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파인 칼럼=이상원의 쉽게 읽는 경제상식] ‘경제용어 700선’에는 각종 지수들이 많다. 우리는 경제를 이해하려면 각종 지수들에 대해 알아야 한다. 이 중 오늘은 경기종합지수, 고통지수, 빅맥지수 이 세 가지에 대해 알아보자.◆목차1. 경기종합지수2. 고통지수3. 빅맥지수1. 경기종합지수1) 경기종합지수란?경기종합지수는 경제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가에서 경기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여러 지표를 선정하여 작성한 지수이다. 경기종합지수는 100을 기준으로 작성되기 때문에 100보다 크면 경기가 호황이고 100보다 작다면 불황이라고
[미디어파인 칼럼=이상원의 쉽게 읽는 경제상식] ◆목차1. 미국은 왜 금리를 동결했는가?2. 앞으로의 방향성은?1) 소비자 물가지수2) 미 연준의 행동3) 가장 중요한 것1. 미국은 왜 금리를 동결했는가?우리는 미국 금리에 많은 기대를 건다. 금리가 동결되거나 인하된다면 투자하고 있는 부동산, 주식 등에서 호재가 들려올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다. 흔히들 금리 인하는 주식 호황, 금리 상승은 주식 불황 이렇게 공식처럼 외우는 사람들이 많다. 크게 봤을 때 틀린 말은 아니지만 이렇게 무작정 공식처럼 믿고 투자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6월
[미디어파인 칼럼=이상원의 쉽게 읽는 경제상식] 개인이 돈을 빌리거나 돈을 줄 때는 은행에서 신용등급을 결정한다. 그러면 국가 간의 거래는 어떻게 신용을 결정할까요? 지금부터 함께 알아보자.◆목차1. 국가신용등급이란?2. 우리나라 국가 신용등급의 변천사3. 국가신용등급 확인하는 곳1. 국가신용등급이란?1) 국가신용등급의 뜻과 사례국가신용등급이란 앞서 서문에서 설명했듯이 나라와 나라 간의 관계에서 책정되는 신용등급을 의미한다.우리가 평소 은행에 가면 신용등급에 따라 빌릴 수 있는 돈이 다르다. 마찬가지로 국가 간의 신용등급이 낮으면
[미디어파인 칼럼=이상원의 쉽게 읽는 경제상식] 최근 미국의 디폴트 문제로 시장이 떠들썩하다. 언론에서는 미국이 디폴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경제가 큰 위기에 빠질 수 있다고 한다. 그럼 지금부터 디폴트가 뭔지, 디폴트가 발생하면 어떻게 될지 차례로 알아보도록 하자.◆목차1. 디폴트의 뜻과 원인2. 디폴트의 영향3. 디폴트를 해결하려면?1. 디폴트의 뜻과 원인디폴트란 채무불이행을 뜻한다. 많이 쓰는 단어는 부도라는 단어이다. 하지만 부도와 달리 디폴트는 주로 국가 단위에서 쓰이는 경우가 많다.1) 디폴트의 뜻디폴트는 채무 즉 빚을
[미디어파인 칼럼=이상원의 쉽게 읽는 경제상식] ‘경제용어 700선’ 안에 있는 효과들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배블런 효과, 낙수효과, 분수효과에 대한 정의와 내용, 사례와 비판까지 모두 알아보자.◆ 목 차 1. 베블런 효과2. 낙수효과3. 분수효과1. 베블런 효과1) 효과 설명배블런 효과는 소비자들이 남들에게 과시하고 싶은 욕구 때문에 명품을 소비하는 효과를 말한다. 경제학에서는 소비자들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했다. 때문에 같은 제품이면 더 싼 물건을 선택하는 것이 경제학의 일반적인 이론이었다. 하지만 실제 사회에서는 전혀 그렇지 않
[미디어파인 칼럼=이상원의 쉽게 읽는 경제상식] 큰맘 먹고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보려고 경제뉴스를 편 당신. 그러나 경제 신문에 있는 용어는 모두 FRB, FOMC, Fed 등 외계용어들뿐이다. 경제뉴스를 보기 위해 가장 먼저 알아야 할 기본적인 용어들 중 미국의 경제정책들에 대해 살펴보자.◆ 목 차1. 연방준비제도(FRS) / 연방준비은행(FRB) / Fed 란?2. 미 연준이 하는 일 :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란?1. 연방준비제도(FRS) / 연방준비은행(FRB) / Fed 란?결론부터 이야기하면 위 세 개의 말은 모
