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파인=백남우의 근현대문화유산이야기 : 서울지하철1호선] 메트로폴리탄으로 불리는 세계적인 대도시 서울을 관통하는 대동맥 9개 운영노선 총 연장 327Km, 하루 평균 수송 인구가 700만  명에 서울지하철1호선이 40여 년 전 도심권 교통소통의 새 장을 열었다.

최초의 국산 자동차가 탄생한지 10년 만에 경적을 울려대는 승용차와 버스가 넘쳐나기 시작한 1960년대, 그리고 인구 500만을 훌쩍 넘어선 1970년의 서울. 지하철도 건설만이 4대문 안 도심의 교통정체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었다. 

1960년대, 지하철 건설 계획은 입안만 수차례, 1970년 철도청장 출신의 양택식 서울시장이 부임하면서 본격적으로 추진됐다. 

▲ 서울시 지하철건설본부 발족(1970.6.9)          ▲ 1호선 노선의 측량작업 개시(1970.10.30)
▲ 서울지하철착공식(1971.4.12)

1971년 4월 12일 시청 앞 광장.
3만 명의 시민이 운집한 가운데 기공식과 함께 역사적인 지하철 1호선 공사가 착공됐습니다. 확정된 노선은 서울역과 청량리를 잇는 9.54km.

▲ 1970년대 종로선(서울지하철 1호선) 노선도

토목, 전기, 통신, 차량 등 각종 기술이 집약되고 일본 차관까지 들여와 모두 330억 원의 막대한 자금이 투입된 서울 지하철 1호선. 설계 및 시공 경험이 전무했던 국내 기술진에게 3년 4개월의 공사는 난관의 연속이었다.

▲ 서울지하철 1호선 개통(1974.8.15.)

“대망의 서울지하철과 수도권전기철도가 개통됐습니다.
서울지하철 종로선은 서울역과 청량리역에 이르는 10.31km로서
이 구간을 불과 18분에 달릴 수 있으며
서울시 교통난 해소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 대한뉴스 998호

▲ 기존의 국철을 전철화해 서울과 인천, 수원을 잇는 수도권 전철 86.7km 도 동시 개통

그러나 1974년 8월 15일. 그렇게 아시아에서 세 번째로 지하철이 개통되던 역사적인 날 광복절 행사에서 육영수 여사가 저격당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지면서 개통식 외의 모든 행사가 취소되고 말았다.

“개통 당일엔 무임승차를 했습니다. 개통 전까지 홍보를 많이 했고 
8.15 기념일이기 때문에 가족들끼리 손잡고 다 나왔어요.
진짜 나들이를 온 겁니다. 아마 육영수 여사의 피격 사건만 없었다면
대단했을 겁니다. 그런데도 그것도 모르고 나온 사람들 많았어요.
새 차니까 얼마나 좋았습니까, 그래서 한 바퀴 돌고 내려야 하는데
계속 타고 다니는 사람, 뛰어다니면서 손잡이 잡고 철봉 하는 사람,
별별 사람들이 다 있었습니다. 그리고 음식물 가지고 와서 점심, 저녁 때우면서...
저희들은 보면서 힘들었지만 흐뭇했습니다.”
               - 조상호(1974년 지하철1호선 개통당일 기관사)

개통 당시 서울역과 청량리 간 기본 운임은 30원. 승차요금이 현재의 1,050원으로 서른 배가량 오르는 동안 승차권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2015년 제작 기준)

▲ 개통~1986년 에드몬슨 승차권 사용 / 1986년 역무 자동화로 등장한 마그네틱 승차권 / 2009년 무선주파수 방식의 RF교통카드 등장

개통 40여 년, 9개 노선이 서울 전역에 거미줄처럼 뻗쳐 지하철은 명실상부한 시민의 발이 됐다. 세계 수준의 수송 능력뿐 아니라 대한민국을 지하철 기술 수출국으로 끌어올린 그 역사는 앞으로도 무한한 변신을 이어갈 것이다.

  <서울지하철1호선 편> 프로그램 다시보기 ☞ : http://tv.naver.com/v/270713

tbs TV에서는 서울 일대에 남았거나 변형된 근현대문화유산을 주제로 서울의 역사․문화적 의미와 가치를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으로 제작하고 있으며, 프로그램은 네이버 TV(http://tv.naver.com/seoultime), 유튜브(검색어: 서울 시간을 품다) 또는 tbs 홈페이지(tbs.seoul.kr)에서 다시 볼 수 있다.

▲ tbs 백남우 영상콘텐츠부장

[수상 약력]
2013 미디어어워드 유료방송콘텐츠 다큐멘터리 부문 우수상 수상
2014 케이블TV협회 방송대상 PP작품상 수상
2015 한국방송촬영감독연합회 그리메상 지역부문 우수작품상 수상
2016 케이블TV협회 방송대상 기획부문 대상 수상

저작권자 © 미디어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