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 <물괴> 스틸 이미지

[미디어파인=유진모의 무비&철학] 영화 ‘물괴’는 조선왕조실록에 실린 ‘삽살개처럼 생기고, 망아지만큼 큰’ 괴물의 기록에서 영감을 얻은 허종호 감독이 쓰고 연출했다. 연산군의 폭정에 반발한 중신들이 일으킨 반정으로 왕위에 오른 중종이 그러나 신진사류로 개혁을 꾀하다 오히려 그 훈구파의 반발을 사 위기에 몰렸던 시대다.

인왕산에 물괴가 출몰한다는 괴이한 소문이 나도는 가운데 도성 안의 백성들이 역병으로 줄줄이 죽어나가는 등 민심이 극도로 흉흉해진다. 중종(박희순)은 영의정 심운(이경영)이 자신을 몰아내기 위해 민심을 교란하는 것이라고 강력하게 의심하지만 심운은 극구 부인하며 수습에 힘쓰자고 진언한다.

심운의 사병과 다름없는 특수부대 착호갑사의 수장 진용(박성웅)은 역병에 걸린 백성, 안 걸린 백성 가릴 것 없이 산속에 몰아넣고 거침없이 몰살한다. 내금위장 윤겸(김명민)은 그 속에서 구사일생한 한 소녀를 거둔 게 조정에 알려져 위기에 몰린다. 심운은 윤겸을 참수해야 한다며 중종을 압박한다.

이때 윤겸의 오른팔 성한(김인권)이 나타나 그동안의 공로를 고려해 목숨만은 살려줄 것을 간청하고 중종이 이를 받아들여 두 사람을 파직하는 걸로 매듭짓는다. 13년 뒤. 소녀는 윤겸의 딸 명(이혜리)으로 성장했고, 그렇게 세 사람은 깊은 산속에서 아기자기하게 지내지만 물괴 탓에 심각한 식량난을 겪는다.

▲ 영화 <물괴> 스틸 이미지

중종은 진실을 밝히고 도탄에 빠진 백성을 구하기 위해 허 선전관(최우식)을 통해 윤겸을 불러들여 수색대장에 임명한다. 그러자 심운은 수색에 도움을 주겠다는 명목으로 진용과 착호갑사를 도성으로 끌어들인다. 윤겸의 민간 수색대와 착호갑사는 함께 인왕산에 오른 뒤 각자 수색작전을 펼친다.

늦은 밤 깊은 산속에서 수색하던 중 착호갑사 측에서 먼저 물괴를 발견했다는 신호탄을 쏘아 올린다. 그러나 이는 쿠데타 신호. 착호갑사가 민간수색대를 몰살하고 윤겸 일행을 붙잡아 막 칼을 휘두르려는 찰나, 진짜 물괴의 출현을 목도하고 혼비백산한다. 윤겸 일행의 목숨은 이래저래 풍전등화인데.

‘킬링 타임’용으론 그럭저럭 볼 만하다. 그럴듯한 상상력과 정교한 CG로 구현해낸 물괴의 비주얼도 얼토당토않지 않아 공포심과 함께 미묘한 동정심마저 불러일으킨다. 심각한 내용이면서 의외로 코미디 요소가 많은데 주로 말장난으로 이뤄진다. 단연 그 중심엔 김인권이 우뚝 서있다.

명을 선전관에게 맡기고 길을 떠나는 윤겸과 성한에게 선전관이 자신이 잘 돌볼 테니 걱정 말라고 하자 성한이 “난 자네가 더 걱정돼”라고 하는 것, 둘 사이에 묘한 기류가 흐르자 “이것들이 놀고 자빠졌네”라고 말하는 식이다. 명이 변절한 내관의 급소를 찼다 허탈해 하는 화장실 유머도 있다.

▲ 영화 <물괴> 스틸 이미지

기절한 윤겸을 명이 깨우기 위해 수차례 뺨을 때리자 깨어난 윤겸이 “그만해라, 아프다”라고 하는 대사는 정말 낯이 익다. 명이 선전관을 구하기 위해 활시위를 당기며 “우리 처음 만난 날 기억해요?”라고 말하는 시퀀스는 ‘헌츠맨: 윈터스 워’를 본 관객에겐 낯이 익을 것이다.

종합적으로 김명민의 시그니처 무비 ‘조선명탐정’이 쉽사리 연상된다. 인트로와 아웃트로를 제외하면 당시의 암울했던 시대상을 반영하듯 시종일관 어둡고 칙칙한 디스토피아적 분위기가 다를 뿐. 그 중심엔 심운이 있다. 물괴를 향해 “넌 내가 만든 허상이야”라고 소리치는 그는 세기말 그 자체다.

“민심은 작은 소리에도 요동쳐. 그런 군중의 분노가 우리의 대의명분을 가능케 하지”라고 국민을 먼저 생각하는 듯한 겉모습을 보이지만 사실은 지독한 권력욕에 빠져 민심을 거스르고 시대를 역행하려 한다. 굳이 지명하지 않더라도 현재 정치판의 복수의 인물을 보는 듯한 기시감을 준다.

중종은 “난 반정 공신의 왕이 아니라 백성의 왕이 되고 싶다”고 소신을 펼치지만 무능하기 그지없다. 영화는 어눌하지만 나름대로 정치와 인생이 연결된 참과 거짓의 철학을 펼치려 노력한다. 실록은 물괴의 존재는 적었지만 증거는 못 썼다. 어지러운 정치가 두려운 백성의 마음속에 있었던 건 아닐까?

▲ 영화 <물괴> 스틸 이미지

당시는 내우는 물론 남북으로 외환이 점철되던 때. 그래서 중종 바로 다음 세대인 영국 철학자 토마스 홉스에서 존 로크로 충돌하는 철학을 웅변하는 노력을 보인다. 홉스는 개인의 생존을 위해 사회계약을 통해 국가를 세우고 리바이어던(절대군주)이 국민의 생존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그는 폭정마저도 개인의 생존을 위해 더 나을 수 있다며 리바이어던에 대한 국민의 저항권을 부정했다. 로크도 사회계약설에 동조했지만 저항권을 주장했다. 사유재산을 중요하게 보고 2권 분립을 통해 권력을 입헌군주와 의회가 나누고 군주가 정치에 무능할 경우 국민에게 저항 권리를 주자는 것.
    
심운의 겉모습은 간접민주주의의 로크다. 만약 참모습이었다면 우리는 일제 강점기와 열강들의 간섭을 겪지 않고 더 일찍 민주주의를 세울 수 있지 않았을까? 영어 제목이 ‘Monstrum’이다. 인간이 조작했고, 인간 때문에 생긴 바이러스에 감염된 괴물. 봉준호 감독의 ‘괴물’이 엿보이지만 거기까지.

광화문 촛불 집회를 연상케 하는 ‘횃불 집회’, 생략된 물괴의 13년, 셰퍼드 등 허술하고 작위적인 시퀀스와 플롯, 그리고 대사 등은 관객들의 눈높이를 맞출지 의문이다. 혜리의 연기력은 여전히 표류하고, 최우식은 ‘마녀’의 강한 임팩트가 사라진 채 캐릭터가 부유한다. 15살. 9월 12일 개봉.

▲ 유진모 칼럼니스트

[유진모 칼럼니스트]
전) TV리포트 편집국장
현) 칼럼니스트(서울신문, 미디어파인)

저작권자 © 미디어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