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문 연 강릉 빈티지 바(bar)-세월을 견딘 공간의 감수성이 추억을 떠올리게 하는 곳[미디어파인 칼럼= 조동범 시인의 공간 읽기] 바다를 떠올릴 때 생각나는 도시들이 있다. 부산이나 인천, 제주 등의 도시는 언제나 바다와 함께 떠오르는 곳이다. 강릉 역시 바다를 떠올릴 때면 늘 생각나는 도시다. 그중에서 강릉은 그리움처럼 출렁이는 바다의 이미지와 가장 맞닿아 있는 도시라는 생각이 든다. 인근 속초와 양양 해변이 핫플레이스가 되었지만 7번 국도를 따라 이어진 해변과 바다를 상징하는 가장 강력한 기호는 여전히 강릉이다. 깊
-지역 공동체를 살리는 여행자 카페-비건 옵션 가능한 전국구 짜이 맛집이자 비건 식당[미디어파인 칼럼= 조동범 시인의 공간 읽기] 특별한 냄새로 기억되는 공간과 시간이 있다. 비 온 뒤에 올라오는 흙냄새가 그러하고 포구나 해변의 바다 냄새가 그러하다. 냄새는 공간과 시간에 특별함을 부여하며 우리의 기억 속에 남는다. 이국의 낯선 여행지도 그렇다. 비행기에서 내려 공항에 들어섰을 때 후각을 자극하며 다가오는 냄새는 오래도록 여행지에 대한 인상으로 남기 마련이다. 어떤 때에는 여행지에서 보고 듣고 먹은 것보다 냄새가 더 깊은 인상을 주
-여행을 꿈꾸는 이들과 지역 공동체를 사랑하는 동네 책방-강원도 동해시 묵호 바닷가 마을의 작지만 큰 책방[미디어파인 칼럼= 조동범 시인의 공간 읽기] 강원도 동해시 묵호에 있는 바닷가 작은 책방 ‘잔잔하게’에 다녀왔다. 오래전부터 가봐야겠다는 마음을 먹고 있던 곳인데 이곳에서 열린 북토크 사회자로 초대받았다. 묵호는 인근 강릉이나 속초, 삼척 등과 다른 느낌으로 다가오는 동네다. 묵호를 품고 있는 동해시의 느낌과도 다르다. 그야말로 ‘잔잔하게’ 일렁이며 다가오는 작고 아늑한 동네다.묵호라는 지명은 왠지 소박한 바닷가 마을과 그곳
-하루 두 번 열리는 바닷길과 선재도 목섬-선재도 해변과 카페 ‘뻘다방’[미디어파인 칼럼= 조동범 시인의 공간 읽기] 빛을 잃어버린, 눈이 멀어버린 대장장이가 있다. 평생 대장장이와 목수로 삶을 일궈온 이가 앞을 볼 수 없게 됐다는 건 앞으로 남은 모든 삶이 무너지는 일이었을 거다. 너무나 큰 고통이었을 것이기에 우리가 그 절망의 깊이와 크기를 헤아리는 것은 애초에 불가능한 일일 터이다.평생을 가까이 두었던 쇠와 불을, 나무와 톱을 볼 수도 다룰 수도 없게 되었을 때 그는 무엇을 생각했을까? 서해의 작은 섬 선재도에 살던 그가 바닷
조동범 시인의 감성 에세이 '조동범 시인의 공간 읽기' 연재를 시작합니다. 조동범 시인은 하루의 대부분을 읽고 쓰고 강의하며 지내는 강의집필노동자입니다. 문학동네 신인상을 받은 이후 몇 권의 시집을 낸 시인이기도 합니다. 시와 산문, 비평과 인문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의 글을 쓰고 있으며 대학 안팎에서 시와 시론, 글쓰기와 인문학 등을 강의하고 있습니다. 낯선 세계의 흔적을 찾아 떠도는 여행자이기도 합니다. 어디론가 떠나고 싶은 마음을 실천하며 길 위의 삶을 살고 있습니다. 그의 발길이 머무는 공간에 대한 특별한 느낌을 독자들과
[미디어파인 칼럼=조동범 시인의 100년의 서울을 걷는 인문학] 서촌을 걷는 것은 시간을 거슬러 먼 과거를 산책하는 것만 같다. 한옥과 근대 건축물 그리고 요즘 건물이 뒤섞여 있는 서촌은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을 한 곳에 모아놓은 것만 같다. 다가구주택이 많은 서촌 길이지만 이상하게도 그 길은 근대의 어느 시간이 숨 쉬고 있는 듯한 느낌을 준다. 근대 초기의 건축물과 유서 깊은 공간, 그리고 분위기 좋은 카페와 상점이 곳곳에 자리 잡고 있기는 하지만 그곳은 여전히 사람 사는 느낌이 물씬 나는 구도심의 어느 동네의 모습과
