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

[미디어파인 전문칼럼] 무릎 관절은 일상생활을 할 때 가장 많이 쓰이는 신체 부위 중 하나로 꼽힌다. 그러다 보니 부상을 당하거나 질병이 나타나는 확률도 비교적 높은 편이다. 또한 노화도 빠르게 찾아올 수 있다. 무릎 관절에는 뼈와 인대, 연골, 힘줄 등 다양한 조직이 자리하고 있다.

이 중 무릎 연골은 뼈 끝 부위에 자리한 골연골, 경골과 대퇴골의 관절면 사이에 위치한 반월상연골판으로 나뉜다. 골연골은 뼈끼리의 마찰과 뼈의 마모를 막아주는 기능을 하며, 반월상연골판은 관절의 안정성에 큰 도움을 주고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과도 같은 역할을 한다.

무릎 연골은 부상을 당하는 등 무릎에 강한 충격을 받거나 무릎 관절이 과도하게 비틀릴 때 쉽게 손상될 수 있다. 또한 평소에 쪼그리고 앉는 자세를 자주 하거나 무거운 짐을 나르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도 구조물의 손상 원인이 된다. 중장년층이 넘어갈수록 퇴행성 변화로 인하여 파열이 발생할 가능성도 높아지게 되므로 평소에 꾸준히 무릎 관절을 관리하는 것이 권장된다.

무릎 연골에 손상이 발생하면 무릎에 통증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무릎이 부어오르기도 한다. 또한 무릎에 힘이 빠지거나, 파열된 연골 조각이 무릎 관절에 끼이면서 무릎을 움직일 때마다 무엇인가 걸리는 느낌을 받는 경우도 생긴다. 그렇지만 모든 환자들에게 동일한 증상만 있는 것은 아니니 무릎에 불편한 느낌이 오래 지속된다면 병원에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권장된다.

반월상연골판의 경미한 손상은 약물이나 주사 요법과 같은 비수술적 치료로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그렇지만 손상이 심할 시에는 파열된 부위를 봉합하거나 절제하는 수술을 고려해야 한다.

골연골 역시 경미한 손상은 비수술적 치료를 적용한다. 골연골은 반월상연골판과 달리 어느 정도 재생이 가능하기 때문에 골연골 손상이 심할 때는 병변 부위에 미세천공술이나 카티스템과 같은 골연골을 재생시키는 수술을 고려할 수 있다.(잠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

저작권자 © 미디어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