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스토리&컬처] 26살 배우 한채원의 극단 선택 [유진모 칼럼]
[히스토리&컬처] 26살 배우 한채원의 극단 선택 [유진모 칼럼]

[미디어파인=유진모 칼럼니스트] 2023년 8월 25일. 1918년 미국 음악가 레너드 번스타인, 1930(~2020) 스코틀랜드 영화배우 숀 코너리, 1954년 개그맨 김학래, 1958년 미국 영화감독 팀 버튼, 1962년 배우 손병호, 1963년 가수 이상우, 1970년 독일 패션 모델 클라우디아 시퍼, 1974년 가수 이상순, 1976년 구피 이승광, 1978년 가수 조정치, 1984년 가수 아유미, 1986년 배우 이다해, 배우 노수산나, 1987년 중국계 미국 배우 크리스탈 리(유역비), 미국 배우 블레이크 라이블리, 배우 신수항, 1988년 가수 황광희, 1995년 가수 옹성우, 2002년 배우 김환희 등이 태어났다.

1776년 영국 철학자 데이비드 흄, 1819년 영국 증기 기관 발명가 제임스 와트, 1900년 독일 철학자 프리드리히 니체, 2011(1980~)년 배우 겸 가수 한채원, 2012년 미국 우주비행사 닐 암스트롱, 2013(1966~)년 개그맨 오성우, 2015년 배우 김상순, 2021(1941~)년 영국 록 밴드 롤링 스톤스 드러머 찰리 와츠 등이 눈을 감았다.

배우 겸 가수 한채원이 2011년 8월 25일 서울 연희동 자택에서 극단적 선택으로 이승과 작별했지만 그 소식이 언론을 통해 알려진 건 한 달 이상 지난 10월 8일이었다. 그만큼 언론과 연예계, 그리고 대중의 관심을 받지 못한 연예인이었다는 증거에 다름없다. 26살의 젊은 여자가 왜 극단적 선택을 했는지 어느 정도 짐작이 가는 대목이다.

한채원은 1985년 5월 19일 경상남도 진해시(현 창원시 진해구) 경화동에서 정재은으로 태어나 어릴 때부터 음악, 미술, 문학 등의 문예 분야에서 재능을 보이는 가운데 음악가를 꿈꿨다. 그런데 고등학교 3학년 때 우연히 연극반의 공연을 보고 배우로 수정했다. 백제예술대학 방송연예학과를 졸업한 뒤 2002년 KBS2 드라마 '고독'으로 배우 활동을 시작했다.

이듬해 MBC 시트콤 '논스톱3'에 출연했지만 이후 소속사가 문을 닫는 바람에 3년여 방황하다가 그라비아 화보를 찍는가 하면 2010년 디지털 싱글을 발표하고 가수로서의 길을 노크했다. 하지만 한채원 외에도 유승민, 채원 등의 가명을 더 사용한 데서 알 수 있듯 그녀는 지독히 풀리지 않는 길을 걸었다.

사망 후 알려진 바에 따르면 소위 '키워주겠다.'라며 돈을 요구하는 사람들이 주변에 들끓었고, 실제 돈을 뜯기기도 했다고 한다. 그래서 평소 그런 사람들에 대한 환멸을 표시하는가 하면 '죽고 싶다.'라는 말을 하기도 했다고. 잠깐 활동하고 가수로 변신했다 생을 마감했기 때문에 그녀가 배우로서 자질이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확인할 수가 없다.

다만 그녀의 사례로 보아 당시에 그랬고, 아직도 잔존하는 연예계 주변에서 기생하는 사기꾼 등 범죄자들에 대해 각종 연예 단체, 관련 정부 부처, 경찰 등이 조금 더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성은 절실해 보인다.

개그맨 오성우는 1966년 6월 14일 태어나 1987년 KBS2 '유머 1번지'로 데뷔한 이후 '쇼 비디오 자키', '코미디 1번지', '코미디 세상만사' 등에 출연했으나 데뷔 직후 10년 넘게 이어진 당뇨병으로 인한 건강 악화로 활발하게 활동할 수 없었다. 결국 신장 투석 중이던 2013년 오늘 48살의 젊은 나이로 눈을 감았다.