[미디어파인 칼럼=조동범 시인의 100년의 서울을 걷는 인문학] 1990년대와 함께 홍대앞 거리는 획기적인 변화를 겪는다. 90년대가 시작되기 전까지 홍대앞 거리는 특별할 것 없는, 일반적인 대학가와 별반 다를 바 없는 곳이었다. 분식점이 있고 술집과 카페가 있고 작은 식당들이 즐비한 평범한 거리였다. 심지어 골목 한편에는 옛날식 이발소가 자리 잡고 있기도 했다. 홍대앞 상권은 신촌 상권의 변방에 지나지 않았다. 90년대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인근 지역의 중심가는 단연 신촌이었다. 신촌을 중심으로 발달한 유흥가는 인근 이대앞과 더불어
[미디어파인 칼럼=조동범 시인의 100년의 서울을 걷는 인문학] 이름은 특정 대상을 구분하여 지칭하는 고유명사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대상을 호칭하는 것이 이름의 주된 기능이지만, 그 이면에는 대상에 숨어 있는 내재적, 외재적 상징을 담고 있기 마련이다. ‘코스모스’는 식물의 종(種)을 구분한 이름이지만, 그 안에는 무수히 많은 상징이 담겨 있다. 우리는 ‘코스모스’라는 이름을 통해 그 어떤 감각이나 의미를 떠올리기도 하고 특별한 감정에 휩싸이기도 한다. ‘코스모스’는 단순한 이름의 지위를 넘어 대상을 둘러싼 것들을 상징하는
[미디어파인 칼럼=조동범 시인의 100년의 서울을 걷는 인문학] 롯데월드는 하나의 기호이자 상징이다. 그곳은 단순한 놀이공원이 아니라 현대문명사회의 비극성이 감춰진 공간이며 대중소비사회의 욕망이 꿈틀대는 곳이다. 지하철2호선과 8호선이 교차하는 잠실역에서 내리면 곧바로 모험과 신비의 나라 에 입장할 수 있고, 우리나라 최고층 빌딩 에 갈 수 있다. 롯데월드와 롯데월드타워에 있는 것은 놀이공원과 쇼핑몰과 호텔만이 아니다. 그곳에서 할 수 없는 일은 존재하지 않을 것만 같다. 이곳은 하나의 도시이자 왕국이다.
[미디어파인 칼럼=조동범 시인의 100년의 서울을 걷는 인문학] 경성의 백화점은 1920년대 후반에 등장한 이후, 1930년대에 확대되기 시작했다. 경성에는 일본 자본이 개업한 대표적인 백화점이 네 곳 있었고 조선인이 운영하는 화신백화점과 동아백화점 등이 있었다. 경성이 근대적 도시로 변해가는 가운데 백화점이 등장하게 된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당시 인구가 30만 명에 불과한 경성에 이렇게 많은 백화점이 개업한 것은 의외의 일이다. 경제 공황기와 맞물려 일본이나 중국의 백화점이 경영난에 빠진 것을 생각하면
[미디어파인 칼럼=조동범 시인의 100년의 서울을 걷는 인문학] 익선동이 하루아침에 변하게 된 그날이 기억난다. 일제강점기와 산업화, 도시화를 거치면서도 100여 년의 세월을 견딘 익선동이 하루아침에 관광지가 되어 젠트리피케이션의 대표적인 장소가 된 그날이 생각난다. 100여 년을 지켜온 한 동네가 무너지는 것은 너무나 간단한 일이었다. 익선동의 소박한 일상을 담은 모 방송사의 다큐멘터리 한 편으로 모든 것이 바뀌고 말았다. 방송이 나간 이후에 꼬리에 꼬리를 물고 미디어의 집중적인 조명이 이루어졌고 한적한 익선동 골목은 밀려드는 관
-편집자주-조동범 시인의 을 연재한다. 서울은 지난했던 우리 근대사를 온몸으로 견디며 성장해온 도시이다. 일제강점기부터 전쟁과 독재, 가난과 개발 등의 틈바구니에서 격정적인 변화가 있던 공간이다. 이런 서울을 이야기하는 것은 우리의 삶과 세계를 이해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런 점에서 서울을 인문적 관점에서 파악한 은 의미 있다. 조동범 시인의 과 함께 서울 거리를 여행하도록 하자.[미디어파인 칼럼=조동범 시인의 100년의 서울을 걷는 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