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파인=유광선 교수의 my life] 사람마다 자신만의 성격이 있다. 누가 나에게 뜬금없이 어떤 직업을 선택할지 물은 적이 있다. 두 가지 종류의 일이 있는데, 하나는 과외나 장사처럼 사람들과 관계를 맺으며 일하는 것이고, 또 하나는 일반 회사에서처럼 서류 업무 등을 위주로 일한다면 어느 쪽을 선택하겠냐는 것이다. 안정과 불안정 중에 어떤 것을 선택하겠느냐는 질문에 대한 내 대답은 ‘본성대로’ 살자는 것이었다. 나는 내 성격이 어떤지를 일찍 깨달았다. 그렇지 않았더라면 어떻게든 은행이나 회사에 취직했을 것이다. 더군다나 법대 출신이니 고시 공부를 열심히 해서 그 방면으로 취업을 했을지도 모른다.

그저 스스로 미래의 나를 틀 안에 가둬 두려고 공부를 하는 게 마땅치 않았다. 나는 꿈을 꾸고, 자유롭게 일할 수 있고, 스스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일을 할 때 가장 행복하다. 누가 나더러 아직도 꿈을 좇는 몽상가라고 손가락질해도 개의치 않는다. 지금까지 그래 왔고, 그 덕분에 행복을 느낄 수 있으니 말이다. 아직도 어떤 일을 하기 전에는 ‘이걸 하면 행복할까?’를 계속 생각한다. 그리고 계속해서 스스로에게 또 한 번 질문을 던진다.

‘재미있나? 즐겁나? 답답함을 느끼지 않나?’ 이 질문에 대한 답이 ‘Yes’라고 나오면, 나는 주저하지 않고 일을 시작한다. 대부분의 사람이 자신의 성향을 알고 있다. 그런데 먹고사는 게 급하다는 이유로 자신의 성향에 반하는 일을 할 때가 있다. 재미와 행복을 포기하고 생존을 선택했다는 그럴듯한 이유를 대면서 말이다. 이런 사람에게 지금 행복하냐고 물어봤자 우문(愚問)일 뿐이다.

‘나는 무엇을 원하는 것일까?’라는 질문만 하면서 원하는 게 무엇인지 모른 채 지내는 사람들도 한둘이 아니다. 또는 취업을 비롯해 먹고사는 문제가 급한 마당에 무엇을 원하는지 고민하고 꿈을 운운하는 것은 사치라고 면박을 주는 사람도 있다. 물론, 당장 등록금 대출을 갚아야 하고, 취업으로 생계를 꾸려야 하는 등의 고민은 쉽게 떨쳐 낼 수 없다. 이들은 꿈을 꿀 여유도, 미래를 설계할 시간도 없다고 깊은 한숨을 내쉰다. 현재 자신의 처지가 초라해 보이고, 너무나 힘들어 때로 그냥 주저앉고 싶을 때도 있을 것이다. 자신을 둘러싼 환경이 너무나 안 좋다고 푸념하다가 치밀어 오르는 분노와 마주하기도 할 것이다.

당나라 시인 유우석은 “산은 높은 게 중요하지 않다. 그 산에 신선이 살아야 명산이다. 물이 깊다고 전부가 아니다. 그 물에 용이 살아야 신령한 곳이다.”라고 했다. 산이 높고 물이 깊다고 해서 저절로 명산이 되거나 신령이 깃든 게 아니라는 것이다. 낮은 언덕배기나 얕은 물이라도 그곳에 누가 있느냐에 따라 명산이 될 수도 있고 신령스러운 곳이 될 수도 있다. 이 시인이 말하고 싶은 바는 결국 문제는 ‘나’라는 것이었으리라.

내가 원하는 삶을 충실히 꾸려 간다면 누추한 곳, 즉 그다지 좋지 않은 환경에서라도 용이 될 수 있고 신선으로 바뀔 수 있다. 유우석이 한 이 말이 실린 《누실명(陋室銘)》에서 ‘누실’은 누추한 공간이란 뜻이다. 누추한 곳에서 머물고 있다고 해도 자신이 원하는 것을 위해 정진하는 삶이라면, 사람 자체가 누추한 것은 아니라는 뜻을 담고 있다. 처지를 비관하기보다 눈에 보이지 않지만, 분명 내 주변에 있을 기회를 찾아보는 게 낫다.

▲ 유광선 교수

[유광선 교수]
한국평생교육원 원장
한국상담협회 대표이사
(사)한국고령사회비전연합회 대전지부장
한남대학교 경영대학원 겸임교수

저작권자 © 미디어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