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파인 칼럼=박수룡 원장의 부부가족이야기] 

▲ 사진 출처=픽사베이

① 외도를 즉각 끝내라: 당신의 외도는 끝났다. 외도는 ‘은밀함’을 기반으로 성립한다. 이 은밀한 외도는 한때 당신의 즐거움이었겠으나, 드러난 외도는 후로는 고통이 될 뿐이다. 외도 배우자에게는 말할 것도 없고 당신과 외도 상대자에게도 불행만 더할 뿐이다. 당신의 입장에서는 당장 끝내기 어려운 여러 이유가 있을 수 있으나, 외도 상대자에게 분명하게 통고하여 즉각 끝내는 것이 그나마 불행을 줄이는 최선의 선택이다.

② 자진하여 고백하라: 당신의 외도로 상처 배우자는 수많은 의혹과 혼란에 빠져 있다. 상처 배우자가 외도 배우자에게 견디기 어려울 정도로 많은 질문과 추궁을 하는 것은, 그만큼 자신이 견디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처 배우자가 궁금해할 점들에 대해서 당신이 ‘선제적’으로 말해주는 것이 낫다. 그 내용에 따라서 상처 배우자의 실망이 매우 클 수도 있고, 당신이 형편없는 사람처럼 보일 수도 있겠으나 그런 후에야 새로운 시작이 가능하다.

③ 피할 것은 피하라: “다 말하고 낫더니 차라리 홀가분하네요”라고 말하던 외도 배우자도 있었다. 그러나 고백은 상처 배우자를 위한 것이지 당신을 편하게 해주려는 것이 아니다. 상처 배우자에게 ‘2차 가해’가 될 수 있는 내용은 공개하지 말아야 한다. 특히 상처 배우자를 탓하는 것처럼 돌리거나 외도 상대자와 비교되는 말은 피해야 한다. 상처 배우자에게 심각한 정도의 문제가 있는 경우도 있겠으나, 그런 것들은 한참 후에 처리하기로 하고 당장은 미뤄두라.

④ 상처 배우자를 보호하라: 이미 여러 번 말했지만, 상처 배우자는 ‘정상의 상태’가 아니다. 그러니 당신은 중증 환자의 보호자들이 하는 것처럼 그 상태를 자주 묻고 미안함과 안타까움을 표현하라. 가해자처럼, 죄인처럼 처신해서는 안 된다. 무엇이 불편한지, 무엇을 해주면 좀 낫겠는지 세심하게 살피고 민감하게 반응하라. 상처 배우자가 폭력을 쓰려 할 때에는 지혜롭게 피하는 것도 당신이 할 일이다. 당신을 위해서가 아니라 상처 보호자를 위해서 피하라는 말이다.

▲ 사진 출처=픽사베이

⑤ 미래를 생각하라: 상처 배우자는 충격과 분노로 잠시 분별력을 잃을 수도 있다. 그래서 중요한 계약의 파기나 이혼 접수 등 모두에게 해로운 요구를 하기도 한다. 이럴 때 당신까지 평정심을 잃으면 안 된다. 들어줄 수 있는 가능한 것은 들어주되, 해서는 안 될 것까지 요구하는 경우에는 “그것만은 들어줄 수 없다. 상황이 진정된 후에도 원한다면 그 때 들어주겠다” 같은 말로 넘기는 것이 좋다. 이럴 때에도 ‘간절한 진정성’이 필수적이다.

⑥ 웃게 하고 함께 웃으라: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웃을 수 있겠냐고? 물론 웃음은 즐거울 때 나오는 것이다. 그러나 비참한 상황에서도 웃음은 대단한 치유 효과를 낸다. 동물들 중에서 사람만이 이런 능력을 가지고 있다. 더러는 되려 상처 배우자에게서 불똥이 튀는 반응을 맞기도 하겠으나, 분노가 가라앉으면 당신의 그런 노력을 ‘불쌍하게’ 여길 것이다. 힘든 상황에 눌려 지내는 대신 당신의 유머 감각을 발휘하여 상처 배우자를 달래주라.

⑦ 당신의 후회를 알리라: 지내다 보면 상처 배우자의 분노가 잠잠한 때도 있을 것이다. 이럴 때 ‘또 언제 터질까?’ 눈치만 보며 지내지 말라. 상처 배우자가 묻지 않더라도, 당신의 후회하고 반성하는 점들에 대해서 자진하여 이야기하라. 아마 당신은 모처럼의 편안한 시간을 망치는 것이 아닐지 염려할 수도 있겠지만, 상처 배우자는 (자신의 추궁에 의한 억지 대답이 아니라) 그런 것으로 당신의 진실함을 받아들이게 된다.

▲ 사진 출처=픽사베이

⑧ 결심을 표현하라: 많은 외도 배우자들이 실수하는 것이 “이제 지나간 것은 덮고 앞을 보며 살자”는 말이다. 좋은 의도에서 하는 말이지만, 이 말이 상처 배우자에게는 ‘이제 그만 좀 하라’는 강요로 들리기 때문에 역효과를 내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결과를 피하려면, 상대에 대한 조언은 삼가고 자신의 결심을 말하는 것이 좋다. 불필요한 외식은 빠지겠다, 담배를 끊겠다, 교회에 나가겠다, 규칙적인 운동을 하겠다, 당신이 같이 하자고 했던 것들을 하고 싶다 등.

⑨ 치료 결심을 밝히라: 상처 배우자는 외도 배우자가 변화되기를 바란다. 당신이 과연 변하려고 할 지, 이제 와서 달라질 수 있는 것인지 끝없는 의심에 희망을 갖지 못한다. 이럴 때 당신이 먼저 상담을 받겠다고 하면 그 결과를 기대하며 인내할 힘을 얻는다. 당신이 배우자에게 함께 상담을 받자고 제안할 때 흔쾌히 따라나서면 좋겠으나, 더러는 문제 있는 당신만 받으라고 할 수도 있다. 그래도 실망하지 말기 바란다. 당신의 변화되는 모습을 보고 따라나설 수도 있으니까.

⑩ 감사하고 칭찬하라: 당신이 겪는 시달림이 적지 않겠지만, 상처 배우자가 참고 또 참아서 그 정도라고 여기는 것이 옳다. 이런 상처 배우자에게 당신의 감사와 칭찬은 ‘내가 애쓰는 것을 알고는 있구나’라는 마음을 들게 한다. 아직 상황이 나아지지 않았더라도 적절한 감사와 칭찬은, 상처 배우자에게 포기하고 싶은 순간을 더 잘 견디고 이겨낼 힘을 준다. 그리고 당신 두 사람이 나중에 서로에게 감사하고 칭찬하게 되는 데까지 나아가게 해 줄 것이다.

▲ 박수룡 라온부부가족상담센터 원장

[박수룡 원장]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과 전문의 수료
미국 샌프란시스코 VAMC 부부가족 치료과정 연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외래겸임교수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외래교수
현) 부부가족상담센터 라온 원장, 미디어파인 칼럼니스트

저작권자 © 미디어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