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잠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

[미디어파인 전문칼럼] 취미로 스포츠 활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다. 조기축구나 사회인 야구, 레저스포츠 등 다양한 활동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여가 시간을 보낸다. 그렇지만 무리한 동작이나 준비운동 부족 등으로 부상을 당해 고생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특히 무릎 부상 중에 하나인 전방십자인대 파열 환자들이 증가하는 점점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무릎 관절에는 네 가지 종류의 인대가 있다. 이들 중 서로 교차되어 X자 모양을 하고 있는 인대가 십자인대다. 두 개의 인대 중 앞쪽에 위치한 것이 전방십자인대, 뒤쪽에 있는 것이 후방십자인대로 불린다. 십자인대는 무릎 관절이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지만 비틀림에는 취약한 편이다. 무릎 관절이 비정상적인 방향으로 꺾어지거나 다리가 비틀리는 상황에서 십자인대 파열이 발생할 수 있다. 후방십자인대에 비해 비교적 약한 편인 전방십자인대 파열의 발생률이 훨씬 높게 나타난다.

전방십자인대가 파열되면 '투둑'하는 파열음이 들리기도 하며, 무릎 통증이 느껴진다. 파열 직후에는 일어서는 것도 어렵지만 통증이 금방 사라지기도 하여 많은 환자들이 전방십자인대 파열을 단순한 타박상으로 오인하기도 한다. 그렇지만 전방십자인대 파열을 오래 방치하면 무릎 관절에 과부하를 주어 증상을 악화시키고 주변 구조물의 손상도 유발하게 되니 재빠른 대처가 필요하다.

전방십자인대 파열은 스스로 나을 수 있는 질환이 아니다. 질환을 오래 방치할수록 무릎 불안정성은 악화되고, 무릎 연골 손상과 같은 2차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무릎을 다친 이후 이상 증세가 지속된다면 병원을 찾아 정확하게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권장된다.

전방십자인대 파열이 발생하면 수술을 해야한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전방십자인대의 경미한 파열은 비수술적 치료를 적용한다. 보조기를 착용하거나 물리치료, 주사 요법과 같은 방식으로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무릎의 근력을 강화시키고 안정성을 높여주는 재활운동을 지속하는 것도 큰 효과를 보인다. 그렇지만 전방십자인대의 파열된 범위가 50% 이상이라면 십자인대를 이식하는 재건술을 고려해야 한다.(잠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

저작권자 © 미디어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