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 스틸 이미지

[미디어파인=유진모의 무비&철학]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가 호평 속에 개봉됨으로써 록밴드 퀸과 그들의 음악, 그리고 리드보컬리스트 프레디 머큐리에 대한 관심이 새삼스레 높아지고 있다. 영화는 잔지바르 출신 이민자 파로크 불사라가 공항 수하물 노동자로 일하다 캠퍼스밴드 스마일에 합류하면서부터 시작된다.

프레디 머큐리로 개명한 그는 밴드의 이름을 퀸으로 바꾸면서 브라이언 메이(기타)와 함께 실질적인 리더로 부상한 뒤 나중엔 명실상부한 팀의 중심이 된다. 영화는 이런 퀸의 성공가도와 머큐리의 파란만장한 사생활을 교차 편집함으로써 퀸의 음악적 업적과 머큐리의 내적인 고뇌를 재조명한다.

과연 퀸은 어떤 수준의 음악성으로 평가받았고, 어느 정도의 인기를 누렸을까? 퀸은 1973년 데뷔앨범을 내고 별로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이듬해 2집앨범 ‘Queen 2’에 수록된 ‘Seven seas of rhye’를 통해 인기 반열에 오른 뒤 1975년 4집앨범 ‘A night at the opera’로 정상에 우뚝 선다.

1991년 머큐리의 사망으로 왕관을 벗기 전까지 단연 정상의 인기를 누렸고 머큐리는 슈퍼스타였다. 금발의 미남 로저 테일러(드럼)는 여성 팬들을 구름처럼 몰고 다녔고 메이는 각종 악기와 편곡, 녹음, 작곡 등으로 크게 기여했다. 존 디콘(베이스)이 음악적으로나 존재상적으로 살짝 떨어졌을 따름이다.

▲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 스틸 이미지

메이는 화려한 테크닉을 자랑하거나 지미 헨드릭스 같은 실험적인 연주법을 개발해내지는 않았지만 100년 된 벽난로용 나무로 직접 만든 수제 기타로써 단연 독보적인 뮤지션으로 분류된다. 천체물리학자답게 이 기타를 통해 다른 기타로는 도저히 흉내 낼 수 없는 독특한 톤을 창조해낸 것.

또 그는 피크 대신 영국 6펜스 동전을 사용해 6현을 때린다. 그렇게 그는 기타 하나로 오케스트라 사운드를 창조하는가 하면 트롬본, 신시사이저, 피콜로 등을 연상케 하는 다양하고 독창적이며 오묘한 톤을 뽑아낸다. 머큐리의 장점이라면 4옥타브 반을 넘나드는 놀라운 음의 영역이다.

영화의 제목이자 퀸을 가장 잘 표현하는 최대의 히트곡이며 오페라와 교향악을 합친 록의 신천지라는 평가를 받는 ‘Bohemian rhapsody’가 탄생할 수 있었고, 연주될 수 있었던 건 모두 그의 보컬 음역이 있어서 가능했다. 또한 그는 상상력이 뛰어난 뮤지션이자 대중적인 연예인이었다.

초기의 퀸은 흔한 영국적 하드록을 추구했다. 그러나 동아프리카 이슬람문화권에서 태어난 머큐리의 범세계적인 음악관과 독특한 녹음방식을 계속 개발해낸 메이의 창의적 음악성을 결합해 클래시컬한 프로그레시브록의 에머슨, 레이크&파머나 블루지한 하드록의 레드 제플린에 비견될 록을 완성했다.

▲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 스틸 이미지

이를테면 이슬람교도의 기도 같은 게 반복되는 ‘Mustapa’다. 첫 빅히트곡 ‘Killer Queen’이 대중적인 하드록이라면 ‘Somebody to love’ ‘We are the champions’는 ‘보헤미안 랩소디’의, ‘Crazy little thing called love’는 로커빌리의 맥을 각각 잇는다. ‘Love of my life’는 록발라드의 클래식이다.

록과 디스코가 교묘하게 뒤범벅된 ‘Another one bites the dust’로 일부 팬의 야유를 받긴 했지만 기존 퀸의 오페라 스타일에 디스코를 살짝 가미한 ‘Radio ga ga’로 이를 만회한다. 즉 퀸의 음악성은 자신들의 개성을 지키되 고집부리지 않고 적당하게 대중과 타협하는 게 특징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의 가장 큰 장점은 지금은 절대 다시 볼 수 없는 퀸의 라이브를 마치 직접 두 눈으로 보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킬 만큼 눈과 귀가 즐겁다는 데 있다. 음악은 퀸의 오리지널을 쓰고, 퀸 멤버의 용모는 물론 연주 스타일까지 유사한 배우가 훌륭한 연기를 해준 덕이다.

퀸은 작곡과 녹음하는 시간을 빼면 가능한 한 전국 및 세계 투어에 많은 시간을 할애함으로써 인기를 유지할 수 있었다. 스튜디오 밴드와 라이브 밴드 모두에 충실했다는 증거다. 이 영화를 보고 나면 퀸의 음악이 다시 듣고 싶고, 듣다 보면 영화를 다시 보고 싶어지는 이유다. 그게 록 필름의 힘이다.

▲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 스틸 이미지

록은 1950년대 미국 밴드 빌 헤일리 앤 히즈 코미츠에 의해 로큰롤이란 명칭이 생겨난 뒤 본격적으로 진화해 비틀즈에 이르러 클래식과 재즈를 동등하게 볼 수준이 된 가운데 각종 하위 장르가 빠르게 정립되고 확장됐다. 헤비메틀의 뿌리가 되는 하드록부터, 재즈록퓨전까지 이루 헤아릴 수 없다.

그런데 정작 중요한 점은-록의 위대함을 떠나-미국에서 흑인의 리듬앤드블루스와 백인의 컨트리앤드웨스턴이 융합해 탄생된 록을 정작 크게 발전시키고 세계에 널리 퍼뜨린 일등공신은 대부분 영국 뮤지션이며, 미국이 그들에게 많이 배워 계승하는 형식으로 록의 역사를 완성했다는 점이다.

록의 황제 엘비스 프레슬리는 ‘넘사벽’이고, 서던록의 레너드 스키너드나 서프록의 비치보이스 등은 장르적 특성상 영국과는 거리가 멀 수밖에 없으니 제외한다면 하드록, 블루스록, 프로그레시브록 등 대표적인 록의 장자들은 모두 영국이 주도권을 쥐었다. 그래서 역사는 ‘브리티시 인베이전’이라 한다.

국내 뮤지션들이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에 열광하고 있다고 한다. ‘April’의 딥 퍼플, ‘Since I've been loving you’의 레드 제플린, ‘Another brick in the wall’의 핑크 플로이드 등이 앞길을 닦았기에 퀸이 존재할 수 있었던 건 아닐까? 퀸은 초창기에 에릭 클랩튼을 많이 참고했다고 한다.

▲ 유진모 칼럼니스트

[유진모 칼럼니스트]
전) TV리포트 편집국장
현) 칼럼니스트(미디어파인, 비즈엔터)

저작권자 © 미디어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