결핍과 산만함 또는 충동적이거나 과다한 활동을 보이며, 진단이 어려운 부분은 사람마다 두드러지는 증상에 차이가 있기에 무조건 산만하다고 해서 ADHD라고 확정지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조용한 사람에게도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혼자서 다른 생각을 한다거나, 멍하게 자주 있다거나, 일반적으로 업무나 수업에 집중을 못하는 부분이 조용한 ADHD 증상에 해당 된다.

따라서 해당 질환이 의심된다면 ADHD에 관련한 정밀 검사를 선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린 아이의 경우에는 처음에 나타난 증상이 성인이 된 이후에도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초기에 이를 잘 대처하는 것이 중요한 부분이다.

일반적인 ADHD의 발생 시기는 보통 유아기에 주로 나타나며 증상의 진행에는 조금씩 차이를 보일 수 있다. 증상이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아이가 활발하거나 학습능력이 조금 떨어질 뿐 큰 문제가 아니라 생각해 넘기는 것은 좋지 않은 판단이 될 수 있다.

이 질환을 방치되는 경우 학습 장애나 집중력 저하, 틱장애 등 여러 문제를 보여 학업이나 업무 등 일상생활에서 지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성인이 된 이후에 대인관계나 업무 능률의 문제로도 발전할 수 있기에 주의가 필요하다.

진단을 받은 경우에는 상태를 꼼꼼히 체크하여 치료를 진행해야 한다. 뇌의 기능 중 주의력 결핍에 관련한 문제인지, 산만함이나 충동성에 관련한 문제인지 유형별로 분석이 필요하며, 생활환경과 성격 등을 확인해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한의학적 관점에서는 뇌신경세포 성장과 활성화에 초점을 두며, 미성숙한 뇌 영역이 성장하도록 도와 스스로 자신의 행동과 주의집중력을 통제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이는 역시 뇌 영역이 성장하는 시기인 어린 나이에 진행하는 것이 예후가 좋을 수 있다.

ADHD의 치료에 있어서 증상의 원인과 심한정도, 동반문제 등을 판별하기 위해서 체질검사를 포함하여 심리검사, 주의력검사, 평가척도검사, 뇌기능검사, 스트레스검사, 신경인지검사 등을 실시하며 증상에 따라 한약, 약침, 뜸, 자기조절훈련 등을 함께 병행할 수 있다. 또한 환자가 어린 아이일 경우에는 치료 과정에서 심리적인 부분을 안정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부모 등 보호자의 노력 또한 요구되기 때문에 환자 이상으로 노력하고 집중하는 것이 중요한 부분이다.

치료 시기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적절한 시기를 놓치지 않고 치료를 잘 진행한다면 예후가 좋은 편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어린 아이가 있는 경우에는 평소 질환에 대한 자각을 가지고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관심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창원 휴한의원 이상욱 원장)

저작권자 © 미디어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