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파인=김영근 교수의 '안전혁명']  

▲ 사진=kbs 화면 캡처

‘위험사회’―재해와 재해시스템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우리는 4차산업혁명 시대의 ‘위험사회’에서 살고 있다. 중요한 것은 기술만을 중시하는 풍조에서 벗어나 인간의 ‘안전’을 우선하지 않으면 중국이 서양기술을 도입하려 했던 ‘양무운동’과 마찬가지로 실생활과의 괴리라는 실패의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4차산업혁명’의 키워드는 ‘안전’이다, ‘안전혁명’이란 무엇인가

‘4차산업혁명’이란 3차 산업혁명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물리학, 생물학 등 경계가 없어지고 융합되는 기술 혁명을 뜻한다. “획기적인 기술 진보, 파괴적 기술에 의한 산업재편, 전반적인 시스템의 변화 등이 4차 산업혁명의 주요 특징이다.” 물론 ‘4차산업’이나 최신의 과학기술의 진화 및 활용도 중요하지만, 오히려 융복합화 되고 있는 ‘지식간의 관계’에 더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과학기술의 발전이 정치는 물론 경제와 경제학에 새로운 자극과 추동력으로 작용하고, 마찬가지로 경제와 경제학 역시 산업화 또는 산업기술과 맞물려 있는 과학기술의 발전 및 변화에 중요한 변인으로 역할해 왔다.” 또한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을 사회생활 속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단순히 새로운 수요 창출에만 몰두할 것이 아니라 안전한 성장을 달성하는 데 관심을 가져야 한다. 즉 산업화 및 과학기술의 진전과 더불어 새로운 행위자, 요소, 소비 과정에서 ‘안전혁명학’, ‘안전경제학’ 혹은 ‘안전정치학’이 주목받아야 한다.

기술과 정보의 안전한 활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여기서 ‘안전혁명’이란 제4차산업혁명의 별칭이라 할 수 있으며, 산업혁명의 진화하는 과정에서 그 방향성이자 컨텐츠 등을 포함하는 용어이다. 산업혁명의 진화과정에서는 인공지능(AI), 로봇, 빅테이터, 사물인터넷(IoT)과 같은 새로운 기술의 부(負)의 유산이라 할 수 있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충돌(마찰) 등 안전 문제가 가장 관건이 될 수 있다. 단순히 기술의 발전 속도(Velocity) 및 정도, 기술의 효율성도 중요하지만 안전하게 활용되는 메커니즘에 더욱 더 신경써야 한다. 무엇보다도 기존의 산업기술과 과학기술가 각자의 대응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이는 한 분야의 산업의 차원에서만 한정된 기술은 더 이상 융복합적 연쇄재난(재해) 상황에는 제대로 대응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다시 한 번 강조하자면 현대 사회의 병폐이자 장점이라 할 수 있는 고도의 기술과 정보의 안전한 활용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국민의 안전생활 혹은 안전 대한민국을 위해서는 과학기술인문사회융합적 접근이 절실하다.

▲ 고려대 글로벌일본연구원 김영근 교수

[김영근(金暎根) 교수]
1967년 출생 도쿄대학 대학원 총합문화연구과 박사(국제관계학 전공)
현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교수 / 사회재난안전연구센터장
전 계명대학교 국제대학 일본학과 조교수
전 현대경제연구원 동북아연구센터 연구위원 역임
전 미국 예일대학 국제지역연구센터(YCIAS) 파견연구원

저서
「한일관계의 긴장과 화해」(공저)
「일본, 야스쿠니」(공저)
「한일관계사 1965-2015 경제」(공저)
「동일본대지진과 일본의 진로」(공저)
「일본의 재난·안전과 지방자치론」(공역),
「검증 3.11 동일본대지진」(공역) 외 다수

논문
‘한일간 위기관리의 정치경제학’
‘재해후의 일본경제정책 변용’ 외 다수

저작권자 © 미디어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