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휴한의원 이상욱 원장

[미디어파인 전문칼럼] 갑작스럽게 찾아오는 공포감과 불안감. 이를 유발할 수 있는 특정한 사건이나 상황을 마주하지 않더라도 불쑥 느껴지는 탓에 일상의 문제를 보이는 사람들이 많다. 특히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와 이로 인한 안정감이 저하되는 현대인들에게는 이는 단순히 심리적인 문제만이 아닌 하나의 질환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공황장애는 위 같은 정서적 문제와 함께 여러 가지 신체 증상이 동반되는 질환을 뜻한다. 증상의 발현은 공황발작이라 칭하기도 하며, 갑작스러운 공포감과 불안감이 극에 달하고 호흡이 가빠지고 가슴이 답답해지거나 두통을 동반한 어지럼증, 신체의 떨림이나 근육경직 등의 나타난다.

공황장애는 단순히 신체적인 증상과 심리적으로 나타나는 공포감 외에도 ‘예측의 불가능’이라는 또 다른 문제를 낳는다. 즉, 증상의 발현이 언제 나타날지 모른다는 불안감과 예기치 못한 순간 찾아오는 공황발작의 공포감으로 더욱 자신만의 협소한 세계로 숨어들게 되는 것.

그러나 이것은 증상의 발현을 방어하는 것이 아닌 질환을 방치하고 악화시키는 일임을 명심해야 한다. 적극적인 개선의지를 보이지 않는다면 공포와 불안은 그 크기를 내면에서 더 키운다. 그럴수록 증상의 정도도 심해지고 다시 이에 따른 불안감은 더욱 커진다. 악순환의 반복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공황장애를 의심할만한 증상의 모습이 보인다면 보다 적극적인 치료 자세와 함께 공황을 만드는 원인을 면밀히 파악해 치료를 할 필요가 있다. 공황장애는 대인관계에서 오는 스트레스와 불안, 공포와 같은 심리적인 문제는 물론, 뇌 속에 감정을 조절하는 편도체와 해마의 기능 이상 등 뇌 신경학적 요인이 주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일상에서 겪는 스트레스 및 심리적 불안감의 원인을 찾아 함께 개선하는 것 뿐만 아니라 뇌 기능의 안정과 증진이 공황장애의 치료에 매우 중요하다. 또한, 정도의 차이가 개인마다 존재하기에 치료 전 면밀한 심리상담과 상태 체크를 통해 치료 계획을 세워야 한다. 이후 단순히 현재 증상만을 멈추는 것이 아닌 보다 뿌리가 되는 이유를 찾아 개선하여 공황장애의 만성화 및 재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공황장애 치료시 일상생활에서는 과로나 심한 압박감, 스트레스에 노출되는 것을 피하고 음주와 카페인 섭취 등을 자제해야 하며, 명상과 가벼운 운동 등을 통해 심신의 안정을 취하는 것이 도움을 준다. 그리고 신경정신과 질환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인지하고, 증상을 유발하는 원인을 찾아 점진적이고 적극적인 치료를 진행하는 자세가 필요하다.(창원 휴한의원 이상욱 원장)

저작권자 © 미디어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