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회 오피니언 리더(opinion leader)들의 권위 의식(權威意識)과 역량(力量)
우리 사회 오피니언 리더(opinion leader)들의 권위 의식(權威意識)과 역량(力量)

[미디어파인=박미주 교수의 세상사는 이야기] 점점 거칠어지고 용감해져 가는 많은 사람들의 행동 또는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우리 사회의 오피니언 리더(opinion leader)들을 그들의 역량보다는 이미 권위 의식 안에 뻣뻣해진 태도들을 보면서 성질 급한 오지랖의 우려가 먼저 움직이는 사례들이 빈번해지고 있다.

어찌보면, 그들의 역할은 자신의 가족과 자신을 따르는 지역의 선 후배들, 그리고 자신들이 귀속되어 있는 조직에서 그들에게 비젼과 방향을 제시하고 그들과의 소통 능력과 문제 발생 시 해결 능력도 겸비되어야 한다.

그들은 조직의 건강한 활동 방향을 판단하는 통찰력으로 조직원들의 활동이 목적에 맞게 잘 운영되도록 하는 최소한의 역량이 조직원들과 그들을 인정하는 협업 단체들과의 관계에서 인정을 받아야 하는 리더십인 것이다.

최근 각각의 목적으로 활동하는 많은 단체들 중 본래의 방향을 잃고 리더의 실익에 치우치거나 그 실익에 좌우되는 활동 조례에서 금기사항인 역량들을 너무 아무렇지 않게 공개적으로 행하는 단체들이 이젠 너무 당연한 일이 되어 버렸다.

그뿐인가?

누군가가 그에게 옳지 않음을 소리라도 낼라치면 그들은 자연스레 지적한 이에게 거리를 두거나 경계를 하고, 건강하게 조직 활동을 하는 이들에게까지 치명적인 이미지를 형성시켜 서로 불편한 상황을 만든다.

그들이 자제해야 하는 활동이란 지자체의 직능단체 활동가는 특정 정당의 정치활동과 지원사업 등 그 활동으로 인한 자신의 사업적 영리를 목적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언제부턴가 우리 사회는 직능단체 활동을 하면서도 너무 당연하게 특정 정당 활동을 공개적으로 하고 있고, 자신의 사업 목적으로 조직활동을 하고 있어서 조직원들로부터 듣는 당연한 언성을 오히려 탓을 한다는 것이다.

자신의 선택이고 성향이라고 그들은 말한다.

그러나 그들의 위촉이나 활동 조례에는 분명히 명시되어 있는 일들을 따지자 들면 사실, 그 부분에서 자유로울 사람들은 몇 되지 않을 터이다.

우리가 지켜야 하는 작은 질서가 바로 이런 것이 아닐까 생각해 보는 계기이기도 하다.

또, 지금은 그 자리에 있지 않지만, 몇 년 전 아직도 자신의 실익에 따라 그 직능단체의 언저리쯤에 또 다른 직능단체장을 하고 있는 모 직능단체장 인터뷰를 한 적이 있다.

물론, 자질을 논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최소한 그의 소통 능력이나 문제해결 능력 정도는 듣고자 했으나 그는 결국 임기 동안 권위의식으로 조직원들과의 소통은커녕 오히려 임기를 마치고 난 뒤 후임자까지도 자신의 협력체계가 매끄러운 대상자를 미느라 정신없다는 카더라를 발생시킨 사례도 있다.

그들은 자신이 귀속되어 활동하는 조직원들에게 최소한의 오피니언 리더opinion leader)로서 그 사회에서 만큼의 책임이 있는 것이다.

집단 내에서 사람들의 사고방식이나 행동에 강한 영향을 주고, 해당 집단 안에서 다른 사람들의 사고방식이나 태도·의견·행동 등에 강한 영향을 주는 사람이 바로 오피니언 리더가 아니던가?

자신의 조직활동에서 조직원의 사고나 행동에 영향력을 발휘되는 사람으로 다른 사람들의 태도·의견·행동 등에 강한 영향을 주고 있다면 최소한의 책임을 갖는 질서라는 것은 분명 있다.

물론, 특정 정당 활동이나 지원사업, 사업적인 목적이 있다고 해서만 건강하지 않은 활동이라 말할 수 없지만 최소한 내가 귀속되어 있는 집단이 건강하게 운영되어야 하는 것과 그로 인한 권위 의식(權威意識)으로 조직원들이나 협력 단체들에게 불쾌감과 불편함을 준다면, 그것은 분명 건강한 활동이 아니라는 것이다.

박미주 교수(작사가. 김포대 특임교수)
박미주 교수(작사가. 김포대 특임교수)

[박미주 교수(작사가. 김포대 특임교수)]
한국 에니어그램 경영협회 부대표
박미주의 마음연구소 소장
대중가요 작사가
2014년 서울 경제 100인의 CEO 선정
김포대학교 특임교수(태권도융합과)
파주민보, 미디어파인 칼럼리스트 外

[학력사항]
서강대학교 경영학사
중앙대학교 창업 대학원 기후경제학 석사

[저서]
공감세상ㆍ생각으로 피어나다
에니어그램 인생 극장

저작권자 © 미디어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