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범 원장
김상범 원장

[미디어파인 전문칼럼] 무릎 관절은 생각보다 구조물 손상이 발생하기 쉬운 신체 부위이며, 주요 질환에는 반월상연골 파열이 꼽힌다. 반월상연골은 무릎 관절 사이에 자리한 구조물로써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과 같은 기능을 한다.

이 구조물은 뼈처럼 단단하지 않아 작은 충격만 받아도 파열이 생길 수 있다. 특히 무릎에 가해지는 직접적인 외상이나 무릎 관절의 비틀림으로 인해 반월상연골에 파열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또한 퇴행성 변화가 진행되어 무릎 관절을 지지 및 보호하는 주변 조직이 약해지면 가벼운 압력만 받아도 반월상연골이 쉽게 손상될 수 있으니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반월상연골에 파열이 생기면 무릎에 통증뿐만 아니라 무릎 부종, 무력감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 또한 파열된 연골 조각이 무릎 관절 사이에 끼어들어가면서 무릎을 구부릴 때 통증이 악화되거나 무릎이 제대로 구부려지지 않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는 조직의 파열 양상에 따라 치료 방식이 각각 다르게 적용된다. 파열이 경미하다면 약물 및 주사 요법, 물리치료 등의 비수술적 치료를 진행한다. 하지의 근력을 강화해 무릎 관절의 부담을 덜어주는 것도 호전에 도움이 된다.

조직의 파열이 심하다면 비수술적 치료만으로는 호전이 어렵다. 이런 경우 파열 부위를 절제하거나 봉합하는 수술이 고려된다. 만약 남아있는 반월상연골 조직의 양이 거의 없다면 이식술도 적용이 가능하다.

한 번 손상된 반월상연골은 재생이 어렵고, 파열된 조직을 오래 방치하면 병변 범위가 점차 넓어져 증세가 악화된다. 그러므로 무릎에 이상 증상이 지속된다면 미루지 말고 검사를 정확하게 받아보는 것이 권장된다.(잠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

저작권자 © 미디어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