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파인=김권제의 생활어원 및 상식] 학창시절 사이먼&가펑클의 “Bridge Over Troubled Water”를 가사 때문에 참 좋아했었고, 로버트 제임스 윌러의 소설을 영화화한 클린트 이스트우드, 메릴 스트립 주연의 “The Bridges Of Madison County, 1995”도 큰 반향을 일으켰다. 이 영화는 현실감을 위해 원작에 등장하는 메디슨카운티의 다리 등을 오하이오주 윈터셋에서 촬영했다. 다리는 통행을 위한 수단이지만 만남과 이별로서도 좋은 소재이다.

교량/ 다리는 운송에 문제가 되는 계곡, 강/ 호수, 해협 등을 건너거나, 다른 도로, 집, 농경지, 도시 등을 사람, 차 등이 쉽게 통과하기 위해 만든 구조물이다. 다리는 장애물 통과 등 교통수단 기능에다 자연환경의 중요한 구성요소로 고대에서 현대까지 문학과 예술작품의 대상이 되는 아름다운 문화유산이다. 로마인들은 “다리는 하늘과 땅을 연결하는 상징”이라 믿었고, 동양의 절 앞의 아치교는 속세에서 무지개를 타고 불국으로 들어가는 것을 뜻한다.

시내 위에 만든 통나무 같은 가장 단순한 다리인 형교는 경간을 가로질러 설치된 곧고 단단한 보로 만든다. 보가 개선된 원형 아치는 로마인들이 창안했다. 세련된 보를 캔틸레버라 하는데 긴 경간의 다리 시공에 이용된다. 현수교의 주 재료는 수천 가닥의 강선 케이블이다.  다리 설계에 시공법과 자재도 중요하다. 코퍼댐(임시물막이)과 시멘트의 기술혁신은 로마 시대 도입된 반면, 강섬유 구조부재는 18세기말 도입되었다.

로마인들은 수중에서 다리의 기초 시공시 코퍼댐으로 문제를 극복했다. 이 공법은 19~20세기에 공기 잠함의 개발로 뚜렷이 개선되었다. 로마 기술자들은 코퍼댐 내부를 채우는 콘크리트(화산암, 석회, 모래와 물로 만드는 것)를 최초로 고안했다. 콘크리트에 강봉을 접목시켜 강도를 높인 철근 콘크리트는 19세기에 소개되었다. 수세기 동안 철 체인이 현수교에 사용되었지만, 세계 최초의 완전 철교는 1779년에 건설되었다. 19세기 후반에 강철이 주재료로서 철을 대체했다.

다리는 군사 요새로서의 기능도 한다. 원래 적군 저지물로 이용된 도개교는 수상교통의 수단으로 전환되었다. 다리의 상판이 로프/ 체인으로 올려지는 고전적 도개교는 기어와 평형추의 개발로 굴려서 올리는 다리, 전체 경간이 케이블로 수직으로 올려지는 다리, 중앙 회전반을 회전시키는 다리 등으로 진보했다

상부 구조에 따른 구분을 보면, 구조 주체가 Beam 또는 Girder인 거더교/ 빔교가 있고, 구조가 판인 슬래브교가 있다. 격자교는 가로보와 세로보를 격자모양으로 배치하고 노편을 슬래브로 했다. 라멘교는 하부와 상부구조가 일체된 교량이고, 트러스교는 트러스를 이용했다. 아치교는 교량의 주체인 아치 부재에 압축력만 발생케하는 아치구조다. 현수교는 양단 주탑에 케이블을 걸고 이 현수 케이블에 보강 거더와 연결된 행어를 지지하는 형식이다. 사장교는 케이블을 사용하는 다리로 교량 중간의 교각이나 기초 위에 세운 주탑으로 부터 경사된 인장재로 거더 또는 트러스를 지지하도록 한다.

사람이나 교통수단이 쉽게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다리(bridge)’는 어디에서 유래하였을까?

‘bridge’는 인도-유럽 공통 기어 ‘bherw-/ bhrēw-(나무 바닥재, bridge)’가 게르만 조어 ‘brugjō/ brugjǭ(bridge)’로 유입되었다. 이 단어가 고대 영어 ‘brycġ(bridge)’로 변형되고 중세 영어 ‘brigge’를 거쳐서 ‘bridge’로 최종 정착을 하였다.

카드 게임 ‘bridge’는 두가지 설이 있다. 하나는, 러시아어 ‘biríč’이나 터키어 ‘bir-üç(one-three)’에서 유래한 19세기 게임의 이름 ‘biritch(혹은 러시아어 Whist)’가 게임이 진화되며 ‘bridge’로 최종 정착을 했다. 다른 하나는, 영국 군인들이 크림 전쟁 때 게임을 고안하고 ‘Galata Bridge’에서 ‘bridge’를 따왔다는 것이다. 이스탄불의 유럽지역 구시가지와 신시가지를 연결하는 Golden Horn에 있는 이 다리를 이들은 매일 건너가 커피숍에서 카드 게임을 했다.

[김권제 칼럼니스트]
고려대학교 영어교육학과 졸업

저작권자 © 미디어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