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출처= 픽사베이

[미디어파인 칼럼=박수룡 원장의 부부가족이야기] 앞 글에서 외도라는 ‘1차 가해’ 못지않게 수습 과정에서의 ‘2차 가해’가 오히려 회복에 큰 장애가 될 수 있다고 했다. 그런데도 많은 외도 배우자들이 외도 후에 연이은 잘못으로 사태를 악화시키곤 한다.

역설적이지만, 아무 노력도 하지 않는 외도 배우자는 별로 힘들어 하지도 않는다. 따라서 당신이 상황을 개선하려 하는데도 많은 고충을 겪게 되는 것을 이상하게 여기지 말기 바란다. 이를 다르게 말하면, 당신이 어려움을 겪는 것은 그만큼 당신이 회복을 바란다는 신호이기도 하다는 말이다. 그러나 당신의 노력이 기대한 만큼의 성과를 얻지 못하는 이유는 그 방법이 서툴기 때문이다.

외도 배우자들이 수습 과정에서 흔히 저지르는 대표적인 잘못들은 다음과 같다.

1. ‘그만 좀 하라’고 하는 잘못

(상처 배우자로서는 인정하기 어렵겠지만) 외도 배우자들의 대부분은 자신이 잘못했다는 것을 알고 그 피해도 잘 수습하고자 한다. 하지만 나름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상황이 악화되면 어쩔 줄 몰라 하다가 실수를 하게 된다. 즉 “그만 좀 해라, 나도 애쓰고 있잖아? 이미 일어난 일을 이제 와서 어떡하라고? 제발 앞날만 보고 살자!”며 애원인지 협박인지 모를 이야기를 하는 것이다.

오죽하면 당신이 그런 말을 하게 되었을까 충분히 이해할 수는 있다. 하지만, 그런 말을 들은 상처 배우자는 어떤 생각을 하겠는가? 당신이 바라는 대로 순순히 ‘그럼 이제는 좀 덜 해야겠네’라고 생각할까? 아니다. 정반대로 ‘당신이 너무 뻔뻔해서 아직도 충분히 반성을 하지 않는 것’으로 여긴다. 그래서 당신을 더 심하게 다그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당신은 ‘혹 떼려다가 혹 붙이는’ 상황을 맞게 된다.

몇몇 마음 여린 상처 배우자들은 외도 배우자의 이런 말을 듣고서 ‘내가 너무 심한 건가? 그냥 넘겨야 하는 걸 괜히 긁어서 부스럼을 만드는 건가?’ 생각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들은 배우자의 외도로 인한 배신감에 더하여 죄책감까지 떠안게 되는 셈이다.

그 결과는 어떻게 될까? 잠시는 평온해진 것처럼 보일 것이다. 그러나 상처 배우자는 해결되지 않은 분노와 죄책감이라는 모순된 감정과 혼란 상태에서 빠져나오지 못한다. 그리고 점점 자기 역할을 못하는 ‘기능부전’ 또는 ‘수동-공격적’(passive-aggressive) 상태에 이르게 될 수도 있다.

이런 비극적 결과를 맞지 않으려면 상처 배우자에게 ‘할 말은 하게’ 하되, 거기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당신의 능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 당신이 어떤 말은 하고 또 어떤 말은 하지 말아야 할 지는 이어지는 글에서 설명하겠다.

2. '사과는 이미 충분히 했다'는 잘못

▲ 사진 출처= 픽사베이

외도 배우자들이 가장 흔히 저지르는 또 하나의 잘못은 사과에 인색한 것이다. 물론 당신은 이미 몇 번이나 사과를 했을 것이다. 그러나 상처 배우자는 당신의 진심을 알고 싶기도 하고, 때로는 그저 자신의 고통을 달래기 위해서 당신의 사과를 또다시 듣고 싶어 한다. 그런데 이 때 당신이 “이미 사과했는데, 도대체 얼마나 더 해야 해? 아예 녹음이라도 해줄까?”라고 말하면 어떻게 될까? 지금까지 했던 사과의 진정성까지 의심받게 된다.

당신이 ‘진정성 있는 사과’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겠다. 사과는 상대의 요구에 의해서가 아니라, 예상하지 않았을 때 하는 사과가 훨씬 효과적이다. 예를 들면, 당신 부부가 함께 TV를 보거나 외출을 했을 때 당신의 외도를 떠올릴 만한 장면들이 맞게 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는 상처 배우자가 자극을 받을 것이 뻔하므로 당신도 긴장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이럴 때 당황하여 어쩔 줄 몰라 모른 척 하거나 회피하려 하면 안 된다. 오히려 당신의 진심 어린 사과를 하기 좋은 때로 여겨야 한다. “저기도 나 같은 바보가 있네! 이렇게 후회할 줄 모르고 말이야. 내가 미리 알았더라면 좋았을 텐데…”처럼 말이다.

또 당신 두 사람이 모처럼 평온하게 지낼 때나 즐겁게 웃고 난 후도 사과하기 좋은 때다. “이렇게 당신과 있으니 정말 좋은데, 내가 다 망쳐버렸네. 정말 미안해. 그래도 잘 견뎌줘서 정말 고마워.” 같은 말을 할 수 있다. 아마 당신은 ‘괜히 분위기만 깨는 것’ 같아서 불안해할 수도 있다. 그러나 그렇지 않다. 상처 배우자가 당장은 반가운 반응을 보이지는 않더라도, 마음 속으로는 ‘이 사람이 계속 미안하게 생각하고 있었구나’ 라고 생각하게 된다.

당연한 말이지만, 사과는 말뿐 아니라 표정과 태도 모두에서 드러나야 그 진정성을 인정받을 수 있다. 가능하다면 손을 잡고 눈을 보면서 하는 것이 더 좋다. 외도라는 잘못에 대한 사과는 수없이 반복되어야 한다. 또 모든 생활에서 드러나야 한다. 비록 당장 용서를 받지 못하더라도 말이다.(다음편에 계속...)

▲ 박수룡 라온부부가족상담센터 원장

[박수룡 원장]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과 전문의 수료
미국 샌프란시스코 VAMC 부부가족 치료과정 연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외래겸임교수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외래교수
현) 부부가족상담센터 라온 원장, 미디어파인 칼럼니스트

저작권자 © 미디어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