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파인 칼럼 = 이상원 기자] 연구원들은 목성의 번개가 일반적으로 약 1밀리초 간격으로 전파 펄스를 방출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과학자들은 이 전파 펄스가 지구의 번개와 비슷한 속도로 전파된다고 말한다. 또한 이런 두 행성 사이의 전기 현상의 유사성은 외계 생명체를 찾는 것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지구에서 번개는 구름 내의 난류 바람으로 인해 얼음 결정과 물방울이 진동하여 대전 된 다음 구름의 반대편으로 이동한다. 즉 점진적으로 정전기 전하를 생성한다. 이후 전자들은 반복적으로 공기를 이온화시키고, 초당 평균 수만 볼트로 올리
[미디어파인 칼럼 = 이상원 기자] 우주에서 발견된 물체가 천문학자들을 놀라게 했다.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을 통해 수집된 관측 결과, 태양 질량의 900만 배에 달하는 초대질량 블랙홀이 발견되었는데, 이 블랙홀은 주변 공간에서 물질을 흡수하면서 활발하게 성장하고 있었다. 해당 초대질량 블랙홀은 빅뱅이 일어난 지 겨우 5억 7천만 년 후로 추정되며, 과학자들은 초대질량 블랙홀을 통해 과거의 우주를 파악하려 노력하고 있다. 또한 이번에 발견된 블랙홀은 가장 빨리 성장하고 있는 초대질량 블랙홀로 알려졌다.이 블랙홀은 EGSY8p7로 알
[미디어파인 칼럼 = 이상원 기자] 시간 여행은 많은 사람의 흥미를 끄는 주제이다. 하지만 기술이 아무리 발전해도 시간여행 기술에 대한 발전은 보일 기미가 없다. 사실 과학자들은 시간을 막 넘어 드는 영화 같은 일은 현실 세계에서는 가능성이 없다고 생각하지만, 시간 여행을 완전히 무시하지는 않는다.가까운 미래로 시간 여행을 하는 것은 생각 외로 쉽다. 지금 일반적인 상태에서 당신은 초당 1초의 속도로 시간 여행을 하는 것이다. 아인슈타인의 특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시간의 흐름은 당사자가 얼마나 빨리 움직이느냐에 달려 있다. 즉
[미디어파인 칼럼 = 이상원 기자] 빅뱅은 현재까지 가장 인정받고 있는 우주의 출발점 이론이다. 하지만 최근 일부 연구에서 우주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두 배나 오래되었을 수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오타와 대학의 전문가들은 우주의 발생에 관한 새로운 모델을 고안했고 빅뱅이 267억 년 전에 일어났다고 주장한다. 이것은 기존의 빅뱅 이론보다 거의 두 배나 오래된 것으로, 이것은 우리 우주가 137억 년 전보다 훨씬 더 거슬러 올라간다는 것을 말한다.지금까지, 과학자들은 먼 은하에서 오는 빛의 적색편이 현상에 기초하여 우주의 나이를
[미디어파인 칼럼 = 이상원 기자] 우주는 현재도 팽창하고 있다. 이는 광속 그 이상의 속도로 팽창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는 영원히 우주의 끝을 볼 수 없다. 이런 것은 가속 팽창이라고 불리는데 우주는 초기의 팽창 속도보다 현재의 팽창 속도가 훨씬 빠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호주 시드니 대학의 천체 물리학자 제라인트 루이스와 오클랜드 대학의 통계학자 브렌던 브루어는 퀘이사 은하라는 매우 거대한 천체를 연구하면서 우주의 팽창에 관한 초기 우주의 단서를 찾아냈다.그들은 우주 초기의 퀘이사 은하를 관찰하면서 우주 초기의 팽창 속도가
[미디어파인 칼럼 = 이상원 기자] 화성은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행성으로 지구와 비슷한 점이 많다. 이런 화성의 표면에서 유기 분자가 발견됐다. 과학자들은 해당 유기 분자로 화성에 생명체가 존재했는지에 대한 새로운 단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해당 탄소, 수소, 산소, 질소, 황 등을 포함하는 분자들은 화성 운석과 화성의 게일 분화구에서 발견됐다. 나사의 탐사선은 화성의 제제로 분화구에서 유기 화합물을 발견했는데, 이는 과거에 생물체가 거주했을 가능성이 높은 고대 호수 분지이다. 해당 연구 결과는 화성에 더 복잡한 유
[미디어파인 칼럼 = 이상원 기자] 다중우주, 멀티버스라고 불리는 이 단어는 사람들의 입에 흔히 오르내리곤 한다. 특히 최근 마블 영화에서 멀티버스라는 개념이 사용되면서 우리 우주와 동일한 우주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그럼 이런 다중우주 멀티버스에 대해 짧게 한번 알아보자.먼저 다중우주의 개념에 대해 제대로 정립할 필요가 있다. 영화에 나오는 멀티버스는 다른 세계의 우주가 완전히 우리 우주랑은 다르다. 예를 들어 내가 사과를 먹었던 아침이 바나나를 먹게 바뀔 수도 있다. 하지만 물리학에서는 그렇지 않다. 시공간으로 쭉
