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출처=픽사베이

[미디어파인 칼럼=박수룡 원장의 부부가족이야기] 외도 상담자 중에는 상담자에게 “제 말은 도무지 들으려 하지 않으니 선생님이 좋은 말씀으로 잘 달래주세요.” 라고 부탁을 하는 경우도 있다. 자신의 잘못도 알고 상처 배우자의 고통도 알아서 나름대로 노력을 하는데도 별 효과가 없어 보이니까 그런 말을 하는 것인 줄은 안다. 그러나 상담자의 역할이 있고 배우자의 역할이 있다. 상담자가 도움을 줄 수는 있지만 대신해 줄 수는 없다. 특히 외도의 상처를 극복하여 신뢰를 얻는 것은 외도 배우자만이 할 수 있는, 또 반드시 해야 하는 일이다.

외도는 (하나가 되기로 약속하여) 결혼한 두 사람을 ‘가해자와 피해자’로 갈라놓는’ 배신이다. 상처 배우자의 고통은 그런 분리(分離)에서 생긴 것이다. 외도 배우자인 당신이 이제 할 일은 그 분리를 회복하는 것이다. 이 회복은 외도를 끝내는 것만으로는 생기지 않는다.

외도는 당연히 즉각적으로 끝내야 하지만, 당신들에게는 아직도 외도의 흔적이 상당히 남아 있음을 인정해야 한다. 당신이 정말로 다 끝냈다고 해도, 상처 배우자는 그것을 믿지 못한다. 또 믿는 것 이전에 무엇보다 자신에게 그런 일이 있어났다는 현실을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다.

지금 당신이 할 일은 그런 배우자와 다시 하나가 되려는 각오를 실천하여 입증하는 것이다. 그렇게 할 수 있는 비법을 알려주겠다.

당신이 상처 배우자와 하나가 되려면, 당분간 당신 자신을 둘로 분리해야 한다. 하나는 결혼을 배반한 외도 배우자로서의 자신이고, 다른 하나는 상처 배우자와 다시 하나가 되려 하는 자신이다. 당신 부부가 ‘가해자와 피해자’로 분리되어 싸워서는 회복울 얻지 못한다. 당신은 상처 배우자에 대한 가해자 또는 죄인의 모습으로만 있어서는 안 된다.

당신은 자신을 ‘잘못한 자신’과 ‘반성하는 자신’으로 분리하여, 반성하는 당신이 상처 배우자와 한 편이 되어 잘못한 당신과의 싸움을 온전히 떠맡아야 한다. 나아가 상처 배우자의 보호자가 되어 상처 배우자를 위로하는 동시에 가해자였던 자기 자신을 비판하고 고쳐 나가야 한다. 그렇지 못하면 당신 부부는 ‘심판자와 죄인’의 관계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당신이 스스로를 꾸짖고 부끄럽게 여기면서 이전과는 달라진 모습을 보여야만 상처 배우자의 분노가 수그러들 수 있다.

▲ 사진 출처=언스플래쉬

당신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라

이혼까지 염두에 두고 외도를 하는 사람은 극히 드물다. 그러나 ‘잠시 한 눈을 팔았다가’ 이혼을 하게 되거나 또는 이혼과 다름없는 상태로 빠진 부부들이 매우 많다. 외도 배우자들 중 대부분이 이처럼 ‘가정으로 되돌아오려’ 하지만 실패한다. 돌아오지 않는 것이 아니라 돌아오지 못하는 것이다. 왜 그럴까?

상처 배우자가 받아주지 않아서? 물론 그런 경우가 상당히 많은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 경우도 외도 배우자를 다시 받아들일 만큼 충분한 변화를 발견하지 못하기 때문이 대부분이다. 특히 외도 배우자가 자신의 외도를 반성하더라도, 외도 후 관계 회복은 상처 배우자의 처분에 달린 것으로 여겨서 ‘선처'만 바라고 있으면 상황을 바람직하게 바꿀 수가 없다.

이제 외도의 상처에서 벗어나 회복에 이를 수 있는 또 하나의 비법을 알려주겠다.

많은 외도 배우자들의 실패 이유는 ‘반응적’ 상태에 머무르고 ‘주도적’으로 되지 못하는 데 있다. ‘반응적’이라는 말은, 상처 배우자의 비난과 추궁이 무서워서 ‘어떻게 하면 잘 넘어갈 수 있을까?’에만 초점을 맞추어 하는 행동을 말한다. 이렇게 해서는 상처 배우자의 믿음을 얻지 못하여 당신이 바라는 회복의 길에 들어서기가 어렵다.

반대로 ‘주도적’이라는 말은, 당신이 상처 배우자의 처지에서 문제 해결과 관계 회복의 책임을 떠맡고 필요한 일들을 ‘선제적으로’ 해내는 것을 말한다. 당신 자신의 고충보다 배우자의 고통에 초점을 맞추어 당신이 할 일을 하라는 것이다. “이제 화가 좀 풀렸어?” 묻거나 “제발 그만 좀 하라”고 윽박지르는 말은 배우자보다 당신을 위한 것들이다. 당신은 외도를 저지른 자신을 비판하고 반성하는 한편, 상처 배우자가 불편해 하는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서 최선을 다 하는 모습을 보여주어야 한다.

당신이 이렇게 하면, 상처 배우자가 굳이 스스로 무리해가면서까지 당신을 몰아세울 이유가 없어질 것 아닌가? 이것이 주도적인 문제 해결 태도이고, 상처 배우자의 신뢰도 다시 얻을 수 있는 방법이다.

다음 글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다음편에 계속...)

▲ 박수룡 라온부부가족상담센터 원장

[박수룡 원장]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과 전문의 수료
미국 샌프란시스코 VAMC 부부가족 치료과정 연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외래겸임교수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외래교수
현) 부부가족상담센터 라온 원장, 미디어파인 칼럼니스트

저작권자 © 미디어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