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 한 마리가 한강을 향해 날아가는 듯 펼쳐진 인왕산 성곽길

[미디어파인 칼럼=최철호의 한양도성 옛길] 인왕산 정상에서 성곽을 따라 바라보면 용 한 마리가 날아가는 듯한 모습이 펼쳐진다. 성곽의 여장이 마치 용의 등줄기에 놓인 비늘같이 햇살에 반짝거린다. 비늘 달린 용처럼 각진 모습으로 한강을 향해 여의주를 찾아 빠르게 움직이는 듯하다. 인왕산 곡성을 따라 소나무 아래 바위 틈새로 종소리가 나지막이 울려 퍼진다. 굽이굽이 산 아래 성 너머 도성 밖 선바위에서 바라보는 성벽은 자뭇 오르지 못할 담벼락이다. 성벽을 따라 성문은 보이지 않고 우뚝 선 산 위에 또 다른 산이 병풍처럼 펼쳐져 있다. 누엣머리를 닮은 잠두봉인지, 용의 머리를 닮은 용두봉인지 케이블카가 소리없이 오른다. 잠시 멈추어 선 케이블카 끄트머리에 서울의 상징 N타워가 웅장하게 서 있다. 이곳은 서울의 자랑 목멱산이다.

▲ 목멱산 아래 첫 동네_해방촌의 석양

목멱산(木覓山)은 서울의 자랑이다

목멱산은 누구에게나 남산으로 불리었다. 백악산에서 바라보면 앞산이다. 경복궁에서 우러러보니 열경산이라고 했다. 삼각산 위에서 보니 넓게 펼쳐진 모습이 말의 안장처럼 편안하여 마뫼라고도 불리었다. 순수한 우리말이니 누구에게나 정겹다. 나무가 울창하여 숲이 많고 볼 것과 찾을 것 많아 목멱(木覓)이라 하였다. 그 정상에서 봄 가을 제를 지으니 목멱신사라하여 신성한 공간이요, 국가의 사당을 지으니 목멱대왕인 국사당이 이곳에 있었다. 또한 전국에 봉수대가 모이니 이곳이 목멱산 봉수대다. 서울의 경복궁에 소식을 전하니 통신의 요람,목멱산 경봉수라 하였다.

▲ 해방촌 오거리에서 바라 본 용산의 하늘

목멱산은 어디인가? 265m 목멱산은 서울의 상징이요, 중구와 용산구의 경계이다. 외국인 관광객이 가장 많이 오는 곳이다. 목멱산 정상에 올라 발아래를 바라보면 서울이 한눈에 보인다. 반짝이는 청계천 강물 위로 궁과 궐이 모여있다. 경복궁과 창덕궁 그리고 창경궁과 종묘와 사직단도 한눈에 펼쳐지니 서울의 600여 년을 볼 수 있는 곳이다. 백악산 아래 북촌 한옥마을과 청와대도 보인다. 서촌은 어디인가? 인왕산 따라 내려보면 경희궁과 왕기 가득한 서암 바위 틈새로 물줄기도 얼핏 보인다. 외국 관광객들과 걷지 않아도 설명하지 않아도 서울의 역사가 보인다. 고궁박물관과 한양도성 박물관을 가지 않아도 서울의 문화가 들린다. 이곳은 봄 여름 가을 겨울 언제나 핫플레이스다.

목멱산에서 한강 너머 서해까지 공간여행을 떠난다

▲ 해방촌에서 바라 본 목멱산 N타워의 밤

목멱산 N타워에서 한강을 향해 바라보면 북한강에서 서강 지나 임진강까지 물결을 볼 수 있 다. 날씨가 좋은 날에는 서해 바닷물 소리까지 들을 수 있다. 잠시 머물러 해 지는 풍경을 보았다면, 인생작품을 담는 찰나의 순간을 만끽 했을 것이다. 한강을 따라 서해까지 석양이 머무는 광경을 어디서 볼 수 있단 말인가. 겸재 정선이 목멱산에서 행주산성을 바라본 그림이라면 가능할 것이다. 겸재 정선의 인생작을 바로 이곳에서 즐길 수 있다. 눈으로 봐도 좋다. 카메라가 없으면 스마트폰으로 담아도 좋은 곳이 바로 이곳이다. 목멱산 아래 첫 동네에서 바라보는 석양은 해방촌이 제격이다. 서울에서 해지는 풍경이 가장 멋있는 곳이 바로 해방촌이다.

