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파인=짱구 박사의 행복한 교육] 현직 교사의 말을 빌리면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반 이상이 자신의 장래 희망에 대한 관심이 크지 않다고 합니다. 다른 말로는 꿈이 없다고도 표현할 수 있습니다. 그나마 꿈의 공란을 채운 학생들도 소위 말하는 의사, 판사, 공무원 등 아마도 부모님의 희망 사항을 적는 경우가 다반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에게 꿈은 있는 것이 좋을까요? 없는 것이 좋을까요? 대전국제학교(TCIS)에서 하버드대학교의 조세핀 김 교수의 강의를 들을 기회가 있었습니다. 강의 주제는 아이의 자존감에 대한 내용이었지만 매우 공감되는 꿈에 대한 키워드가 있어서 공유하고자 합니다.

조세핀 김 교수의 강의나 저서는 인터넷으로 많이 검색됩니다. 시간 되실 때 들어 보시는 것도 아이들의 자존감 교육을 위 좋을 것 같습니다. 김 교수는 미국의 대학 교육 시스템이 반드시 옳다는 것은 아니지만 학생들이 입학 후 전공을 졸업 전까지 5번 정도 바꿀 수 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대학도 복수 전공과 전과 제도 등이 있기는 하지만 특정 전공을 선택 후 웬만해서는 전공을 바꾸기 쉽지 않은 점과는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주목해야 할 것은 미국의 대학생들조차도 나에게 맞는 분야가 어디인지, 내가 어떤 학문 영역을 좋아하는지를 잘 모른다는 사실입니다.

대학생조차 이러할진대 우리 중고등학생은 어떠할까요? 그들이 비록 꿈이 없다고 하더라도 전혀 이상한 일이 아니라는 것을 통계적으로 보여 주고 있는 것입니다. 물론 꿈이 있고 그 꿈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는 아이는 그렇지 않은 아이보다 분명히 성취할 확률이 높은 것은 당연합니다.

꿈을 가진 아이들은 대부분 특정한 경험이나 독서 등의 간접 경험에 의해 자존감과 동기 부여가 되기 때문에 좀 더 미래 지향적이고 꿈을 향해 집중하는 노력이 많은 것이 일반적인 것 같습니다. 꿈이 없다는 아이들은 사실 꿈이 없는 것이 아닙니다.

다만 아직까지 그 꿈이 드러나지 않은 상황일 뿐이며, 동기 부여가 되지 않은 것입니다. 대학생이 되어도 자신의 꿈을 바꾸는 것이 다반사인 청춘 시절을 감안하면 다른 측면에서 보면 이들이 꿈을 꾸는 시기가 비록 늦더라도 반드시 이루어지리라 생각합니다.

자신의 꿈을 위한 노력에는 어떠한 나이 조차도, 심지어 그가 비록 불혹이라도 아무런 장애가 되지 않는다는 것은 저의 확고한 신념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아이들에게 행복한 꿈을 꾸며 미래를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할지를 제대로 배우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학습이 바로 학교에서 많은 지식들을 쌓는 것이 좋다는 사실을 깨우쳐 줘야 합니다.

이것이 바로 학교에서 모든 과목을 진짜 열심히 공부해야 하는 이유중의 하나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우리 아이들이 어떤 영역에서 두각을 나타내는지 지켜보고 이를 지지해 주는 것이 바로 부모님의 역할이 아닐까요?

결론적으로 말하면 꿈은 있어도 좋고 없어도 좋다는 것이 제 의견입니다. 성년이 되기까지는 다양한 꿈을 꾸어도 좋고 바꾸어도 좋고 꿈이 없어도 좋습니다. 특별히 하고픈 꿈이 없다는 것은 반대로 생각해 보면 무엇을 해도 좋다는 얘기와 일맥상통하지 않을까요?

저작권자 © 미디어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