[미디어파인 칼럼=이상원의 쉽게 읽는 경제상식] 앞서 우리는 뱅크런이 무엇인지, 왜 발생하는지 알아보았다. 오늘은 뱅크런을 막기 위한 조치인 자기자본비율(BIS)에 대해 알아보자.◆목차1. 자기자본비율(BIS)의 뜻과 필요한 이유2. 자기자본비율 계산하는 방법3. 자기자본비율(BIS) 확인할 수 있는 곳1. 자기자본비율의(BIS) 뜻과 필요한 이유자기자본비율이란 총자산에서 자기자본의 비율을 말한다. 이렇게 말하면 어려우니 좀 더 쉽게 풀어보자.여러분 각자 모두 돈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 돈들의 위험성이 모두 똑같지는 않을
[미디어파인 칼럼=이상원의 쉽게 읽는 경제상식] 오늘의 경제용어 700선은 뱅크런이다. 뜻과 원인에 대해 살펴보자.◆목차1. 뱅크런의 뜻2. 뱅크런의 원인3. 뱅크런의 사례1. 뱅크런의 뜻뱅크런(Bank Run)에 대해서 들어본 적이 있는가? 아마 뉴스를 꼬박꼬박 챙겨보는 사람은 최근 3월 미국에서 실리콘밸리 은행에서 뱅크런이 났다는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그때 당시 뉴스를 보면 미국 경제가 망한 것처럼 보도를 했다. 그렇다면 도대체 뱅크런이 뭔지, 또 뱅크런이 일어난 원인이 무엇인지 알아보자.뱅크런은 쉽게 말하면 은행
[미디어파인 칼럼=이상원의 쉽게 읽는 경제상식] 최근에 뉴스를 확인하다가 이런 뉴스를 발견했다. 이라는 뉴스의 제목이었다. 금리만큼이나 자주 등장하는 말이 수지라는 단어이다. 국제수지, 경상수지, 무역수지, 상품수지 뭐 이렇게 수지가 많은지 모르겠다. 지금부터 파헤쳐보자.◆목차1. 경상수지가 뭔데?2. 경상수지가 흑자인데 무역수지는 적자인 이유3. 경상수지가 흑자면 경제가 어떻게 될까?1. 경상수지가 뭔데?먼저 모든 단어에 공통적으로 들어간 '수지'란 수입과 지출의 약자이다
[미디어파인 칼럼=이상원의 쉽게 읽는 경제상식] 뉴스를 보다 보면 항상 미국 금리에 대해서 이야기를 많이 한다. 주식에 투자하시는 아버지는 미국이 금리를 올린다고 하면 한숨을 푹 쉬시곤 한다. 또한 한국은행 이창용 총재는 '한국은행은 연준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고 연준이 긴축을 끝내기 전까지 한국도 끝낼 수 없다.'라는 말을 하기도 했다. 우리나라 금리를 정하는 데 왜 미국 금리를 신경 쓰는 것일까? 지금부터 한 번 알아보자. 오늘도 가장 핵심적인 결론부터 알아보고 가자.※결론 : 미국 금리와 한국 금리 간의 격차가 발생하면
[미디어파인 칼럼=이상원의 쉽게 읽는 경제상식] 금리는 기준금리만 있는 것이 아니다. 인터넷에 조금만 뒤져봐도 콜금리, CD금리 등등 별 이상한 금리들이 많다. 우리는 이 중에서 오늘 가산금리만 살펴보도록 하자.기준금리가 정해졌다 땅땅!. 자 그러면 모든 사람들은 기준금리대로만 거래를 할까? 당연히 아니다. 당장 우리가 가는 은행만 봐도 대출이자가 천차만별 아닌가. 이렇게 금리가 다른 이유는 우리가 실제 체감하는 금리는 시장금리이기 때문이다.금리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뉘어 있다. 바로 정책금리와 시장금리인데 정책금리는 말 그대로 정책
[미디어파인=이상원의 쉽게 읽는 경제상식] 맨 처음 주식을 투자할 때 의욕에 넘쳐 여러 경제 뉴스를 찾아보곤 했다. 그때마다 항상 등장하는 말이 '금리'였다. 경제에 쌩초보였던 나는 뉴스에서 하루를 멀다 하고 등장하는 금리라는 단어를 이해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할 수 없겠다 생각한 적이 있다. 돈을 벌기 위해서, 시장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서 꼭 확인해야 하는 금리 지금부터 낱낱이 파해쳐보자.금리란? 무엇이며 금리가 바뀌면 경제가 어떻게 바뀔까?(기준금리)◆ 금리란?금리란 쉽게 말해서 이자다. 모두가 알다시피 지금 세상은 자본주의 체
