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파인 칼럼=김권제의 생활어원 및 상식] 우리가 식사나 술 한잔 그리울 때 안주로 많이 시키는 안주가 바로 대구탕이다. 생대구탕도 맛이 있고 동태탕도 맛이 있다.

대구(Pacific cod)는 대구과 생선으로 학명이 Gadus macrocephalus이다. 몸이 얇고 넓으며, 앞쪽이 둥글다. 몸 색은 회색, 붉은색, 갈색, 검은색 등 다양한데 배쪽의 색이 더 엷으며 옆구리에 불규칙한 반점이 많다. 몸길이는 대개 75∼100㎝이며 1.5~9kg 정도 나간다. 비스듬히 찢어진 주둥이는 뭉툭하고 크며 양턱에 빗살 모양의 이가 있는데, 턱에는 발달한 수염 한 가닥이 있다. 비늘은 작고 둥근 모양이며 옆줄은 타 물고기처럼 잘 보이지 않는다.

차가운 심해에 모여 서식하며, 수심 45~450m에 많다. 산란기는 12-2월로 연안의 얕은 바다로 회유하며 북쪽일수록 서식 깊이가 얕아진다. 먹이로는 고등어와 청어, 가자미 등 어류와 갑각류, 심지어 상어새끼를 잡아먹으며 종종 자기 새끼도 잡아먹는다.

우리 나라는 동해와 서해에서 잡히는데, 서해 대구는 동해 것보다 몸이 작아 왜대구라 한다. 이들은 산란기가 달라 잡는 시기도 다르다. 동해에서는 거제도 진해 연안에서 많이 잡힌다.

대구는 배를 갈라 염장한 후 말리면 장기간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대구 간은 비타민 A와 비타민 D가 풍부해 간유의 원료가 된다. 대구는 지방이 적고 비타민과 아미노산, 칼슘, 철분 등이 풍부한데, 특히 비타민 A, B1, B2가 많다.

대구는 옛날부터 많이 잡혀서 조상들이 즐겨 먹는 생선이었다. 주로 소금을 넣지 않고 말리는 통대구로 만들어서 이용했다. 진해에서는 알이 찬 대구를 말려서 보신용으로 먹는 약대구라는 통대구를 만든다. 그 밖에 대구는 탕과 튀기거나 구워서 먹으며 회로도 먹는다.

탕과 반찬으로 애용하는 ‘대구(Pacific cod)’는 어디에서 유래한 말일까?

‘Pacific cod’는 ‘Pacific’과 ‘cod’가 결합한 말이다. ‘cod’는 인도-유럽 공통 기어 ‘gewt-(pouch, sack)’가 게르만 조어 ‘kuddô’로 유입이 되었다. 이 말이 고대 영어 ‘cod/ codd(bag, pouch)’가 되었고 중세 영어 ‘cod/ codde’를 거쳐서 최종 ‘cod’로 정착을 했다.

[김권제 칼럼니스트]
고려대학교 영어교육학과 졸업
미디어파인 칼럼니스트

저작권자 © 미디어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