국내 많은 사람들이 유역비라고 부르는 중국계 미국 여배우는 정확하게 크리스탈 류이다. 중국에서는 류이페이라고 부른다. 대한민국 관객에게는 '중국 최고의 미녀 배우 중 한 사람', 그리고 한때 송승헌과 사귀었던 스타라는 식으로 알려져 있다. 그녀의 가장 큰 논란은 2019년 홍콩 민주화 정국 당시 홍콩 경찰을 옹호하는 발언을 한 것이다.

중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의 국민들로부터 큰 비난을 받았다. 더구나 그녀는 중국인이 아닌, 귀화한 미국 시민권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가 중국 당국으로부터 사랑받기 위해 이런 발언을 한 것은 중국으로 돌아와 중국 영화에서 활동 중이기 때문이다. 엄마를 비롯해 가족 대부분이 중국에서 살고 있다. 그래서 그런 무모한 정치적 발언을 한 것으로 보인다. 아니면 진짜 그런 사상을 지녔거나.

한때 그녀의 미모보다 더 유명했던 것은 아버지가 10조 원의 자산가라는 헛소문이었다. 그녀가 4800평의 대저택에 거주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작 그녀의 아버지의 존재는 전혀 알려진 바 없고, 그녀의 아버지로 소문이 난 사람은 퉁찬그룹 회장 천진페이로 그녀보다 미모가 더 뛰어나다는 그녀의 어머니와 사실혼 관계이다. 류의 중국 영화계 정착을 직접적으로 도운 인물이다.

1958년 일본 닛신 식품에서 세계 최초로 라면을 출시했다. 그런데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가장 인기를 끌고 있는 라면은 'Made in Korea' 제품이다. 한류 열풍 전에는 마늘 냄새 난다고 경멸했던 김치를 이제는 '기무치'라고 만들어 전 세계에 판매하면서 자신들의 음식이라고 우기는 일본에 대해 통쾌한 사실이다.

데이비드 흄을 대표하는 키워드는 경험론, 인과관계, 회의주의 등이다. 그리고 그는 허황되게 높은 위치에서 고고하게 군림하려는 철학에 대해 ‘철학이란 일상을 반성케 하여 이따금 생활 태도를 교정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라고 호통쳤다. 또한 '종교의 오류는 매우 위험하지만 철학의 오류는 단지 재미있을 뿐이다.'라는 통쾌한 명제를 남겼다.

그에 비하면 프리드리히 니체는 도무지 종잡을 수 없는 인물이었다. 오죽하면 그의 의도와 상관없이 나치가 자신들의 당위성을 선전하는 도구로 활용했을까? 이른바 니체의 '권력에의 의지'와 '위버멘시'이다. 그러나 니체는 히틀러 같은 전쟁 미치광이와 그런 미치광이를 따른 미친개들과는 확연하게 다른 천재였다.

그가 외친 권력은 히틀러처럼 프로파간다로 혹세무민해 잡은 권력으로 다른 약소국들을 점령해서 확장하는 권력이 아니었다. 그는 지나친 겸손을 경고한 것이다. 약해지지 말고 강해지자는 것이지 약자를 밟고 영토와 재산을 늘리자는 게 아니었다. 위버멘시 역시 마찬가지이다. 초인, 극복인 등으로 번역되는 위버멘시는 종교의 독선에 대한 반발이다.

그래서 그는 '신은 죽었다.'라고 외친 것이다. 그래서 짜라투스트라를 부활시킴으로서 극복인으로 하여금 무지한 사람들을 일깨우려 한 것이다. 존재가 불분명한 신보다는 눈앞에 보이는 극복인을 통해 깨우침을 얻고자 한 니체가 신을 죽인 것은 기존에 적지 않은 사람들이 믿는 신이 신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못했기 때문이다. 최소한 불을 선물한 프로메테우스 정도는 되어야 신이다.

그런 면에서 극복인은 삶의 지혜를 주는 뉴 리더이다.

저작권자 © 미디어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