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계, 50억 년 뒤엔 ‘행성 탈출’ 위기?…지나가는 별이 끼치는 숨은 위험
태양계, 50억 년 뒤엔 ‘행성 탈출’ 위기?…지나가는 별이 끼치는 숨은 위험

[미디어파인 = 이상원 기자] 우리 태양계는 겉보기에 한가해 보이지만, 장구한 우주 시계로 보면 이웃 별들과의 ‘근접 조우’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최근 학술지 아이카루스(Icarus)에 실린 시뮬레이션 연구에 따르면, 수백만~수천만 년마다 한 번씩 발생하는 별의 근접 통과가 수십억 년 스케일에서 태양계 행성 궤도에 예기치 않은 불안정을 불러올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태양과 가장 가까운 별까지 거리는 4광년. 그러나 8만 년 전 적색왜성 ‘슐츠의 별’은 태양에서 0.85광년까지 접근했으며, 130만 년 뒤엔 ‘글리제 710’이 0.17광년까지 스쳐 지나갈 예정이다. 연구진은 이런 근접 통과가 태양 주위를 둘러싼 오르트 구름(장주기 혜성의 원천)을 교란해 혜성 폭주를 일으킬 뿐 아니라, 행성 간 미세한 중력 사슬을 통해 내행성 궤도까지 흔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시뮬레이션은 태양계 8행성에 왜소행성 명왕성을 포함시켜 수십억 년을 가정해 돌렸다. 연구 결과, 해왕성 궤도가 별의 중력에 가장 먼저 영향받으면 그 효과가 천왕성‧토성‧목성을 차례로 거쳐 수성‧화성에까지 전해졌다. 목성과 수성의 궤도가 공명 상태에 빠지면 수성 궤도가 크게 늘어나 태양에 추락하거나 금성‧목성의 중력으로 태양계를 이탈할 수 있다는 시나리오다. 가장 불안정한 천체는 명왕성으로 나타났다. 50억 년 동안 태양계를 완전히 벗어날 확률이 약 4%로 추산됐다. 수성과 화성은 각각 0.56%, 0.3% 수준이며, 지구 역시 0.2% 미만이지만 충돌‧방출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결론이다. 기존 ‘외부 간섭 없는’ 모형보다 위험도가 소폭 높아진 이유다.

연구진은 “태양계 나이가 45억 년인 만큼 같은 기간을 또 기다려야 할 드문 이벤트”라며 당장 우려할 사안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당면한 위협은 기후 변화, 중형급 소행성, 초화산 폭발 등 인류 문명 규모의 재난이라는 것. 그럼에도 장기적 관점에서 태양계의 동적 진화를 이해하기 위해선 별의 근접 통과를 포함한 정밀 시뮬레이션이 필수라고 덧붙였다. 결국 “우주적 시간척도에서는 태양계도 안전지대가 아니다”라는 사실이 확인됐지만, 현재 인류가 당면한 실제적 위험은 훨씬 가까운 미래에 있다는 메시지가 더욱 선명해졌다.

저작권자 © 미디어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