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파인=박수룡 원장의 부부가족이야기] '결혼은 연애의 무덤’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 말을 들으면 일단 ‘결혼을 하려면 청춘을 묻겠다’는 비장한 각오라도 해야 할 것 같은 느낌이 드는 것 같습니다.

이 말에 대해서는 두 가지로 해석할 수 있겠습니다. 그 하나는 결혼을 하면 ‘더 이상 연애를 못하게 된다’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사랑해서 결혼한 사람끼리도 결혼해 살다 보면 그 사랑이 메말라간다’는 것입니다.

먼저 여기서 말하는 연애가 ‘배우자 아닌 사람과의 연애’를 의미한다면 결혼은 분명히 ‘연애의 무덤’입니다. 결혼을 한 이상 배우자 아닌 사람과 연애를 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 더러 이런저런 이유로 제삼자에 대한 ‘연애 감정’을 느끼는 것 까지는 눈을 감아주더라도, 정말로 ‘연애 관계’에 빠져들었을 때에는 혹독한 대가를 치르게 되어 있습니다.

다소 비참한 느낌이 들 수도 있겠지만, 결혼한 사람은 자신의 감정에 대해서도 책임을 져야 하는 것이니까요. 다음으로 결혼 후의 생활은 연애 시절과 많이 달라진다는 말도 맞습니다. 

연애할 때는 두 사람이 좋으면 그만이었지만, 누구나 아는 사실처럼, 결혼해서는 아이들도 생기고 챙겨야 할 것들이 늘어나니까 사랑보다는 책임감으로 살아야 하는 일이 많아집니다. 일상을 유지한다는 것은 종종 즐거운 것과는 거리가 멀어 보이니까 말이지요. 하지만 이 말이 ‘비장감’을 주는 원인은 그 책임의 무게에 있는 것이 아니라, “결혼하여 살게 되면 사랑이고 뭐고 다 쓸 데 없어지더라” 하는 점에 있습니다.  

그래서 영리한 요즘 사람들은 결혼을 미루거나 결혼은 하더라도 아이를 낳지 않기로 해서 ‘인위적으로’ 연애 기간을 늘리려고도 합니다. 좋게 봐주자면 일상의 스트레스 때문에 사랑이 사라지는 것을 피하려는 노력으로 볼 수 있겠지만, 아무래도 바람직한 태도라고 할 것은 아닙니다. 아무래도 삶과 사랑에 깊숙이 들어가지 못한 채 변두리만 맴돌고 있는 셈이니까 말입니다.

어느 쪽으로 해석을 하든, 결혼은 사랑이라는 아름답고 자연스러운 감정에 상반되고 때로는 오히려 짐이 되는 사회적 제도일 뿐이라는 느낌이 강합니다. 그런데 정말 그럴까요? 결혼과 가정은 사랑에 대하여 걸림돌이 될 수밖에 없는 것일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결혼이 연애의 목표 또는 목적이 될 수 없듯이, 결혼이 연애의 무덤이 되어서도 안 되는 것입니다. 달리 말하면 결혼 후에도 사랑은 계속 될 수 있고, 또 그래야 하는 것입니다. 어떻게 그렇게 될 수 있을까요?

영화 '봄날은 간다'에서 남자 주인공은 변심한 애인에게 “어떻게 사랑이 변하니?”라고 묻습니다. 이 질문은 “우리가 서로 사랑했는데, 이제 와서 그 사랑이 변할 리 없잖아? 그러니 네가 지금 실수하고 있다는 것을 깨닫고 다시 돌아와 줘”라고 말하는 셈입니다. 또는 “네가 이렇게 변하는 것을 보니 너는 처음부터 나를 사랑하는 것이 아니었구나?”라고 따지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세상의 모든 것들이 다 변하는 것처럼 사랑은 변합니다!

인류학자인 헬렌 피셔는 사랑에 빠진 사람들의 뇌 기능을 검사하여 사랑의 열정은 삼 년을 넘기 힘들다는 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사람들이 한 눈에 반하고 열애에 빠져들고 하는 것은 두뇌의 신경전달 물질에 따른 현상인데, 이런 물질들이 활발하게 분비되어 높은 농도로 유지되는 것이 길어야 삼 년을 넘지 않더라는 것입니다.

또 인지심리학자인 스턴버그는 사랑을 삼각형에 비유하여 설명하였습니다. 그는 삼각형의 각 꼭지점을 열정, 친밀감, 헌신적 태도로 이름을 붙였는데, 이 세 가지 요소가 균형을 잘 이루고 있는 상태 즉 삼각형이 정삼각형에 가까울수록 이상적인 사랑의 모습이라 하였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연애 초기에는 열정적인 요소가 우세했다가, 연애가 지속되거나 결혼을 하게 되면 친밀감이 증가하게 되며, 시간이 더 지나면 헌신적 태도가 더 커지기 마련이라서 이상적인 사랑의 정삼각형을 이루기란 사실 어렵다는 것이 그의 지적입니다.

거창하게 헬렌 피셔나 스턴버그의 연구 결과를 내세우지 않더라도 사랑이 변한다는 것쯤은 누구나 경험적으로 알고 있습니다. 흐르는 시간에 따라 내가 변하고 상대도 변하는데 그런 사람들이 하는 사랑이 변하지 않을 리 없는 것입니다. 

현실이 그런데도 불구하고 우리가 변함없는 사랑을 바라는 것은 우리들 자신의 유한하고 변덕스러운 속성을 벗어나고 싶은 기대와 환상 때문일 지도 모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라는 말일까요? 사랑이 변하는 것을 지켜보는 수밖에 없다는 말일까요? 사랑이 변할 것을 미리 알고 마음의 준비라도 하고 있는 것이 낫다는 말일까요?

다음편에서 [사랑, 다시태어나기와 영원한 사랑]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 박수룡 라온부부가족상담센터 원장

[박수룡 원장]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과 전문의 수료
미국 샌프란시스코 VAMC 부부가족 치료과정 연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외래겸임교수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외래교수
현) 부부가족상담센터 라온 원장

저작권자 © 미디어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