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잠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

[미디어파인 전문칼럼] 코로나19로 인한 단체 야외 활동이 감소되면서 등산을 시작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야외활동을 즐기거나 산을 오르는 등 활동량이 많아지는 만큼 움츠렸던 몸을 갑자기 움직이다가 부상을 입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신체의 근력과 유연성이 떨어진 상태에서 무리하여 움직이다가 부상을 당하고는 하는데 그중에서도 무릎 반월상 연골판 파열 손상의 발생빈도가 높게 나타나는 편이다.

경기만 반월상 연골판 파열 손상은 물리치료 및 주사치료 등으로 호전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파열이 심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수술적 치료로는 찢어진 연골을 봉합하는 봉합술과 파열된 연골을 잘라내는 절제술이 주로 시행된다. 많은 부위의 연골을 잘라낼 경우 퇴행성관절염을 빠르게 초래할 수 있으므로 절제술 시에는 최소한의 병변 부위만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반월상 연골판 파열 손상이 발생하면 무릎에 통증 및 압통이 동반된다. 계단을 오르내리는 것이 불편해지며 무릎 관절을 움직이는 데 어려움이 생긴다. 또한 다리에 갑자기 힘이 풀리거나 찌릿하는 통증이 나타나기도 한다. 파열이 심한 경우에는 앉거나 일어서는 동작이나 양반다리를 하는 동작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

장기간 방치하면 파열 범위가 넓어지고, 다리 근력이 약화될 수 있으니 조기 치료가 필요하다. 파열이 심해지기 전에 주사치료 및 물리치료, 도수치료 등의 적절한 치료를 진행하면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그렇지만 반월상연골파열이 심한 경우에는 파열 부위를 절제하거나 봉합하는 수술이 필요하다.(잠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

저작권자 © 미디어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