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파인=박창희의 건강한 삶을위해] 얼마 전 모 일간지에 실린 다이어트 기사를 살펴보자. 하루 8시간을 맘껏 먹어도 석 달 후 체중 3%가 실종된다는 타이틀이 읽는 이들의 눈길을 끈다. 혈압도 정상치로 떨어진다며 16:8의 마법이라는 표현을 달았다. 음식이 넘치는 세상에서 비록 8시간에 불과(?)하지만, 맘껏 먹고 체중이 되레 준다면 그것은 신통방통한 마법임이 분명하다. 양껏 배를 채우는 8시간 외 남은 16시간은 뭘 해야 하는지 궁금해진다. 오후 6시부터 다음 날 아침 10시까지 16시간 동안 물 외엔 절대 금식 원칙이다. 일리노이대학(UIC)연구 결과에 대해 독자께서는 어떤 생각이 드시는가. 생경한 이 이론을 정리하면 낮 동안(10:00~18:00) 실컷 먹고 18:00 시부터 다음 날 10:00까지 금식하면 체중이 줄어든단 얘기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 이론은 그저 낭설에 불과하다. 기사를 관심있게 들여다보니 그 주장이 은유나 비유가 아니라 실제로 사실임을 적시하고 있어 더욱 황당하단 생각이 든다. 아침, 저녁을 거르고 점심을 배불리 먹어도 그다음 날 체중이 불어나는 게 현실이다. 체중을 매일 재는 습관을 지닌 자들은 야식을 끊더라도 일과 중 먹은 음식의 양에 따라 다음 날 체중이 널뛰기함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일리노이대학 연구 결과의 핵심은 오후 6시부터 다음 날 오전 10시 사이의 철저한 금식에 있다. 16시간의 금식엔 필자도 동의하는바 이론적으로 살펴보자.

휴식을 취해야 할 저녁 시간대는 활동하는 낮 시간대에 비해 우리 몸, 즉 신경계 및 호르몬 등 내분비 시스템 자체가 달라진다. 같은 종류와 양의 음식이라도 낮이냐, 밤이냐에 따라 우리 몸의 대응 방법은 확연히 달라진다. 야식에 맞서는 우리 몸의 대응 방식은 유입된 음식물의 신속한 지방 전환이다. 최대한 빨리 소화 및 흡수, 즉 대사를 진행해 우리 몸을 휴식 모드로 되돌리기 위한 부교감신경의 고육지책이라 할 수 있다. 신경계뿐 아니라 내분비계, 즉 호르몬 체계 역시 야식 습관을 체중 관리의 치명적 요소로 만든다.

체지방 호르몬인 인슐린 호르몬은 췌장에 위치한다. 그 역할이 지대한 탓에 필자는 인슐린 호르몬을 국민 호르몬이라 칭하기도 한다. 이자라 부르기도 하는 췌장의 베타세포에서 분비되어 혈액으로 흐르는 국민(?) 호르몬은 음식이 소화, 흡수된 직후 혈액으로 유입된 글루코스(포도당)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임무를 맡는다. 인슐린 호르몬의 역할은 크게 두 가지다. 식사 후 급격히 높아진 혈당, 즉 혈액 속의 당분을 세포 속으로 밀어 넣어 에너지로 쓰이게 하거나, 과다하게 유입되어 넘치는 포도당을 간과 근육에 글리코겐 또는 지방으로 저장하는 일이다.

물론 길항작용, 즉 지방의 동화가 아니라 지방세포를 분해하는 역할, 즉 이화작용을 돕는 글루카곤 호르몬은 저녁 시간대 우리의 몸에서 분비되지 않는다. 이렇듯 야식이 비만에 미치는 악영향은 이루 말할 수 없이 많다. 그렇다 하더라도 일리노이대학의 연구처럼 통제된 야식이 낮 시간대의 무절제한 열량 섭취를 이겨낼 가능성은 없다. 낮 시간 중 섭취하는 에너지의 총량과 야식이 체중 감량에 미치는 영향은 동시에 고려되어야 한다. 시간대별 음식 섭취가 중요하긴 하지만 하루 중 유입된 전체 에너지의 비중이 체중의 증감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침을 명심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야식을 끊더라도 낮 시간대의 폭식은 체중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다이어트를 하거나 건강을 지킴에 어떤 결론을 명쾌하게 내는 것은 정말 주의해야 할 일이다. 누군가 들고나온 그만의 건강 법이나 체중 감량 비법을 맹목적으로 추종할 일도 아니다. 무엇이 좋다거나 나쁘다는 논리를 획일적으로 우리 몸에 적용하여 매번 동일한 결과를 얻기란 가능한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보편 타당성이 결여된 맹목적 믿음은 자신이나 지인 더 나아가 주변인까지 위태롭게 만드는 일임을 명심해야 한다.

▲ 박창희 다이어트 명강사

[다이어트 명강사 박창희]
-한양대학교 체육학 학사 및 석사(동대학원 박사과정 중)
-건강 및 다이어트 칼럼니스트

저작권자 © 미디어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