▲ 후암동 108계단에서 만난 목멱산 아래 우리마을_해방촌

혹시 해방촌을 다녀가셨나요? 해방촌은 해방과 함께 만들어진 마을이다. 해방촌은 한국전쟁 후 피난민들이 옹기종기 모여 행복한 삶을 꿈꾸던 삶의 터전이다. 일본에서 중국에서 만주에서 그리고 이북에서 자유를 향해 모여들던 공간이었다. 목멱산 아래 햇살이 가장 많이 비추는 공간이 해방촌이다. 바람이 모이는 한풍재라고 했던 곳,한강에서 부는 바람과 목멱산에서 내려오는 바람이 만나는 곳이다. 이곳에 모인 사람들은 꿈과 희망을 찾아 해방교회를 찾았고, 미래를 담고 해방촌성당을 오갔다. 해방과 함께 독립운동가들의 모교인 숭실학교 터도 이곳에 있다. 늦봄 문익환 목사가 다니던 학교터에는 미네르바 대학이 자리 잡고 있다. 후암동 108 계단을 오르는 순간 당신은 역사의 한 페이지에 서게 된다. 계단과 계단 사이 이제는 승강기가 있어 용산을 내려다보며, 천천히 나를 발견할 수 있는 시간여행도 할 수 있다.

목멱산과 둔지산 사이에 높은 담벼락이 있다

▲ 목멱산 소월길을 가기 전 봄을 기다리는 소월시비

역사와 문화가 가득 찬 해방촌은 미군기지와 담벼락을 사이에 두고 있다. 담벼락 너머는 미지의 세계다. 서울에 있으면서도 서울이 아닌 금단의 땅이다. 알 수도 없고, 갈 수도 없는 곳이 해방촌의 경계다. 바로 해방촌에서 가장 가깝게 볼 수 있고, 미군기지 안 둔지산과 만초천의 역사를 공유할 수 있는 유일한 공간이 해방촌이다. 녹사평역에서 올라와 육교에 서면 목멱산과 둔지산이 앞 뒤에 동산처럼 있다. 미군기지의 담벼락이 마치 국경처럼 느껴질 때 포근한 옹기그릇이 줄지어 담벼락 밑에서 미소 지으며 서 있다. 삭막한 담벼락과 집들이 만나는 지점부터 해방촌의 시작이다. 해방촌 오거리 넘으면 젊은 열정으로 새롭게 부흥을 알리는 신흥시장이 있다. 60여 년 전 니트공장의 성지로 밤늦게까지 붐비었던 신흥시장은 젊은이들의 꿈의 공간이 되었다. 신흥시장을 나와 용산고교까지 펼쳐진 문화예술마을이 용산2가동인 해방촌이다.

▲ 순국 110주년을 기리며_안중근 의사와 함께

목멱산 아래 소월길을 따라 걸으면 해방촌을 만날 수 있다. 110여 년 전 청년 안중근이 순국하여 그 뜻을 알리는 기념관과 안중근 의사 상이 의연하게 있는 곳이 목멱산이요, 용산이다. 안중근 의사상에서 소월시비가 보이는 곳에 노오란 산수유가 피고, 연분홍 진달래가 피는 곳이 바로 소월길이다. 소월길 따라 걸으면 한강이 보이는 곳, 목멱산과 둔지산 사이가 해방촌이다. 경칩 지나 춘분 오기 전 꽃 피는 봄날 해방촌 한번 걸어보실래요...

▲ 최철호 성곽길 역사문화연구소 소장 - (저서) ‘한양도성 성곽길 시간여행’

[최철호 소장]
성곽길역사문화연구소 소장
‘한양도성에 얽힌 인문학’ 강연 전문가
한국생산성본부 지도교수
지리산관광아카데미 지도교수
남서울예술실용전문학교 외래교수

저서 : ‘한양도성 성곽길 시간여행’

저작권자 © 미디어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