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출처=픽사베이

[미디어파인 칼럼=박수룡 원장의 부부가족이야기] 당신은 배우자와의 미래에 대해서 어떤 결정을 내렸는가? 외도의 상처를 극복하고 결혼 생활을 유지하기로 했는가? 아니면 이혼하기로 작정했는가? 혹은 아직도 어떻게 해야 할 지 갈등 중인가? 어떤 경우든 가장 중요한 일은 당신이 배우자의 외도라는 사건에서 잘 벗어나는 것이다.

배우자의 외도는 마치 재해(災害)처럼 당신의 삶을 망가뜨렸을 것이다. 그래서 당신은 한참동안 이재민(罹災民)처럼 지낼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사실 이렇게 된 것은 결코 당신의 잘못이 아니다. 그러나 당신이 ‘그 곳에 계속 그렇게’ 머물러 있어서는 안된다. 당신은 victim(피해자, 희생자)이 아니라 survivor(생존자, 극복자)가 되어야 한다. 그 곳을 복구할 지 혹은 떠날 지는 그 후의 일이다.

피해자와 생존자는 ‘이야기하는 방식’이 다르다. 피해자가 하는 이야기의 주제는 ‘사건’이라서, 외도 배우자나 외도 상대자에 대한 것으로 채워진다. 자신은 그렇게 당할 수밖에 없었던 불쌍한 사람으로 표현된다. 그것이 아무리 사실이라 해도, ‘피해자의 이야기’는 당신에게 결코 좋지 않다. 이제 당신이 익혀야 하는 것은 ‘survivor의 이야기’다. 생존자 이야기의 주어(主語)는 ‘나’다. 그리고 그 내용은 가해자나 외도 자체보다 자신이 어떻게 했는지, 그래서 어떻게 되었는지, 또 앞으로 어떻게 할 것인지 등으로 채워진다. 자신이 주인공이 되어 원하는 삶을 선택하는 것을 말한다. 당신이 외도라는 재난에서 벗어나려면, 생존자 혹은 극복자로 살아가야 한다.

일반적으로는, 외도로부터 당신 부부 두 사람이 협력하여 벗어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해 보이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반드시 그렇게 되지만은 않는다. 만약 상대가 그 책임을 다하지 않으면, (외도를 저질렀다는 사실이 그럴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당신은 어떻게 할 것인가? 그런 상대를 거세게 비난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문제는 당신이 여전히 피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당신만이라도 외도의 피해에서 벗어나야 한다. 당신을 배신한 사람을 버려 두고 떠날지 혹은 애써 구원할 지는 일단 당신이 안전해진 후에 판단할 일이다.

상처 배우자들의 일반적인 선택 사항은 크게 세 가지가 있다. ① 외도를 용서할 수 없어 이혼하기로 하는 것, ② 외도를 용서할 수 없지만 헤어지는 것에도 자신이 없어서 결정 자체를 보류하는 것, 그리고 ③ 외도에 대한 용서와 함께 이전보다 더 나은 관계를 만들겠다는 결심이다.

이 중 세번째 경우가 가장 바람직해 보일 것이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이런 선택을 하는 것 자체도 쉽지 않지만 실제로 관계를 회복해가는 과정도 결코 쉽지 않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이혼부터 떠올리곤 한다. “사람은 변하지 않는다. 한 번이 어렵지, 두 번이 뭐 어렵겠느냐? 남과 살을 섞은 사람과 어떻게 마주 보며 살 수 있겠느냐?” 등의 말이 이런 현실을 반영한다.

그러나 외도 때문에 하는 이혼도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이혼 과정이 생각만큼 쉽지 않기도 하지만 이혼 후에 닥치는 또다른 어려움들이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버림받았다’는 배신감과 손상된 자존심은 이혼한 것만으로 회복되지 않는다. 게다가 당신이 혼자서 감당해야 할 삶의 무게나 이혼자에 대한 사회적인 편견 등은 당신에게 이혼을 권한 사람들조차 해결해주지 못한다. 따라서 당신이 이혼을 선택하려면, 이런 점들에 대한 각오와 준비를 단단히 갖추어야 한다 따라서 만약 당신이 이혼하기로 결심했다면, 다음의 글 대신 다른 곳에서 필요한 도움을 꼭 찾기를 권한다.

▲ 사진 출처=픽사베이

아마도 정말 당신을 아끼는 사람들은 “애들은 어떡하려고? 그냥 애들만 보고 살아라. 사람이니까 실수도 하는 거다. 참고 살다 보면 좋은 날이 올 거다.”라며 이혼을 말릴 것이다. 심지어는 “너도 무슨 잘못이 있으니까 그랬겠지. 공연히 문제 크게 만들지 말고 좋게좋게 살거라.”며 위안인지 협박인지 모를 말로 당신의 결심을 막으려는 사람들도 있다. 어쩌면 당신은 주변의 이런 만류 때문인지, 이혼에 대한 두려움 때문인지 모를 이유로 계속 결심을 미루고 있을 수도 있다.

만약 외도 배우자가 실질적인 변화의 노력을 하지 않더라도 당신이 당장 이혼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면, 이 선택이 어쩌면 가장 현실적인 최선책이 될 수도 있다. 사실 배우자의 외도를 겪는 사람들 중 상당수가 이런 '선택 아닌 선택'을 한다. 따라서 당신이 이런 상태에 있다고 해도 전혀 부끄러워할 일은 아니다. 문제는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며 세월만 보내는 것에서 생긴다. 이렇게 식어버린 부부 관계를 마냥 유지하는 것은 당신의 삶을 초라하게 만들어 우울증에 빠지게 할 뿐 아니라, 이런 당신들의 모습을 보며 자라는 자녀들에게도 여러 모습으로 심각한 악영향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이야말로 외도가 가져온 ‘가장 비극적인 결과’일 것이다.

이런 불행을 피하려면, 당신의 ‘결정 보류’가 ‘결정을 못하는 것’이 아니라, 분명한 이유와 나름의 목표가 있어서 ‘실행을 미루기로 한 결정’이어야 한다. 섣부른 실행으로 후회할 일을 만들지 않기 위해서는 당신이 최적의 방법과 시기를 찾으면서 필요한 준비를 계속하고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사실 위의 어떤 선택을 하든 전문가와의 충분한 상담을 거쳐서 결정하는 것이 좋은데, 전문가가 하는 일은 당신이 (정답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보다 나은 선택을 하게 도와주는 것이다.

이어지는 글에서 당신이 보다 나은 선택을 하는 데 도움을 얻기를 바란다.(다음편에 계속...)

▲ 박수룡 라온부부가족상담센터 원장

[박수룡 원장]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과 전문의 수료
미국 샌프란시스코 VAMC 부부가족 치료과정 연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외래겸임교수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외래교수
현) 부부가족상담센터 라온 원장, 미디어파인 칼럼니스트

저작권자 © 미디어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