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파인=박수룡 원장의 부부가족이야기] 통계청이 발표한 조사에 따르면 한국의 부부 중 현재 배우자에게 만족하는 비율이 남편은 71.8%인 반면, ​아내는 59.2%로 나타났습니다. ‘다시 결혼한다면 지금의 배우자와 결혼하겠느냐?’라는 질문에 남편들 중에서는 46.9%가 ‘아니오’라고 답한 반면, 아내들의 경우에는 무려 71.9%가 ‘아니오’라고 답했다고 합니다. 이러한 ​결과를 ‘결혼하면 남자보다 여자가 더 많이 손해를 보기 때문에 그렇다’고 해석하는 것은 지나치게 단순한 관점입니다.

아마 ‘다시 결혼하고 싶지 않다’는 응답자들이라도 반드시 현재의 결혼 생활에 큰 불만이 있어서가 아니라, “다시 태어나서까지 또 같은 사람과 살아야 하겠나, 할 수 있으면 다른 사람과도 살아보는 것도 좋지 않겠나?”하는 사람들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적어도, 사랑하는 남녀가 ‘함께’ 행복하게 살기를 바라며 결혼을 하지만, ‘남자의 결혼’과 ‘여자의 결혼’은 다르다는 점은 분명한 것 같습니다.

사랑을 하고 결혼을 할 때에는 하나가 될 수 있을 것 같았지만, 사랑이란 것도 사람이 하는 일이고 보면, 다른 환경과 경험을 가진 두 사람이 만나 사는 것이 순탄할 리 없습니다. 더구나 결혼의 두 주인공인 남자와 여자는 그 성별의 차이만큼 기본적으로 그 생각과 기대가 다른 존재들입니다.​

부부 싸움의 상당수는 이처럼 자신과 ‘다른’ 상대를 ‘틀렸다’고 여기는 데에서 시작됩니다. ​​따라서 결혼을 하는 남녀는 서로의 다른 점에 대해서도 미리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그 다른 점이 두 사람의 생활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은 물론이고, 서로가 갖게 될 실망과 좌절감에 대해서까지도 잘 이해하고 또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준비해야 하는 것입니다.​

​단도직입적으로 말하자면, 남자의 결혼은 자신을 도와줄 사람을 찾는 일종의 ‘구인(求人) 수단’입니다. ​남자도 결혼을 통하여 두 사람이 하나가 되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자신이 부족한 점을 보완해주고, 기쁘게 해주는 ‘보조적인’ 존재를 바랍니다.

무슨 말이냐면, 결혼 후에도 자기 자신은 그대로 남아있고 단지 조금 더 편해지는 정도만 바라는 경향이 많다는 말입니다. 대부분의 남자는 결혼 이후 자신이 ‘더 이상 과거의 내가 아니게 될까 봐’ 염려 합니다. ​사랑하는 사람과 같이 사는 것은 좋지만, 이전에 혼자 지내면서 누리던 자유로운 생활을 완전히 포기하고 싶지는 않은 것입니다.

그래서 결혼 후에도 예전 버릇대로 늦은 시간까지 친구들과 어울려 술 마시며 놀던 재미를 포기하지 않으려 하는가 하면, 직장에서 성과를 올리는 것에서 (일찍 집에 들어가 지내는 것보다) 더 큰 성취감을 얻습니다. ​때문에 일찍 집에 오기를 재촉하는 아내의 전화에 (좀 미안하기는 하지만) 짜증이 나는 것을 참지 못합니다.​

그리고 ‘휴일 내내 ‘같이 있어 주었는데‘ 왜 또 전화를 하는 거야? 왜 자기 혼자서는 자기 할 일 하거나 잠들지도 못하나? 내가 바람이라도 피우는 줄 아나? 다른 사람들과 같이 있는 것을 알면서 이렇게까지 망신을 주어야 하나?’ 생각하는 것입니다. ​​결혼을 해서도 이전과 달라지기를 거부하는 남자들의 이런 특성은 양가 어른들을 뵈러 가서도 나타납니다.​

​남자는 대개 처가를 방문해서도 특별히 할 일이 없는 경우 대접만 받고 눈치껏 지내다가 부인을 챙겨 돌아오면 그만입니다. ​그리고 남편 자신의 본가를 가면 예전에 하던 대로, 즉 예전에 쓰던 방에서 잠을 자거나 거실에서 TV를 보다가 돌아옵니다.​때문에 입장이 바뀐 경우, 즉 자기 본가가 아내에게는 낯설고 어려운 자리라는 것은 미처 생각하지 못합니다.​ ​반면 거의 모든 부인들에게 남편의 본가는 ‘아주 불편한’ 일터입니다.​

​낯설고 어색한 부엌일을 겨우 마친 부인은 힘들기도 하고 심심하기도 해서 남편이 어서 잠에서 깨어 ‘자신들의 집’으로 함께 돌아가기를 바랍니다. ​하지만 이를 눈치 챈 시어머니가 따라 들어와 “직장 다니느라 피곤할 텐데, 한 숨 자게 가만 두어라” 하십니다.​

부인은 기가 막히지만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다만 남편이 그런 사정을 알아주기를 바라고, 만약 모른다면 적어도 물어봐 주기를 바랄 뿐입니다. 하지만 남편은 아는지 모르는지 자기 세상에 온 듯 태평한 모습이라 부인 속만 부글부글 끓습니다.​

​남편은 집에 돌아가는 길에서 부인의 냉랭한 모습에서 뭔가 달라졌음을 느끼지만, 그 이유를 묻지는 않습니다. 공연히 말을 꺼냈다가 무슨 책임이라도 지게 될까 봐 염려하기 때문입니다. 그저 “이 사람도 시집을 싫어하는, 그렇고 그런 여자구나”라는 생각이 들어, 마음에서 더 멀어지는 것을 느낍니다.​

​만약 어느 부부가 외출을 마치고 귀가하는 길에 아무 말도 없다면, 그 각자는 마음속으로 이런 생각과 느낌을 곱씹고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 박수룡 라온부부가족상담센터 원장

[박수룡 원장]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과 전문의 수료
미국 샌프란시스코 VAMC 부부가족 치료과정 연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외래겸임교수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외래교수
현) 부부가족상담센터 라온 원장

저작권자 © 미디어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