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파인=조영곤의 경제 읽기] KB국민은행(은행장 이재근)과 하나금융그룹(회장 함영주)이 금융산업의 신기술 향연을 펼치고 있다. 가상현실과 기후리스크 해소. 오늘의 '알쓸경전(알아두면 쓸모 있는 경제 집학사전)'이다. 

사진 앞줄 왼쪽부터 콜린 크룩스(Colin Crooks) 주한영국대사,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사진 뒷줄 왼쪽부터 권희백 한화투자증권 대표이사, 남이현 한화솔루션 대표이사, 김은미 이화여자대학교 총장,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 손병환 NH농협금융지주 회장, 편정범 교보생명 대표이사 등이 8일 서울 정동 주한영국대사관에서 '기후리스크 관리모형' 개발 업무협약을 체결한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앞줄 왼쪽부터 콜린 크룩스(Colin Crooks) 주한영국대사,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사진 뒷줄 왼쪽부터 권희백 한화투자증권 대표이사, 남이현 한화솔루션 대표이사, 김은미 이화여자대학교 총장,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 손병환 NH농협금융지주 회장, 편정범 교보생명 대표이사 등이 8일 서울 정동 주한영국대사관에서 '기후리스크 관리모형' 개발 업무협약을 체결한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하나금융, 금융감독원과 '기후리스크 관리모형' 개발 맞손 

하나금융그룹이 금융감독원·영국(대사관)·이화여대·국내 주요기업이 참여하는 민관학 공동프로젝트 참여했다. 

연구인력 지원 및 관리모형 개발을 위한 다양한 기후 데이터 분석 결과 제공 등에 나선다. 또 선제적 기후변화 리스크 대응을 통해 ESG 금융 지원 및 투자 확대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먼저 민관학 프로젝트의 성격을 보자.

고도화된 기후리스크 관리모형인 '프론티어 -1.5D' 개발을 위해 뭉쳤다. ‘프론티어 -1.5D’는 지구 온난화를 산업화 이전과 대비해 1.5도 이내로 제한하는 ‘국제적 합의 성취를 선도’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민관학은 부문별로 역량을 집중한다. 

9일 하나금융그룹에 따르면 금감원은 BIS(국제결제은행)가 제시한 금융당국의 역할에 기반해 코디네이터 역할을 수행한다. 하나금융그룹을 포함한 민간 기업들은 업종별로 기후리스크 관련 데이터 분석 및 연구개발 협력에 나선다. 이화여대는 연구 방법론과 연구모형 개발을, 영국(대사관)은 자문 역할을 담당할 예정이다.

하나금융그룹의 역할이 키포인트다. 기후리스크로 발생하는 손실에 대한 종합적인 접근법을 제시한다.

즉, 물리적 피해가 대출 등에 손실을 일으키는 '물리적 리스크'와 저탄소사회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금융손실인 '이행 리스크'에 대비하는 기후 리스크 관리모형 개발에 기여하는 것이 골자다. 

중요성을 알기에 전사적인 역량 집중에 나서는 모양새다.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은 “전 세계적으로 기후리스크 관리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민관학이 협력하는 이번 공동 연구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며 “하나금융그룹도 지난 2020년부터 기후리스크 분석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만큼 그 간의 결과물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실용적인 모형을 개발하는 데 적극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KB국민은행 직원이 VR기기를 착용한 후 'VR 뱅킹' 기술을 시현하고 있다. 
KB국민은행 직원이 VR기기를 착용한 후 'VR 뱅킹' 기술을 시현하고 있다. 

KB국민은행, 국내 최초 'VR뱅킹 기술' 개발 완료

KB국민은행이 국내 최초로 ‘VR(Virtual Reality: 가상현실)뱅킹 기술’ 개발을 완료했다.

9일 KB국민은행에 따르면 ‘VR뱅킹 기술’은 3D 가상환경에서 금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혁신 기술이다. 현재 국내·외 특허출원을 준비중이다. 

금융고객에게는 독특한 체험이 될 것으로 보인다. 모바일 VR앱에 로그인하고 장비를 착용하면 VR 내에서 계좌조회와 이체가 가능하다. 금융인증서를 통해 안전하게 로그인할 수 있다. 핸드-콘트롤러 없이 스마트폰과 VR장비만으로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금융업계의 시선 집중이다. 미래 금융시장의 새로운 비대면 채널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관건은 사용감이다. 새로운 비대면 채널 탄생이 반갑지만, 신속성과 편리성이 떨어지면 무용지물이다. 

KB국민은행 역시 이같은 지적에 고개를 끄덕인다. 기술 향상 노력을 지속한다는 뜻을 피력했다. 

KB국민은행은 VR/AR(Augmented Reality: 증강현실)환경에서 금융서비스를 체험할 수 있도록 기술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이르면 내년에는 현실과 가상을 융합한 ‘AR뱅킹' 기술이 선보일 예정이다. 

윤진수 KB국민은행 테크그룹 부행장은 “VR뱅킹은 앞으로 다가올 미래 금융시장에 새로운 비대면 채널로서 발전 가능성이 높은 기술”이라며 “현재 개발된 VR기술을 더욱 고도화해 혁신적인 금융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조영곤 편집국장
조영곤 편집국장

[Who is?]
미디어파인 편집국장 
카앤토크 총괄 프로듀서

저작권자 © 미디어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