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파인 칼럼=이상원의 쉽게 읽는 경제상식] 오늘의 경제용어 700선은 뱅크런이다. 뜻과 원인에 대해 살펴보자.

◆목차
1. 뱅크런의 뜻
2. 뱅크런의 원인
3. 뱅크런의 사례

1. 뱅크런의 뜻

뱅크런(Bank Run)에 대해서 들어본 적이 있는가? 아마 뉴스를 꼬박꼬박 챙겨보는 사람은 최근 3월 미국에서 실리콘밸리 은행에서 뱅크런이 났다는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그때 당시 뉴스를 보면 미국 경제가 망한 것처럼 보도를 했다. 그렇다면 도대체 뱅크런이 뭔지, 또 뱅크런이 일어난 원인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뱅크런은 쉽게 말하면 은행이 망하는 것이다. 좀 어려운 말로는 대량예금인출사태라고도 불린다. 이를 알기 위해 은행의 역할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자.

이를 알기 위해서는 은행이 만능인가?라는 질문에서부터 시작한다. 흔히 은행에 돈을 예금하면 그 돈은 절대 손해를 보지 않는 돈이다라고 아는 경우가 있다. 대부분의 상황에서 맞는 말이지만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은행 A가 있다고 해보자. A은행은 현재 100억을 자금으로 운용하고 있다. 하지만 은행은 여러분이 생각하는 것처럼 금고에 100억을 쌓아두는 것이 아니다. 매우 일부만 은행에 물리적으로 저장하고 나머지는 필요한 사람에게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거나 투자 기금으로 운용해 이득을 불리는 것이다. 이때 은행에 저장되어 있는 매우 적은 돈을 지급준비금이라고 한다. 

☆중간정리☆
-은행에는 물리적으로 모든 돈이 준비되어 있는 것이 아님 --> 준비되어 있는 돈 : 지급준비금

통상 우리나라의 지급준비금은 7%이다. 즉 100억이면 7억 정도만 은행에 저장되어 있는 것이다.

그런데 어느 날 A은행에 하루에 10명의 손님이 찾아온다. 각각의 손님은 전부 1억을 예치해 둔 상태이다. 10명의 손님 모두가 1억을 찾는다고 하면 은행은 굉장히 당황스러울 것이다. 준비해 둔 돈은 7억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 소식이 다른 돈을 맡긴 손님에게 전해져 A은행에는 돈을 돌려달라는 사람이 아우성치게 된다. 이 사태가 바로 뱅크런이다.

☆중간정리☆
-지급준비금이 모두 없어져 은행이 더 이상 돈이 없는 사태를 뱅크런이라고 한다.

2. 뱅크런의 원인

앞서 우리는 뱅크런이 뭔지에 대해서 살펴보고 원인까지 살펴보았다. 하지만 현대에 와서는 이런 뱅크런을 막기 위해 여러 가지 장치를 해두고 있다. 그중 하나가 예금자 보호이다. 은행이 파산한다고 하더라도 정부나 그 외 기관에서 5천만 원까지 대신 보상해 준다는 것이다. 그래서 예금할 때 5000만 원씩 나누어서 넣으라는 이야기가 여기서 나온 것이다. 하지만 이런 대안책이 있음에도 뱅크런이 일어나곤 한다. 그 원인에 대해서 알아보자.

결론부터 말하면 은행이 신용을 잃을 때 뱅크런이 일어나게 된다.

다시 A은행의 사례로 돌아가보자. A은행의 창업주들은 자신들의 자본금 1억과 고객들의 예금 20억을 활용해 은행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A은행의 창업주들은 이 돈들을 자기 마음대로 사용하고 주식, 도박에 투자하는 등 방탕한 운영을 해왔다. 이 손해액이 자신들의 기초 자본금인 1억보다 적을 때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1억을 넘어가는 순간 고객들은 자신들의 돈을 받지 못할 우려가 생긴다. 고객들의 예금인 20억보다 단 1원만 부족해도 늦게 돈을 찾는 사람은 돈을 돌려받지 못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은행은 고객으로부터 신용을 잃어버린 것이다. 

☆중간정리☆
-은행이 신용을 잃을 때 뱅크런이 발생한다.

3. 뱅크런의 사례

1929 경제 대공황 당시 뱅크런
2008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당시 뱅크런
2010 대한민국의 부산저축은행 뱅크런
2015 그리스 경제 위기 뱅크런
2021 아프가니스탄 뱅크런
2023 3월 미국 실리콘밸리은행 뱅크런

이상원 대학생 칼럼니스트
이상원 대학생 칼럼니스트

 

[이상원 칼럼니스트]
고려대 산업경영공학과(휴학 중)
미디어파인 대학생칼럼니스트 겸 기자
티스토리 '경제의 모든것' '내마음의 도서관' 블로그 운영

저작권자 © 미디어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