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 <암수살인> 스틸 이미지

[미디어파인=유진모의 무비&철학] 영화 ‘암수살인’(김태균 감독)이 돋보이는 지점은 먼저 스릴러 장르의 새로운 스타일을 만들었다는 것이다. 진범의 정체를 숨기다가 마지막에 전혀 뜻밖의 인물로 반전을 던지는 전통적 형식과 미리 밝히지만 그를 잡는 과정에서의 긴장감을 조성하는 변주적 방식 모두 피해가는 것.

자신의 연인을 살해한 태오(주지훈)는 영화 초반 강력계 형사들에게 잡히고 법정에서 중형을 선고받는다. 그런데 웬일인지 그는 부산지방경찰청 마약수사대 형사 형민(김윤석)에게 면회를 요청해 자신의 살인 및 사체유기가 7건이라고 스스로 자백한다. 이는 양측의 니즈를 맞춘 ‘떡밥’이다.

이때부터 영화는 두 사람의 팽팽한 심리전으로 전개된다. 그건 잘 만든 법정 드라와는 비교도 할 수 없는 스릴을 안겨주고, 태오의 정체가 드러날수록 웬만한 호러 못지않은 공포를 조성한다. 가두판매대의 싸구려 타블로이드가 아니라 초대형 서점에 진열된 하드케이스 양장의 심리학 서적 같은 품격이다.

형민의 “무조건 믿되 끝까지 의심하라”라는 대사는 태오의 정체성을 단적으로 나타내는가 하면 형민의 내면이기도 하다. 자식을 낳기도 전에 아내와 사별한 형민은 형이 운영하는 회사에 지분이 있는 관계로 경제적으로 넉넉하다. 골프를 즐길 정도니 사실 형사는 취미나 여가에 불과할 수도 있다.

▲ 영화 <암수살인> 스틸 이미지

재혼하라는 주변의 권유를 무시하는 이유는 뺑소니사고로 떠나보낸 아내에 대한 죄책감과 그리움으로 생긴 마음의 병 때문. 부양가족도, 별다른 희망도 없이 관성적인 생활을 해오던 그에게 태오는 정복하고 싶은 호승지심을 불러일으키는 경쟁자이자 오랜 숙제(아내에 대한 미안함)를 풀 해법이다.

알려지지 않은, 경찰은 짐작도 하지 못하고 있는 가려진 타살 피해자 6명의 유해를 찾고, 그만큼 태오에게 죗값을 덧씌움으로 인해 억울한 영혼을 달래주는 게 곧 아내에게 그렇게 해주는 것이라는 게 그의 신념이다. 그런 심리상태를 태오는 꿰뚫고 있다. 심리전에서 태오가 매우 유리한 이유다.

영치금부터 각종 기호품까지 태오의 요구는 점점 더 커지지만 형민은 무조건 그에 응할 수밖에 없다. ‘무조건 믿기’ 때문이다. 치열한 심리전으로 태오의 제보가 조금이라도 사실적이고 구체적이게끔 만들어야 단서(유골)를 찾을 수 있다. 그래서 ‘끝까지 의심’해야 하는 것이다.

이 신뢰와 의심은 인간 사회를 이루는 다양한 심리적 현상 중에서 특히 생존에 매우 밀접하다. 혼자서 살 수 없는 존재인 인간이기에 누군가는 믿어야 하고, 누군가는 의심해야 할 수밖에 없다. 가장 신뢰가 가는 가족조차도 의심해야 하는 이 시대에 과연 ‘사회’란 ‘세계’에서 만난 사람들을 믿어도 될까?

▲ 영화 <암수살인> 스틸 이미지

형민과 태오는 서로에게 호의적인 듯한 태도를 보이지만 그 가면 뒤에선 살벌한 분노로 치열하게 다투는 중이다. 형민은 태오를 아내의 뺑소니사고의 진범이자 이 사회의 살인범으로, 태오는 형민을 자신을 이렇게 만들고 억류한 사법부와 사회 등으로 각각 대상화하고 범주화해 복수를 하는 중이다.

이 영화가 중심을 잘 잡는 이유는 태오의 캐릭터에 대한 확실함과 부연 설명에 있다. 엄마는 일찍이 가출했고, 아버지는 만날 술에 취해 누나와 태오를 폭행했다. 그렇게 성장한 태오에게 가족이자 사람은 오직 누나 한 명이었을 뿐 세상의 모든 인간은 의심과 증오의 대상이었을 따름이다.

또 이 영화가 재미있는 이유는 진범이 누구인지, 도대체 태오의 말이 어디까지가 진실이고 거짓인지에도 있지만 마지막의 반전이 진짜 피해자의 실체라는 데 있다. 형민이 천신만고 끝에 발견한 유해가 태오가 지목한 인물이 아니란 게 밝혀지고 형민의 참패로 끝나갈 즈음 충격적인 진실이 드러나는 것.

캐릭터와 상황 설정만으로도 강렬한 미스터리 스릴러가 완성될 수 있다는 걸 보여준 건 액션 없이 꽤 강렬한 스파이 장르를 연 ‘공작’과 흡사하다. 태오가 PTSD인 것만큼은 확실하지만 강박장애인지 충동장애인지는 불분명하다. 분명한 건 매우 똑똑한 반사회적 인격 장애자(죄의식 없음)란 점이다.

▲ 영화 <암수살인> 스틸 이미지

형민에게선 공동의존(비정상인과의 상호 작용에서 발생하는 개인의 정체성과 경계선 장애)이 엿보인다. 경찰로서의 신념 같은 게 안 보이다 갑자기 정의롭게 변한 건 태오에게서 아내 살해범이 아니라 자신의 또 다른 존재를 봤기 때문일 수도 있다. 그걸 잠재우기 위해 계속 암수살인을 쫓는지도 모른다.

그게 아니라면 과다한 기대효과에 취한 자기효능감이 충만한 인물일지도 모른다. 마약수사대에 있을 땐 수사상 용이성과 편의성이라는 핑계로 마약범죄자들과 적당히 타협했던 데 대한 반성일 가능성이다. ‘활동사진’인 영화가 큰 ‘활동’ 없이도 재미있을 수 있다는 걸 보여줬다는 점에선 합격점이다.

다만 이런 영화를 통해 과연 다수를 위한 사회적 경종을 울리는 효과가 중요한지, 상처 입은 소수의 보호가 우선하는지에 대해선 약간의 고민과 협의가 필요할 듯하다. 아무리 창작이 개입했다 하더라도 연관이 되는 상처를 받은 사람이라면 무의식적으로 유사성을 확보하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목적의식이 중요하다. 극도의 예술영화를 제외하면 모든 영화에는 상업적 의도가 앞줄에 서기 마련. 그래서 둘째 줄에 매체로서의 순기능을 들어앉힘으로써 체제와 구성이 사회를, 그리고 관심과 무관심이, 신뢰와 의심이 인간을 어떻게 만드는지 알리자는 메시지를 담는다면 이번처럼 타협이 가능하다.

▲ 유진모 칼럼니스트

[유진모 칼럼니스트]
전) TV리포트 편집국장
현) 칼럼니스트(미디어파인, 비즈엔터)

저작권자 © 미디어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