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잠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

[미디어파인 전문칼럼] 무릎에 발생하는 질환 중에는 십자인대파열 및 연골 손상이 흔한 편이다. 부상이나 퇴행성 변화 등으로 인해 위와 같은 질환들이 나타나는데 구조물의 손상이 경미하다면 대부분 약물이나 물리치료, 주사 요법과 같은 비수술적 치료들로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그렇지만 수개월간의 비수술적 치료에도 효과가 나타나지 않거나 구조물의 손상이 심할 때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간혹 무릎에 통증과 불안정성이 지속되는데도 무릎 십자인대나 무릎 연골에는 큰 문제가 없다는 진단을 받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에는 후외측인대손상파열을 의심해봐야 한다. 후외측인대는 무릎 관절의 안정성에 기여를 하는 구조물로써 손상이나 파열이 발생했을 시 무릎이 불안정하고 흔들리는 듯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후외측인대에 손상 및 파열이 발생하는 원인들은 다양하다. 후방십자인대파열이 발생하면서 후외측인대에도 동반 파열이 나타날 수 있으며, 축구와 같은 구기 종목 운동을 하다가 무릎이 안쪽으로 꺾어지면서 바깥쪽에 있는 후외측인대에 충격이 가해지기도 한다. 또한 격투기와 같은 운동 중 상대방으로 인해 무릎이 꺾어지거나 양반다리 자세에서 무릎이 눌리는 경우에도 후외측인대에 파열이 발생할 수 있다.

불안정성이 심한 후외측인대파열은 재건술이 필요하다. 후외측인대 재건술은 자가건 사용이 어렵고 다른 사람의 인대를 쓰는 타가건 수술만 가능하다. 자가건은 길이가 짧아서 후외측인대 재건술로는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후외측인대 재건술 후에는 MRI 촬영을 통해 인대가 잘 들어갔는지, 위치는 괜찮은지 그리고 주변 구조물들과의 관계는 어떤지 등 전반적인 확인이 필요하다.(잠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

저작권자 © 미디어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