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파인=박창희의 건강한 삶을 위해] 지난 호에 하루에 몇 차례 식사하는 것이 건강에 유용하느냐는 논제를 올린 바 있다. 결론부터 내리자면 하루 세 끼 식사다. 하루 한 끼니를 먹는 것이 좋다는 논리는 용도 폐기하는 것이 좋겠다.

하루에 필요한 영양소 및 열량을 한 끼 식사에 모두 담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또 하나의 이유는 아침, 점심, 저녁으로 구분되어 법처럼 굳어버린 3끼 식사의 제도권 하에서 살아가기 힘듦이다.

하루에 2번 타인의 식사를 지켜만 봐야 한다는 것은 절해고도의 삶을 살지 않는 한 참기 힘든 경험이 될 것이다. 다수와 유리된 채 자신만의 방식을 고집하는 건강법은 단기간에 그칠 공산이 크다. 핵심은 제도권 하에서 자신만의 차별화된 방법을 고수하는 것이다.

아침을 거르는 두 끼 식사도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학업과 업무에 각각 집중할 학생이나 직장인은 아침 식사를 꼭 할 것을 권한다. 전날 저녁 식사 이후, 다음 날 점심까지 공복이 이어진다면 20시간 가까이 소화기관이 비어있는 상태가 된다.

뇌와 신경계는 포도당을 에너지원으로 쓰므로 혈당의 저하는 곧 뇌세포의 기능이 떨어짐을 의미한다. 아침을 거른 채 학교로 향하는 학생은 총알 없는 총을 멘 군인과 같다. 뇌를 죽이는 하얗고 부드러운 식사를 지향하고 적은 양이라도 현미, 채식 반찬을 저작을 통해 훌륭히(?) 소화해낸 학생의 성적이 향상되었다는 보고는 숱하게 많다.

아침을 거른 직장인은 업무 집중은커녕 점심 메뉴에 골몰하게 될 것이다. 아침을 거를수록 점심과 저녁이 폭식으로 이어지는 빈도가 높은데 이것이 뱃살의 결정적 원인이 된다. 당질의 흡수량이 갑자기 높아지면 과부하가 걸린 간이 할 일은 잉여 에너지를 중성지방으로 전환하여 체지방으로 축적하는 것이다.

결국, 아침 식사를 한다는 것은 저녁식사의 양을 줄이는 부차적 의미가 있다. 부교감신경 하에 놓여 에너지 대사가 절대적으로 불리한 시점의 관리를 돕는 것이 결국 아침 식사라는 거다. 이처럼 중요한 아침 식사를 서양에서는 장시간의 금식을 깨는 첫 식사라는 의미로 브렉퍼스트라 한다.

아침 식사 원칙을 지키는 것은 음주와 불규칙한 식습관의 예방을 의미하기도 한다. 아침을 먹기 위해 잠자리에서 일어나야 하므로 이것이 곧 생활습관을 바르게 가져가야 할 이유가 되는 것이다.

음식은 그 사람의 몸을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지표가 된다. 당신이 먹어 온 음식이 지금 당신의 모습이다. 특히 그 사람의 생활이 곧 그 사람이 취할 음식의 종류와 시간을 결정하는 요인이 된다.

필자의 집 주위에 택시 회사가 두 군데 있는데 그곳에서 2교대로 근무하는 택시기사들의 예를 들어보자. 여러 번 언급했듯 필자의 저녁 식사 시간은 4시다. 이것이 그들의 교대시간과 일치하므로 식당에서 이들과 조우하는 일이 잦다.

필자는 묵묵히 밥을 먹고 그들은 왁자지껄 안주를 먹으며 술을 마신다. 술을 끊었지만 먹고 싶은 마음마저 없어진 것은 아니므로 그들 상에 놓인 술병을 흘낏흘낏 쳐다본다. 이른 오후 임에도 술병의 숫자가 M+1을 훌쩍 넘겼다. 4시에 교대했으니 12시간 후인 새벽 4시에 다시 일을 시작해야 할 텐데 웬 술을 저리 마시나 걱정이 된다. 여명이 걷히기도 전에 다시 운전대를 잡고 손님을 태워야 할 텐데 말이다.

일반 직장인과 다른 출, 퇴근 방식과 운전의 스트레스가 이른 시간의 음주를 결정짓는 요소가 된 것이다. 직장인들의 야근이나 철야 근무 역시 야식을 부추기고 동시에 아침 식사를 거르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 생활을 바르게 가져가고자 생업을 버리거나 관리가 쉬운 직업을 택하기는 힘든 일이다.

분명한 점은 우리의 삶이 환경의 지배를 받거나 종속되어 빠져나오지 못한다면 각종 만성 질환의 위협을 벗어날 도리가 없다. 주어진 여건을 나름의 방법으로 이겨내는 자기관리가 꼭 필요한 이유다. 그래야 사는 대로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생각하는 대로 사는 삶을 살 것 아닌가.

저작권자 © 미디어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