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파인=강동형의 시사 논평] 패권국가인 미국과 중국이 국제사회에서 보여주고 있는 이기적인 행태를 우리는 패권주의의 발호라고 한다. 국내로 눈을 돌리면 지난해 치러진 4.13총선에서 목도한 친박의 공천 행태가 친박패권주의의 전형이다. 또한 과거 국회 국정감사나 국회 청문회에서 여당의원들이 스스로 거수기가 되는 행태라든가 잘못도 자기편이라고 하면 무조건 감싸고도는 일들이 패권을 지키기 위한 모습들이다. 조직의 내부에서도 이러한 일들은 비일비재하다. 기업체의 사장들, 재벌가의 오너들이 보여주는 인사전횡도 패권의 부정적인 모습이라 할 수 있다. 개인회사나 공기업 사장들이 보여주고 있는 형평성에 어긋나는 전횡도 마찬가지다. 잊을만하면 터져 나오는 갑질은 우리 사회를 얼룩지게 하고 있다. 패권 문화와 갑질 문화는 사라져야 할 적폐다. 갑질도 내용면에서 부정적인 의미의 패권과 다르지 않다. 패권이 거창한 국제정치나 당내 헤게모니싸움에 사용된다면 갑질 문화는 회사 내에서 식당에서 은행이나 공공기관 등 우리의 주변에서 종종 목격하고 경험하게 된다는 점이다.

패권주의는 청산의 대상이면서 극복의 대상이다. 그러나 약자가 힘을 빼앗고 청산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특정 정치집단의 패권주의는 선거를 통해서 국민들이 청산할 수도 있지만 넒은 의미의 패권은 청산보다는 스스로 내려놓아야 할 극복의 대상이다.

패권의 적폐는 룰이 공정하지 못할 때 발생한다. 민주국가는 다수결의 원칙이라는 규칙을 만들어 이를 따르도록 하고 있다. 또한 다수결의 원칙도 중요하지만 소수의 의견도 존중해야한다. 이를 조화롭게 극복해 나가는 것이 패권문화와 갑질문화를 극복하는 지름길이다. . 공정한 룰에 의해 경쟁하고 그 결과를 받아들이는 게 민주주의의 요체다.

하지만 아무리 공정한 룰이라고 해도 약자의 입장에서는 공정해 보이지 않는 게 세상이치다. 제3자에게는 공정해 보여도 약자는 불공정하다고 주장한다. 강자의 입장에서 관용을 베풀어야 한다. 그래야만 를에 대한 시비를 줄일 수 있다. 관용을 하고 양보를 했는데도 약자가 불공정을 이야기 한다면 그건 불공정이 아니라 떼를 쓰는 것이다. 룰이 공정하지 못한지 떼를 쓰는 것인지는 국민들이 먼저 안다. 이제 그런 시대가 됐다. 친박패권도 지난 총선에서 공천룰을 공정하게 적용했다면 혐오의 대상까지는 되지는 않았을 것이다.

친문패권이란 용어는 그 실체가 없지만 대선과정에서 당 안팎에서 문재인 전 대표를 괴롭힐 가능성이 높다. 국민당의 공세도 만만치 않지만 더불어 민주당 대선후보 경선 룰을 만드는 과정에서 첫 고비를 맞을 수 있었다. 하지만 더불어 민주당이 24일 대선후보 경선방식을 완전 국민경선제와 결선투표제를 도입하기로 합의하는 등 큰 잡음 없이 마무리 됐다. 따라서 당내부에서는 친문 패권이란 말이 수그러들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이 25일 관훈클럽 토론회에서 친박패권과 친문패권을 동일선상에서 비판하는 등 친문패권에 대한 공격은 더욱 거세지고 있다. 이 또한 대선 지지율 1위를 달리는 문 전대표가 극복해야 할 몫이 아닐까 한다.

저작권자 © 미디어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