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파인=김권제의 생활어원 및 상식] 실로폰/ 목금은 길이가 다른 많은 나무 조각 음판을 솜을 씌운 채로 두드리는 타악기다. 글로켄스필이 금속 타악기라면 실로폰은 목재라 목금이라 한다. 실로폰은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오세니아에서 유래된 고대 악기로 특히 동남 아시아와 아프리카에 많다. 이 지역에서는 지금도 연주자의 두 발 사이에 2~3개 통나무를 놓거나 또는 이 통나무 위에 목판을 놓은 단순한 실로폰을 사용한다. 길이가 다른 통나무를 이용하다 후에 나무 판을 이용했다. 동남아시아는 대를 많이 쓴다. 진보된 실로폰은 인도네시아의 감방(gambang)으로 공명체 역할의 나무통 가장자리에 나무 막대들을 연결해 고정시켰다. 대략 3.5~4옥타브의 음역에 8세기 처음 알려졌고, 18세기말 미얀마를 거쳐 중국으로 전래되었다. 아프리카 실로폰 중 하나인 아마딘다는 통나무로 각 나무 막대들에 공명체인 오이나 호리병박이 하나씩 달렸으며, 진동막 장치인 미를리통을 공명체 벽에 장치한다. 또한 조율법이나 구조가 동남아시아 것들과 비슷하다. 멕시코 페루 등은 실로폰을 아프리카 이름인 마림바라한다. 오이나 박 대신 음판 밑에 목제/ 금속제의 아래가 열린 울림통을 가지고 있다. 울림통 때문에 음색은 유연하고 음량도 커서 마림바는 실로폰보다 음역도 넓고, 소형도 바음에서 3옥타브, 대형은 다음에서 4옥타브, 다시 5옥타브의 음넓이를 가진다.

유럽에서는 1511년 실로폰 기록이 나타나는데, 이것은 횔체르네스 겔레히터(나무 타악기) 또는 슈트로피델(밀짚 위에 나뭇조각을 늘어놓음)로 알려졌으며, 오랫동안 중부 유럽 민속악기로 사용되었다. 이 악기는 연주자 앞에서 점점 멀어지는 형태인 세로로 놓고 연주한다. 1830년경 폴란드 미할 요제프 구치코프는 반음계로 조율된 4개 나무막대의 4열 실로폰을 사용했다. 그후 독주 악기와 가든 콘서트 악기로 유행했다. 20세기 실로폰은 피아노처럼 보통 2열로 고정되었다. 음질 개선을 위해 각 막대의 아래쪽에 속이 빈 홈을 냈으며 튜브 공명체 사용도 많았다. 음역은 보통 가온 다(C)음 위 4옥타브이다. 유럽은 저음이 몸쪽으로 놓고 세로로 연주를 했으나 1920년대부터 피아노처럼 좌측일수록 저음이 되게 가로로 놓고 연주했다. 실로폰 및 마림바는 연주하면서 스타카토풍의 리듬을 연주할 수 있어 경음악에서 애용된다. 연주를 위해 한손에 1개씩 2개의 채를 쓰며 화음 연주를 위해 2개씩 모두 4개 채를 쓴다.

피아노를 닮은 타악기 ‘실로폰/ 목금(xylophone)’은 어디에서 유래되었을까?

‘xylophone’은 그리스어 ‘xylon(wood)’과 ‘phōnē(sound, voice)’이 결합한 단어로 의미는 ‘wooden sound’이다. ‘xylophone’은 일반적으로 marimba나 balafon 그리고 semantron같은 악기를 지칭하지만 오케스트라에서는 특별히 마림바보다 높고 건조한 음을 내는 악기를 가리킨다. ‘xylophone’은 대중적으로 유사한 리토폰이나 철금류를 지칭하기도 한다.

[김권제 칼럼니스트]
고려대학교 영어교육학과 졸업

저작권자 © 미디어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