[미디어파인=이상원의 쉽게 읽는 경제상식] 지난 1편 '인플레이션의 뜻과 원인'과 2편 '인플레이션의 영향'에 이어 3편 인플레이션 확인 방법을 통해 이런 인플레이션을 어떻게 측정할 수 있는지 아래 3가지 지수로 확인해보자.1) CPI(소비자 물가 지수)CPI는 Consumer Price Index로 소비자 물가 지수를 의미한다. 정부에서 보편적인 구매 품목을 선정하여 그 가격을 측정하는 것이다. 한국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통계청(국가지표체계-지표상세정보)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2) GDP 디플레이터GDP 디플레이터는 한 국
[미디어파인=이상원의 쉽게 읽는 경제상식] 모든 국가는 인플레이션을 경계하고 또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지 않도록 정책을 조절한다. 왜 그런지 지난 1편 '인플레이션의 뜻과 원인'에 이어 지금부터 '인플레이션의 영향'에 대해 살펴보자.◆고정임금 수입자에게 악영향첫째로 고정임금을 받는 즉 월급을 받는 사람에게 악영향이 미치게 된다. 인플레이션의 가장 큰 피해자가 서민이라고 하는 이유기도 하다. 예를 들어 300만 원의 월급을 받는 사람이 있다. 하지만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자신이 받는 월급은 동일한데 생활비, 고정지출금 등은 계속 증가하게
[미디어파인=이상원의 쉽게 읽는 경제상식] 최근 인플레이션으로 경제가 힘들어한다는 뉴스가 심심치 않게 보인다. 요즘 경제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인 인플레이션에 대해 3회에 걸쳐 상세히 뜯어보도록 하자.1편 인플레이션의 뜻과 원인, 2편 인플레이션 영향, 3편 인플레이션 확인 방법 순서로 3회에 걸쳐 연재할 예정이다.◆ 인플레이션의 뜻과 원인과거에는 라면 하나에 50원, 100원이 하던 시절이 있었다. 당장 2000년대 초반만 하더라도 과자 하나에 500원 하던 시절이 있었다. 하지만 지금 마트에 가보면 500원으로 살 수 있는
[미디어파인=이상원의 쉽게 읽는 경제상식]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올해 상반기 마지막 기준금리 결정에서 3.5%로 동결했다.한은은 2022년부터 2023년 1월까지 7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인상했다. 그리고 지난 2월과 4월에 이어 세 번째 기준금리를 동결했다.소비자물가상승률이 1년 2개월만에 3%대로 떨어져 물가 상승에 대한 부담이 줄엇고 경기 침체와 수출부진을 우려가 기준금리 동결에 영향을 끼쳤다.이로서 한미 금리차는 1.75%로 향후 6월에 열릴 FOMC에 투자자들은 주목하고 있다.- 시장 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할 다음 일정은?
[미디어파인=이상원의 쉽게 읽는 경제상식] 미국의 조 바이든 연방정부와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 간의 3차 부채협상이 결렬됐다. 디폴트가 발생하는 6월 1일까지 10일도 남지 않은 시점에서 3차 부채협상 결렬 소식은 투자자들의 마음을 요동치게 하고 있다. 미국 디폴트 위기에도 미 증시는 아직 혼조세다. 현지시각 22일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40.05포인트(0.42%) 내렸지만 S&P 500 지수는 0.65포인트(0.02%) 오른 4192.63에 마감했다.- 디폴트가 뭔데?디폴트란 채무불이행이란 뜻이다. 국가는 세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