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파인 칼럼=그루터기치과 윤정진 원장의 이(齒)로운 이야기] 치아가 망가지는 경우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가장 잘 알려진 것이 충치와 잇몸 질환입니다. 그리고 또 하나가 치아에 금이 가는 것 입니다 완전히 쪼개진 것은 파절이라고 하며 그 전 단계로 이해하면 됩니다.

치아는 단단한 조직이지만 교통사고 등 외부 강한 충격에 의해 금이 갈 수 있습니다. 평생 쉬지 않고 저작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일상생활에서도 안심할 수 없습니다. 식사 중 예기치 못하고 돌을 씹거나 얼음과 같은 단단한 음식을 씹다가 쉽게 손상되기도 합니다.

금이 갔다고 해서 반드시 치료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씹을 때마다 시큰거리고 아픈 증상이 있을 때 치료합니다. 한동안 씹을 때 시큰거리다가 갑자기 증상이 사라지기도 합니다. 이때는 신경이 죽어가는 시기일 수 있습니다 그러다 갑자기 잠을 못 잘 정도로 아파서 치과에 오는 경우도 많습니다.

치아 균열은 육안으로 쉽게 볼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초기에는 통증 같은 이상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치아는 한 번 금이 가면 다시 붙지 않습니다. 혹시 치아에 금이 간 것 같다면 가능한 한 빨리 치과에 방문해 그 정도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치료는 금이 간 정도에 따라 방법이 다릅니다 신경치료를 하고 크라운을 하기도 하고 금이 너무 깊어서 거의 파절 수준이라면 발치 후 임플란트가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크라운을 하더라도 금이 갔던 치아는 오래 못쓰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이처럼 금이 간 치아의 치료는 어렵고 그 결과도 썩 좋지 않습니다. 따라서 금이 가지 않게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단단하고 질긴 음식은 피하고 얼음을 깨물어 먹는 습관도 고쳐야 합니다. 이갈이나 이를 악무는 습관이 있다면 보호장치를 사용할 것을 추천합니다.

▲ 그루터기치과 윤정진 원장

[그루터기치과 윤정진 원장]
-대한 치과 보존학회 인정의
-대한 치과 근관치료학회 정회원
-대한 구강악안면 임플란트학회 정회원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보존과 외래교수
-그루터기치과 이수점 대표원장

저작권자 © 미디어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