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잠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

[미디어파인 전문칼럼] 무릎 관절 내에 자리하고 있는 십자인대는 전방십자인대와 후방십자인대로 나뉜다. 이들은 서로 X자 형태로 교차되어 무릎 관절을 지지하며 무릎의 안정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십자인대는 튼튼한 조직이지만 무릎이 비틀리거나 꺾어지는 등의 충격을 받게 되면 구조물이 파열될 수 있다.

후방십자인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약한 측에 속하는 전방십자인대가 파열되는 경우가 더 많지만 정강이뼈가 뒤쪽으로 강하게 밀리는 상황에서는 후방십자인대가 쉽게 파열될 수 있다.

후방십자인대는 전방십자인대에 비하여 두껍고 회복 능력도 좋은 편이다. 그래서 후방십자인대에 일부분에만 파열이 나타났고, 무릎 동요도 경미하다면 비수술적 치료를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

후방십자인대 파열의 비수술적 치료에는 보조기 착용과 물리치료, 주사 요법, 운동요법 등이 있다. 만약 후방십자인대가 완전히 파열되었거나, 무릎 동요가 심하다면 후방십자인대 파열 재건술과 같은 수술적치료가 필요하다.

후방십자인대 파열 재건술 후에는 재활치료 및 근력강화 운동을 꾸준히 시행하여 무릎의 안정성을 높여야 한다. 파열된 후방십자인대를 오랜 기간 방치하면 무릎 연골 손상과 같은 2차 질환으로 이어지게 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후방십자인대 파열 초기에는 대부분 무릎 뒤쪽에서 통증을 느끼게 된다. 그렇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통증이 점차 사라져 후방십자인대 파열을 방치하게 될 수 있으니, 통증이 나타난 초기에 정확하게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후방십자인대 파열 발생 시에는 무릎에 통증 및 불안감이 느껴진다. 또한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전력 질주를 하는 등 무릎에 부담이 가해지는 동작도 주의해야 한다. 후방십자인대가 파열되었다고 하더라도 평지를 걷을 때는 별다른 증상이 나타나지 않기도 하니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다.(잠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

저작권자 © 미디어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