[미디어파인 칼럼 = 이상원 기자] 외계행성 GJ367b라는 독특한 외계행성이 발견되어 화제이다. 외계행성 GJ367b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TESS(Transiting External Survey Satellite) 관측소에서 확인되었다. 이 특이한 외계행성은 지구에서 약 30광년 떨어진 비교적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다.이 행성은 지구의 반지름의 72%에 불과하지만 질량은 절반이 조금 넘는다. 이 행성의 가장 특이한 점은 공전주기가 7.7시간이라는 점이다. 즉 여기서 1년은 고작 7.7시간이라는 것이다. GJ367b의
[미디어파인 칼럼 = 이상원 기자] 나사는 매우 빠른 형태의 블랙홀이 우주를 떠돌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 초거대 질량 블랙홀이 우주를 빠르게 가로지르고 있는 것이다. 만약 그런 블랙홀이 태양계에 있었다면, 지구에서 달까지 약 14분 만에 갈 수 있는 속도이다. 태양 질량의 2천만 배에 달하는 이 블랙홀은 은하수 지름의 두 배인 20만 광년에 자신의 흔적을 남겼다. 놀랍게도 과학자들은 블랙홀이 질주한 흔적에서 별의 새로운 형성을 관측하기도 했다. 아마 대부분은 블랙홀이 주위의 별들을 잡아먹는 것을 상상할 것이다. 하지만 허블 우주 망
[미디어파인 칼럼 = 이상원 기자] 태양 복사와 우주방사선이 지구를 통과할 때, 지구의 바깥쪽에서 생성된 자기장은 우주 에너지로부터 지구를 보호한다. 이 자기장이 바로 자기권이다. 이러한 지구의 자기장은 힘이 변할 수 있고 자기장의 세기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동하기도 한다. 이런 현상은 지구의 자기 북극과 자기 남극의 강도와 위치의 변화로 이어질 수 있고 오랜 시간이 지나면 자기 극의 역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 최근까지 이러한 자기 현상들이 날씨, 멸종 자연재해 등에 원인이 있다고 주장되어왔다. 하지만 지구 자기장이 기후 변화의
[미디어파인 칼럼 = 이상원 기자] 지구의 나이를 봤을 때 우리 인류는 매우 짧은 시간 정도만 살아왔다. 지구의 삶을 1년으로 볼 때 인류가 나타난 시기는 채 1분이 안 되는 것처럼 말이다. 하지만 필자를 포함해 대부분의 인류는 멸망하기를 원하지 않는다. 그러면 우리가 좀 더 오래 존속하기 위해서 무엇을 조심해야 할까?1. 기후변화사람들이 기후변화가 인류 멸망에 그리 큰 영향을 주지 않으리라 생각한다. 하지만 이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지구의 기후는 수백만 년 동안 변했다. 과거에는 오늘보다 더 뜨거웠던 때가 있었고, 더 추웠던 때
[미디어파인 칼럼 = 이상원 기자] 기존에 중성미자는 매우 활동적인 블랙홀을 가진 은하에서만 발견되었다. 하지만 지난 2022년 1월 남극 지하의 중성미자 관측소에서 재미있는 결과가 나왔다. 별의 폭발이나 블랙홀과 같은 큰 규모의 천문학적 사건에서 주로 관측되는 중성미자는 사건의 희소성 때문에 발견하기가 매우 어렵다. 중성미자는 매우 작은 질량을 가졌다. 또한 가스 구름이나 고체 행성을 통과할 수 있는 특성은 발견을 더 어렵게 한다. 하지만 연구원들은 처음으로 은하수의 중심별 띠에 해당하는 우리은하의 데이터에서 중성미자를 발견했다.
[미디어파인 칼럼 = 이상원 기자] 천문학자들은 최근 시공간으로 구성된 우주에서 거대한 파장이 처음으로 발견했다. 이 정도 규모의 중력파는 태양 질량의 수십억 배에 달하는 초대질량 블랙홀을 병합될 때 나타나는 크기이다. 북미 나노 헤르츠 중력파 관측소의 과학자들은 최근 연구에서 펄스(매우 짧은 시간에 발생하는 파동)로 회전하는 항성 잔해에서 파열음 파장의 변화를 연구함으로써 이러한 파동을 찾아냈다. 천문학자들이 수천 광년의 우주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이 발견은 초거대 블랙홀이 우주를 형성하는 데 어떻게 도움을 주었는지 밝혀줄 것으로
※ 해당 칼럼은 유튜브 NASA Goddard의 블랙홀 시뮬레이션 영상을 기반으로 하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미디어파인 칼럼 = 이상원 기자] 거대 질량 블랙홀은 대부분의 큰 은하의 중심부에 숨어 있는 있다. 그리고 이제 새로운 나사 시뮬레이션은 초거대 블랙홀에 '슈퍼'를 집어넣었다. 이 시뮬레이션은 은하수와 M87과 같은 거대 은하 중심에 있는 블랙홀 10개가 별을 먹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이 시뮬레이션은 블랙홀의 그림자 크기에 따라 전체 크기를 조정하는데, 과학자들은 블랙홀의 첫 번째 이미지가 그림자 영역을 둘러싸고 있는 뜨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