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휴한의원 인천점 박천생 원장

[미디어파인 전문칼럼] 불면증은 사회적 질환이란 말이 있을 정도로, 일상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많이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단순히 잠에 들지 못하는 그 상황만이 사람들에게 고통을 주는 것일까? 불면증이 가져다주는 문제는 수면장애로 인한 신체적 요인 외에도 심리적 정신적 요인이 상존한다.

불면증 증상은 잠들기까지 30분 이상 걸리는 입면장애나 잠에 들더라도 온전히 수면을 유지하지 못하고 깨는 수면유지장애, 중도에 깨게 되어 다시 잠들기 힘든 조기각성 등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이 같은 증상이 시작되게 되면 스트레스나 감정적인 회복이 이뤄지지 않아 뇌기능에 문제를 초래할 수 있으며 신체적으로도 영향이 올 수 있다. 또한 불쾌한 감정을 정화시키지 못해서 기분부전에 빠질 수가 있고 수면에 대한 강박증은 더 심화되기 쉽다.

수면의 기능은 낮 시간 동안 소모되고 손상된 기능을 회복하고 생존기능과 기억 보존 기능을 담당하며, 학습한 정보를 다시 정리하고 기억으로 저장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한 좋지 않은 감정을 처리하는 역할을 하는데, 숙면을 취하지 못하게 되면서 기능이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하면 각종 신경정신과 증상들, 즉 불안장애나 우울증 등을 유발할 수 있다.

하지만, 불면증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치료의 관점으로 보지 않는 경우가 많다. 조명이나 분위기 등 수면 환경에 대한 변화나 반신욕 등 신체를 이완하는 정도의 자가 노력 정도로 충분한 개선이 가능할 것이라고 여기는 것. 하지만 앞서 설명한 정신적 질환의 발생 가능성을 고려한다면 치료적 접근도 필요하다.

한의학에서는 불면증의 개선을 위해 수면습관과 수면주기 파악 등의 불면증 증상에 대한 진단과 체질파악, 동반되는 정신과 증상 등을 토대로 뇌 기능의 정상화와 심신의 안정을 추구한다. 불면증 치료와 함께 동반되는 공황장애, 불안장애, 우울증, 강박증 등의 증상을 파악해 한약치료와 침뜸치료, 추나치료와 상담치료 등을 비롯한 다양한 치료방법을 활용한다.

단순히 수면 습관의 교정이나 신체의 이완을 돕는 것에만 국한된 것이 아닌, 스트레스와 정서를 조절하는 편도체와 해마의 기능 개선과 편도체의 과흥분을 억제하고 뇌기능 정상화를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치료의 방향을 설정한다.

불면증은 처음부터 바로 증상이 심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다가 방심하면 급격하게 증가해서 악화되고 만성화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조금이나마 증상이 있다면, 일시적으로 잠이 오지 않거나 우울한 기분이 드는 것이라며 스스로 방치하지 말고 의료기관의 진단과 치료를 통해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휴한의원 인천점 박천생 원장)

저작권자 © 미디어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